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Hospital/부서/응급의학과
1. 개요
[image]
응급의학과(Emergency)
병원의 기초이자 '''필수''' 부서로, 이 과가 없다면 다른 과가 정상적으로 있어도 환자가 들어오질 않는다.
환자가 자신의 질환을 대강 알고 있는게 아니라면 병의 경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이 1차적으로 들르게 되는 과이며, 게임 시스템 상 다른 진료과의 질병을 가진 환자가 50% 확률로 응급의학과 진료실을 방문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상병이 응급의학과를 거쳐서 타과로 전과되는걸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응급의학과에서만 전담하는 질환 중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없다.
2. 상세
2.1. 외래
보통 의원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의 외래진료실. 다른 과를 열지 않는다면 동네 의원마냥 비응급 환자들만이 들어온다. 우리나라에서 생각하는 응급실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야간에도 환자를 받으려면 야간 외래 담당의를 고용해줘야만 한다. 다른 과도 그렇지만 야간 진료가 없을 경우 대기하던 환자들이 병원 문을 닫으면서 다 돌아가버린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내과에서 담당하는 가벼운 질환들까지 응급의학과의 외래 진료실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과보다 외래 진료실을 많이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1] 그러나 보통 외래로 들어오는 환자들의 병증이 가볍다보니[2] 병원비도 적게 청구되는 환자가 많아 수익이 높지 않으므로 임금이 적으면서도 간단한 질환에도 대응할 수 있는 수련의를 다수 쓰고 인턴들이 놓치고 넘어가는 환자를 커버할 진단 전문의를 응급과장으로 한명 갖추는 편이 유리하다. 진단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경우 플레이어가 직접 검사를 지정해주면 진단 확률이 올라가기도 한다.
감별 진단(Differential Diagnosis) 전공을 가진 의사가 있으면 외래 진료실 운영에 큰 도움이 된다.
2.1.1. 시설
2.1.1.1. 진료실
최소 크기는 4x4이며, 책상이나 테이블은 필수가 아니지만 청력 검사기와 CRP 검사기, 컴퓨터, 프린터가 책상 위에만 올라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무용 책상이 최소 2개 필요하다. 화이트보드는 설치하면 감별 진단 진행이 빨라지므로 필수적인 장비. 복잡해보이지만 다른 과의 진료실도 기본적으로 이 구성을 따라가거나 이 구성에서 장비 한두가지만 추가된 수준이므로 몇 번 짓다보면 금방 익숙해진다.필수 장비 : 의료 폐기물통, 청력 검사기, 검사 테이블, CRP 검사기, 손 세정제, 장비 캐비닛, 검사 램프/의료용 램프, 시력 검사표, 싱크대, 컴퓨터, 프린터/서류 보관함, 책상, 의자
권장 장비 : 책상, 테이블, 의자, 화이트보드
2.1.1.2. 대기실
환자가 처음 내원하면 접수 기계에 접수를 하고, 안내 TV의 호출에 맞춰 진료를 받게 된다. 필수 요소는 없지만 권장 요소가 있어야 접수부터 진료까지의 과정에 부드럽게 흘러가고, 특히 의자가 모자라면 대기 환자들의 불만이 오르기 때문에 넉넉하게 깔아주자. 특히 응급의학과는 대부분의 환자가 몰리기 때문에 의자를 많이 지어야한다.필수 장비 : 없음
권장 장비 : 벤치/의자, 접수 기계, 안내용 TV
2.1.1.3. 접수
접수는 간호사가 담당한다. 이 게임에서의 접수는 병원에 처음 와서 하는 접수가 아니라 환자의 트리아지에 가깝기 때문에 필수가 아니다.[3] 물론 병원이 커지고 환자가 많아지면 외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설치를 하는 것이 좋다. [4]필수 장비 : 컴퓨터
권장 장비 : 접수 책상, 의자
컴퓨터와 의자 1쌍 당 1명을 고용할 수 있으며, 업무 데스크가 바뀌기 전까진 오직 환자 접수만 가능하다.
2.1.1.4. 청소실
선반 1개 당 1명의 관리인을 고용할 수 있다. 청소 카트가 있어야 청소 효율이 올라간다. 복도의 핏자국이나 물기를 닦는다.필수 장비 : 선반
권장 장비 : 청소 카트
2.2. 내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응급실에 부합하는 곳으로, 단기응급병동과 중증외상센터가 있다. 다른 과의 입원 병실 개념과 같으므로 이곳에 입실한 환자들을 보기 위해선 온콜룸의 당직의들이 필요하다.
2.2.1. 단기응급병동
[image]
단기응급병동(Observation)은 타과에 환자를 보내기 이전에 환자를 수용하여 병세와 진행을 확인하는데 쓰이며, 다리를 다치거나 해서 거동이 힘든 환자를 침대에 눕히고 스트레쳐로 이동시키기 위해 쓰이거나, 타과 입원실이 포화 상태일때 환자를 귀가시키지 않고 임시 수용 하기도 한다. 수용 가능 환자 수는 침대(+환자 감시장치+침대 캐비닛)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필수 장비 : 병원 침대/현대 병원 침대[5]
+환자 감시장치+침대 캐비닛, 의료 폐기물통, CRP 검사기, 청력 검사기, 제세동기, 손 세정제, 싱크대, 장비 캐비닛권장 장비 : 침대 소켓, 장비 테이블, 의료용 전등/수술실 전등, 테이블, 화이트보드
응급의학과 진료실의 의사들은 진단이 어려울 경우 환자를 단기응급병동에 보내버린다. 여기서 추가적인 검사를 하고, 응급의학과에서 할 수 있는 검사가 끝난 경우 과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료실에 낮은 등급의 의사를 주로 배치해 인건비를 절약하고, 단기응급병동에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높은 등급의 의사를 넣어 고난이도의 진단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AI 의사가 중증외상센터에서 급한 환자는 아닌 것 같은데[6] 할 검사는 다 한것 같고 병명도 모르겠고 좀 관찰이 필요하다 싶은 경우에도 이 단기응급병동로 이동하게 된다. 환자는 여기서 당분간 입원하며 병세를 지켜보게 되며 진단이 내려질 경우 해당 과의 병동으로 이송되거나 치료되어 퇴원하게 되고, 의식 불명이 될 경우에는 다시 TC로 이송된다. 응급의학과의 진단 확실성이 높음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통 알맞은 과로 환자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곳에서 의식 불명 상태로 TC로 이송될 일은 보기 힘들게 된다.
AI 의사들이 꽤 자주 협심증과 심근경색증등 순환기내과 중환자를 여기 단기응급병동로 넣어버리곤 하니 주의할 것. 이런 환자는 보이는 즉시 순환기내과로 올려 보내야 심부전으로 중환자실에서 사망하는 불상사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2.2.2. 중증외상센터
[image]
중증외상센터(Trauma Center, TC)는 구급차로 입원한 환자와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의식불명 환자를 다룬다.필수 장비 : 수술 테이블+마취 워크스테이션+의료용 전등/수술실 전등, 의료 폐기물통, 제세동기, 손 세정제, 장비 캐비닛, 신속 초음파, 싱크대, 이동형 워크스테이션, 수술용 모니터
권장 장비 : 테이블, 화이트보드
응급처치와 상병 확인을 거쳐 타과로 옮기기 때문에 외상센터는 구급차가 하루에 이송해오는 만큼의 환자를 커버하고 의사가 주야간을 막론하고 상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7]
집중치료실과 마찬가치로 검사/처치 전에 응급처치를 필수로 진행해야 하므로 의사, 간호사를 충분히 배치해놔야 한다. 응급처치가 끝나면 TC에서 대기중이던 응급의학과 의사와 간호사가 가능한 처치를 시행하며, 가능한 응급 검사들을 시행하게 된다. 진단명이 내려지지 않았더라도 일단 급한 불부터 끄는 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
어느 정도 환자가 안정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알맞은 과의[8][9] HDU(고도의존성병상)등의 입원실로 환자를 보내게 된다.
필수 장비를 보면 알겠지만 설치 비용이 어마무시하다. 수술 테이블+마취기+전등만 해도 9000$이 나오며 필수 장비인 초음파와 워크스테이션도 합치면 9000$이다. 벽이나 타일, 보조 장비 비용까지 생각하면 기본 20000$에 추가 수술 테이블 갯수×9000$ 만큼 들어간다. 하지만 환자의 생명과 즉결된 곳이라 병원 규모에 걸맞게 계속 유지시켜줘야하는 곳.
2.2.3. 온콜 룸
응급의학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담당하는 의사들을 위한 공간이다. 컴퓨터와 의자 1쌍당 1명씩의 주/야간 의사를 고용할 수 있다.필수 장비 : 컴퓨터, 서류함, 프린터
권장 장비 : 책상, 의자
2.2.4. 간호사 스테이션
마찬가지로 응급의학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담당하는 간호사를 위한 공간이다. 식사 트레이가 있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입원 환자들의 식사도 간호사들이 전부 병동까지 가져다준다.필수 장비 : 장비 캐비닛, 컴퓨터
권장 장비 : 책상, 의자, 식사 트레이, '''스트레처'''
스트레처가 모자랄 경우 환자가 입원하거나 검사실로 가는 시간이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모자랄 경우 바로바로 추가해주자.[10]
2.3. 질병 목록
[1] 의사 한명당 최대 하루에 10명 정도를 맡을 수 있다. 70명 정도의 환자가 생긴다면 다른 과의 외래로 가는 것을 제외하고 50명 정도가 응급의학과로 몰리며, 5명의 의사가 있어야 환자가 기다리다 집으로 가지 않는다.[2] 응급의학과 전담 질병은 전부 비응급 질환이며 심각한 중환자의 경우 실제 질환은 타 과의 전담 분야기 때문에 당장 죽을 수도 있는 상황만 처치한 후 응급의학과를 경유하여 타과로 전과된다.[3] 환자 임의로 접수를 무시할 수도 있다.[4] 접수 간호사에게는 환자 자신이 알고 있는 증상만 얘기하고, 환자가 알고 있을만한 증상은 거의 중위험으로 분류되며 고위험 증상을 찾는 경우는 드물다. 의사가 증상을 묻는 시간을 줄인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한다.[5] 일반 침대가 599$인데 현대 침대는 2999$로 5배나 차이난다. ICU는 현대 침대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ICU 전용인 장비다. 일반 병실에서는 일반 침대를 사용하자.[6] 의사가 치명적인 증상을 검사로 발견하지 못한 경우만 포함이라서, 만약에 숨겨진 증상중에 치명적인 증상이 있다면 여기서 사고가 나게 된다. 단기응급병동에 들어가 있는 위급환자를 볼 경우 적절한 개입을 해줘야 한다.[7] 96×96 사이즈의 종합병원 기준으로 병상 6-8개 정도면 여유롭고, 4개만 있어도 충분히 굴러간다. 어차피 중증환자는 다른 과로 전출처리되고, 응급의학과에서 처리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금방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정도만 있어도 문제 없다. 다만 응급환자가 자주 오거나 이벤트를 자주 사용하는 유저라면 외상센터 6개 이상, 전담 의사 및 간호사 각 5명 이상을 고용해둬야 한다.[8] 진단이 내려지지 않았을 경우 최대한 가능성 있는 과로 이송한다. 물론 다른 과로 이송될 경우도 가끔 나오지만 이런 환자는 검사 후에 알맞은 과로 재이송 되게 된다.[9] 응급의학과 전담인 비응급 환자의 경우 몇시간 동안 중증외상센터를 점유하다가 돈을 내고 퇴원하는데, 이래서 비응급 환자들이 응급 환자들보다 중증외상센터에 있는 시간이 길다. 중증외상센터에 입원했다면 단기응급병동으로 보낼수도 없으므로 다수의 비응급 환자 사이에 응급 환자가 섞여들어오면 매우 난감하다. [10] 간호사들은 주변의 이용가능한 모든 스트레처를 이용하지만 스트레처가 없으면 멀리서 가져온다.[DLC] 감염내과 통합[11] 감염내과 DLC를 설치할 시 인플루엔자 A형, B형으로 나뉘게 된다.[12] 감염내과 DLC 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