Millenium

 

[image]
공식홈페이지
공식트위터


1. 개요


밀레니엄은 초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클랜원들끼리 모이기 시작한 것이 시발점이 됐다고 알려졌다. 그리고 그 클랜은 이후 카운터 스트라이크[1], 워크래프트 3 등의 종목에도 발을 넓히며 다종목을 운영하던 프로게이밍클럽으로 발돋움 하기 시작한다.
이후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장해나가면서 스타크래프트2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워즈: 구공화국, 카운터 스트라이크 총 4개의 다종목 게임단을 운용하는 게임단으로 거듭난다.
그리고 밀레니엄은 전용 온라인 게임채널인 '''MilleniumTV'''를 개설해 더욱더 다양한 게임들과 수많은 캐스터들과 파트너쉽을 맺고 이를 통한 새로운 컨텐츠 제공에도 상당한 정성을 들이고 있는 중이다.[2]
밀레니엄의 스타크래프트2 구단은 2010년 7월 밀레니엄의 매니저 Rémy "Llewellys" Chanson가 세우며 출발했다. 이후 밀레니엄은 프로팀 지원뿐만 아니라 Millenium Cup, LDLC Summer Trophy, MSI Pro Cup 등의 다양한 온-오프라인 대회를 직접 개최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Stephano의 활약과 박지수가 입단한 팀으로 어느정도 알려진 편이다.

2. 종목



2.1. 레인보우 식스 시즈




2.2. 스타크래프트2



[image]
[3]

2.3.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카운터 스트라이크 1.6 때 eSahara의 전설적인 플레이어들을 영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sixeR는 프랑스의 간판스타. 하지만 현재 CS:GO로 넘어와서 1.6때의 위상에는 한참 못미치는 팀.
하지만 2016년 11월경 팀을 해체한걸로 보인다.

2.3.1. 전 멤버


Timothée 'DEVIL' Démolon
Engin "MAJ3R" Kupeli
Joey "fxy0" Schlosser
Arnaud "haqx" Luttringer
Robin "fisheR" Kalck

2.4. 리그 오브 레전드


항목 참조

2.5.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2014년 12월 2일 스페인의 아마추어팀 '''El NeXo'''를 인수했지만, 18일 계약을 종료한 것으로 확인됐다.

3. 연도별 중요사건 요약



3.1. 2010년


7월 13일 밀레니엄 스타크래프트2 프로팀이 창단된다.
7월 17일 캐나다 프로토스 HuK 선수가 밀레니엄에 입단한다.
9월 15일 wCrea 출신의 Adelscott 선수가 밀레니엄에 입단한다.
9월 25일 Huk 선수가 밀레니엄을 떠나고 팀리퀴드 팀에 입단하게 된다.
10월 7일 Stephano 선수가 밀레니엄의 스타크래프트2 프로팀 로스터에 등록된다. Stephano 선수는 이전부터 워크래프트3 부분에서 밀레니엄 소속으로 뛰고 있었고, 이후 스타2로 전향하면서 바로 밀레니엄의 스타2 프로팀으로 들어오게 된 것이다.

3.2. 2011년


1월 9일 워크래프트3 부분의 전설적인 휴먼 프로게이머였던 ToD 선수가 밀레니엄의 스타크래프트2 프로팀에 입단하게 된다. 이때부터 종족을 프로토스로 정한다.
1월 10일 DieStar 선수가 밀레니엄 팀의 새로운 테란으로 입단한다.
5월 1일 ToD 선수가 팀의 가치관과 자신의 가치관이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밀레니엄 팀을 나오게 된다.
7월 9일 ToD 선수가 다시 팀에 입단한다.
9월 9일 ToD 선수가 다시 팀에서 나온다.
9월 19일 CompLexity 측에서 Stephano 선수가 팀에 입단했다는 발표를 한다. 그러나 밀레니엄 측에서는 아직 스테파노 선수가 계약기간이 남았다고 말하며, 컴플렉시티 입단계약은 이중계약으로서 이적은 불가능하다고 반박한다. 이후 두 팀은 EG측이 진행한 회의 아래 스테파노 선수가 밀레니엄에 계속해서 남기로 결정하는데 합의를 보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
9월 29일 새로운 벨기에 프로토스 선수인 Feast 선수가 팀에 입단했음이 알려졌다. 더불어 팀의 추가스폰서 3개가 알려졌다.
11월 21일 밀레니엄 스타크래프트2 프로팀 부분의 새로운 코칭스태프로 Bokura가 코치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 알려졌다. Bokura는 과거 Feast의 개인코치 및 Team Sypher, AAA의 팀 코치를 맡은 경력이 있다.

3.3. 2012년


1월 26일 밀레니엄은 프랑스 마르세유 지역에 팀 숙소를 세웠음을 발표했다. 이 숙소에서는 Stephano, Adelscott, Tarson 선수들 그리고 Dignitas 소속의 BlinG 선수들이 함께 연습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3월 6일 전용수 선수가 팀에 입단한다.
3월 19일 밀레니엄이 TSL과 파트너쉽을 맺게 된다. 이 덕분에 스테파노 선수가 GSTL에서 TSL 소속으로 진출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결국 스테파노는 개인일정에 쫓기며 결국 GSTL에서 한번도 진출하지 못하게 된다.
8월 31일 Stephano 선수가 밀레니엄을 떠나고 Evil Geniuses에 입단한다.
6월 27일 oGs 해체 이후 모소속이던 박지수 선수가 밀레니엄 팀에 입단한다.
10월 28일 Dayshi 선수가 팀에 입단한다.
12월 1일 Adelscott 선수가 WCG 2012에서 원이삭 선수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한다.
12월 3일 전용수 선수가 팀을 탈퇴한다.
12월 10일 Tarson 선수가 팀을 떠나고 Goswser 선수가 팀에 입단한다.

3.4. 2013년


1월 29일 여성 프로게이머 MaddeLisk 선수가 팀에 입단한다.
9월 1일 Natus Vincere 소속의 프로토스 유저였던 BabyKnight 선수가 입단한다.
9월 현재 Show Cup을 주최하여, 자신의 팀 8명 중 제일 강한 선수 1명. 초청된 8명의 선수 중 1명을 선발하여 2200 유로의 우승 상금을 놓고 자웅을 다투게 된다. 현재 Millenium의 대표로는 박지수 선수가 결승에 올라가 있는 상태. 초청된 선수 중에서도 9월 1일 이후 입단한 BabyKnight 선수가 선전하고 있는 관계로 경우에 따라서는 결승전에서 팀킬이 나올 수도 있는 상태. 여기에서 Snute 선수가 박지수 선수와 결승전에서 맞붙었고, 박지수 선수가 우승하여 2200 유로의 우승상금을 받게 된다.
9월 하순, WCG 2013 대표로 Dayshi 선수가 선발되었다. 팀의 주장인 Adelscott 선수에 이어 2년 연속 경사. 조별 풀리그에서도 유일한 '''비 아시아권 계열 선수'''로 8강에 올랐다.

3.5. 2014년


5월 21일 BabyKnight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다.
6월 후안 모레노 듀란 선수가 팀에 영입, 들어오자마자 개인리그에서 동료가 된 박지수에게 승리를 거두고 신고식 겸 기량점검 등 건재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벌써부터 다음 팀리그가 기대된다는 외국인들의 반응도 있었다.

3.6. 2015년


6월 2015 WCS Season 2에서 다비드 모스체토 선수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9월 2015 WCS Season 3에서 다비드 모스체토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다. 위의 문단에 적은 것과는 다르게 파급력이 있는 사건으로, 결승전에서 비록 꺾은 선수가 한국인[4]은 아니었지만 올라가는 과정에서 꺾은 선수중에 한국인 선수가 있었고 메이저 급 대회에서 처음으로 이 선수가 우승을 했다는 의미있는 사건이 된 것. 이로인해 BEST 16위에도 들어가게 되어 그랜드파이널에서 활약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12월 CS:GO팀 재창단.http://www.hltv.org/news/16565-millenium-unveil-new-team참조

4. 스폰서



4.1. 現 스폰서



5. 기타


  • 선수들의 아이디 앞에 붙는 팀 태그는 이다.
  • 이 팀의 박지수와 Dayshi 사이의 상대전적은 23:0(...)으로, 스타2 프로게이머 간에는 전례 없이 압도적인 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Dayshi가 박지수보다는 한참 급이 떨어지긴 하지만 이렇게까지 벌어질 차이는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의견이다.

[1] 1.6초중기 때 굉장히 유명한 팀으로 운영했으나 해체하였고, CS:GO에서도 새로운 라인업으로 활동하다가 해체된 후 2016년 현재 1.6시절 전설급 선수들 중심으로 모인 팀을 운영 중이다.[2] 예를 들면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마인크래프트, 포커 등등[3] Dreamhack Stockholm 2013에 참여한 밀레니엄 소속 선수들의 단체 사진이다. 왼쪽부터 차례대로 Goswser, Dayshi, Maddelisk, ForGG, Feast, Adelscott.[4] vs MaNa. 대한민국 코드 S 경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