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imag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 비슷한 기술인 바코드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이용한다.
RFID기술은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농장의 가축 분류[1] , 공항의 화물 분류[2] , 육상 선수들의 기록 측정, 여권이나 신분증 등의 개인 정보 수록[3] , 사람 몸에 태그를 부착해 기밀 저장소의 출입을 제한한다든가[4] 널리 쓰인다.
교보문고에서는 랩핑된 도서류에 RFID태그를 부착하여 도난방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책 랩핑에 붙어 있는 하얀색 씰을 자세히 보면 이 문서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이미지와 같은 모양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위키에도 문서가 작성된 것들로는...
국제적으로 RFID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몇몇 표준이 제정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ISO/IEC 14443. Type A와 Type B 두 종류가 있는데, 두 종류 모두 이용 주파수는 13.56MHz로 동일하다. MIFARE와 FeliCa 모두 이 표준을 준수하고, 티머니 이후에 출시된 교통카드들도 모두 국제표준 규격을 준수한다. 이 얘기는 반대로 안 쓰는 선후불교통카드는 NFC 태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단순한 음영으로 태그를 기록하는 바코드에 비해 더 다양한 정보를 수록할 수 있고, 상품에 부착할 경우 개개의 물건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게다가 패시브 태그의 경우 태그에 건전지가 없어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5] 실제로 1946년 소련의 레온 테레민은 첩보전쟁을 위해 모스크바 주재 미 대사관의 대사 집무실에다가 미국 인장을 나무로 깎아서 선물했는데, 그 속에 RFID태그를 달아뒀다. 소련 대사관에서 단말기를 통해 전파를 쏘면 태그가 도청을 하는 방식으로 6년이 지난 1952년에야 대사관 기술자가 비디오 리시버를 마구 돌려대다가 잡아낸 걸 조사하고서 알아낸 미 정부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보안이 취약'''하다. 전파를 이용해서 접촉 없이도 정보를 읽어올 수 있는데, 상당수의 상용화된 RFID 기술들의 보안 수준이라는 게 그다지 뛰어나지 않기 때문. MIFARE 같은 것은 최신 버전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보안 허점이 발견되어 숨풍숨풍 뚫렸다.
사생활 침해의 가능성이 있다. RFID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이나 도난 방지 시스템과 같이 공공장소에 리더기를 설치하고 신분증 등에 부착된 태그를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위치를 추적할수 있기 때문이다.
전파를 이용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몸에 심어도 인식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베리칩으로 대표되는 RFID 이식 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RFID를 몸에 이식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이런 인체 이식은 잘 이용하면 편해지겠지만 만약 이것을 회사나 국가가 주도할 경우 1984에서 볼 법한 독재가 실제로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막기 위해 RFID 이식을 강제할 수 없게 하는 법안을 만든 곳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도 공무원들에게만 통용되는 행정규칙이긴 하나 RFID 이식을 강제할 수 없다는 규칙을 만들어두고 있다. 또한 인체에 이식, 특히 손 부분에 많이 이식한다는 특징 때문에 666 음모론자들 중 RFID가 바로 짐승의 표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꼭 음모론이 아니더라도, 인체에 뭔가 이물질을 삽입하는 행위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썩 내키지 않아 하는 여론도 적지 않다.
Mythbusters에서 MRI와 RFID 칩에 대한 에피소드를 방영한 뒤 RFID의 보안에 대한 에피소드를 찍을까 했지만 계획단계에서 각종 금융회사 등의 전화로 인해 무산되었다. 위의 단점을 읽어보면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호텔 객실 카드키도 RFID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객실 문에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가까이 대면 잠금이 해제되는 형태이다. 이와 동시에 엘리베이터 탑승시에도 이 카드키를 대야 버튼이 눌러지는 형태를 취하는 곳도 있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KIoT-CP)의 RFID GL/SL이라는 국가공인민간자격이 있다.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1. 정의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 비슷한 기술인 바코드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이용한다.
2. 활용
RFID기술은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농장의 가축 분류[1] , 공항의 화물 분류[2] , 육상 선수들의 기록 측정, 여권이나 신분증 등의 개인 정보 수록[3] , 사람 몸에 태그를 부착해 기밀 저장소의 출입을 제한한다든가[4] 널리 쓰인다.
교보문고에서는 랩핑된 도서류에 RFID태그를 부착하여 도난방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책 랩핑에 붙어 있는 하얀색 씰을 자세히 보면 이 문서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이미지와 같은 모양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위키에도 문서가 작성된 것들로는...
3. 표준
국제적으로 RFID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몇몇 표준이 제정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ISO/IEC 14443. Type A와 Type B 두 종류가 있는데, 두 종류 모두 이용 주파수는 13.56MHz로 동일하다. MIFARE와 FeliCa 모두 이 표준을 준수하고, 티머니 이후에 출시된 교통카드들도 모두 국제표준 규격을 준수한다. 이 얘기는 반대로 안 쓰는 선후불교통카드는 NFC 태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4. 장점
단순한 음영으로 태그를 기록하는 바코드에 비해 더 다양한 정보를 수록할 수 있고, 상품에 부착할 경우 개개의 물건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게다가 패시브 태그의 경우 태그에 건전지가 없어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5] 실제로 1946년 소련의 레온 테레민은 첩보전쟁을 위해 모스크바 주재 미 대사관의 대사 집무실에다가 미국 인장을 나무로 깎아서 선물했는데, 그 속에 RFID태그를 달아뒀다. 소련 대사관에서 단말기를 통해 전파를 쏘면 태그가 도청을 하는 방식으로 6년이 지난 1952년에야 대사관 기술자가 비디오 리시버를 마구 돌려대다가 잡아낸 걸 조사하고서 알아낸 미 정부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5. 단점
'''보안이 취약'''하다. 전파를 이용해서 접촉 없이도 정보를 읽어올 수 있는데, 상당수의 상용화된 RFID 기술들의 보안 수준이라는 게 그다지 뛰어나지 않기 때문. MIFARE 같은 것은 최신 버전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보안 허점이 발견되어 숨풍숨풍 뚫렸다.
사생활 침해의 가능성이 있다. RFID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이나 도난 방지 시스템과 같이 공공장소에 리더기를 설치하고 신분증 등에 부착된 태그를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위치를 추적할수 있기 때문이다.
6. 여담
전파를 이용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몸에 심어도 인식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베리칩으로 대표되는 RFID 이식 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RFID를 몸에 이식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이런 인체 이식은 잘 이용하면 편해지겠지만 만약 이것을 회사나 국가가 주도할 경우 1984에서 볼 법한 독재가 실제로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막기 위해 RFID 이식을 강제할 수 없게 하는 법안을 만든 곳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도 공무원들에게만 통용되는 행정규칙이긴 하나 RFID 이식을 강제할 수 없다는 규칙을 만들어두고 있다. 또한 인체에 이식, 특히 손 부분에 많이 이식한다는 특징 때문에 666 음모론자들 중 RFID가 바로 짐승의 표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꼭 음모론이 아니더라도, 인체에 뭔가 이물질을 삽입하는 행위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썩 내키지 않아 하는 여론도 적지 않다.
Mythbusters에서 MRI와 RFID 칩에 대한 에피소드를 방영한 뒤 RFID의 보안에 대한 에피소드를 찍을까 했지만 계획단계에서 각종 금융회사 등의 전화로 인해 무산되었다. 위의 단점을 읽어보면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호텔 객실 카드키도 RFID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객실 문에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가까이 대면 잠금이 해제되는 형태이다. 이와 동시에 엘리베이터 탑승시에도 이 카드키를 대야 버튼이 눌러지는 형태를 취하는 곳도 있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KIoT-CP)의 RFID GL/SL이라는 국가공인민간자격이 있다.
[1] 식용우(牛)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귓볼에 붙여진 마이크로 칩이 바로 이것이다.[2] 홍콩 국제공항은 RFID기술을 이용한 화물 분류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도입해 85%밖에 안 되던 기존의 분류 정확도를 98%까지 끌어올렸다.[3]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여름부터는 여권에 스마트카드를 달아서 RF태그로 쓰는 전자여권이 발급되고 있다.[4] 실제로 멕시코 국무장관이 사무실 직원의 몸에 태그를 심어 활용했다.[5] 액티브 태그는 건전지 등의 전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