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L 보훔

 


[image]
'''Verein für Leibesübungen Bochum 1848 Fußballgemeinschaft eingetragener Verein'''
VfL 보훔
[1]

[image]
'''VfL 보훔 '''
'''VfL Bochum'''
'''정식 명칭'''
Verein für Leibesübungen Bochum 1848 Fußballgemeinschaft eingetragener Verein
'''애칭'''
Die Unabsteigbaren
'''창단'''
'''1848년''' / 1938년 4월 15일
'''소속 리그'''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연고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아른스베르크 현 보훔(Bochum)
'''홈 구장'''
보노비아 루르슈타디온(Vonovia Ruhrstadion)
27,599명 수용
'''라이벌'''
'''SG 바텐샤이트 09'''
'''회장'''
한스페터 필리스 (Hans-Peter Villis)
'''감독'''
토마스 라이스 (Thomas Reis)
'''수석코치'''
하이코 부처 (Heiko Butscher)
'''주장'''
앙토니 로시야 (Anthony Losilla)
'''역대 한국인 선수'''
김주성 (1992~1994), 정대세[2] (2010~2012), 이청용 (2018~2020)
'''공식 웹 사이트'''

'''지난 시즌 성적
(2019-20 시즌)
'''
2. 분데스리가 8위
'''우승 기록'''
'''2. 분데스리가 (2부)'''
(5회)
1969-70[*], 1970-71[*], 1993-94, 1995-96, 2005-06

'''2020-21 시즌 골송'''
1. 개요
2. 역사
3. 최근 시즌
3.1. 2018-19 시즌
3.2. 2019-20 시즌
3.3. 2020-21 시즌
4. 선수 명단
5. 역대 주요 선수

[clearfix]

1. 개요


독일 2. 분데스리가의 축구 클럽. '''1848년'''[3]에 창립된, 연도상으로만 따지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구단중 하나이다.

2. 역사


1848년 7월 26일 창단 이후 1852년 12월 28일에 탄압으로 인해 잠시 해산되었지만, 1860년 6월 19일에 다시 복구해서 지금까지 팀의 역사가 계속되고 있다. 그 뒤에 나치에 의해 몇 팀이 더 합쳐지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자리잡았다. 그래서 1848년을 창단 연도로 보기도 하고, 통합된 형태로 탈바꿈한 1938년을 창단 연도로 보기도 한다.
그런데… 그 긴 역사 동안 '''1부 리그 우승 기록이 없다.''' 2부 리그 우승만 3번뿐이다(1993/94, 1995/96, 2005/06). 창단되고 나서 정말 오랜 시간이 지난 1971년에 와서야 처음 1부 리그에 승격한 후, '''20년''' 정도 1부 리그에서 버텼지만 1990년대 다시 강등된 다음에는 주로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왔다 갔다 한다. 소위 말하는 요요 클럽[4]의 범주에 속한다. 팀 역사상 가장 좋은 성적은 분데스리가 5위이다. '''심지어 컵 대회 우승도 없다.''' 포칼 준우승만 2번뿐(1967/68, 1987/88). 창단된 지 170년이 다 되어 가는 팀치고는 초라한 성적이다.
2000-01 시즌 18위로 강등당한 후, 한 시즌 만인 2001/02 시즌 2. 분데스리가 3위로 승격한 뒤 2002/03 시즌 21골로 득점왕에 오른 토마스 크리스티안센의 활약으로 9위로 마감한다.
2003-04 시즌은 16골과 13골을 넣은 바히드 하세미안페터 마센, 그리고 수비수 프랑크 파렌호스트의 활약에 힘입어 5위로 마감, UEFA컵 출전권을 따냈다.
2004-05 시즌 카이저슬라우테른브라티슬라브 로크벤츠알렉산더 나우스, 바이에른 뮌헨의 즈볘즈단 미시모비치, 샬케의 필립 트로얀을 데려왔지만, 바이에른 뮌헨, 브레멘, 레버쿠젠으로 이적한 지난 시즌의 주축들 바히드 하세미안과 파렌호스트, 파울 프라이어의 공백을 메우지 못하고 16위로 강등당했다.
하지만 요요클럽답게 2005-06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한 시즌 만에 분데스리가로 올라왔다.
2006-07 시즌 20골로 득점왕에 오른 테오파니스 게카스야로슬라브 드로브니, 센터백 안타르 야히아의 활약으로 8위로 마감한다.
이후 중위권에 머무르다 2009-10 시즌 17위를 거두며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2010-11 시즌 2부 리그 3위를 기록하면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상대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차 원정 경기에선 막판 90분에 당한 실점으로 1:0으로 패했고 2차전 안방 경기에선 1:1로 비기면서 승격에 실패했다.
2011-12 시즌은 리그 12위(33차전)로 일찌감치 2부 리그 잔류가 결정되었다.
2012-13 시즌은 고전하면서 19차전까지 2부 리그 15위로 밀려났다. 3부 리그 강등권과 겨우 2점 차라서 안 좋은 상황이었고, 계속 이 수준을 유지하면서 아슬아슬하게 버텼다. 결국 31차전까진 14위로 일단 2부 리그 잔류를 해냈다.
2013-14 시즌은 16라운드까지 2부 리그 9위를 기록 중이다. 결국 다시 2부 리그에 잔류하게 되었다.

3. 최근 시즌



3.1. 2018-19 시즌


18-19 시즌 이청용을 영입하며 한국에 팀을 알렸다. 그리고 이청용과 함께한 첫 시즌은 '''11승 11무 12패로 11위'''...

3.2. 2019-20 시즌


19-20 시즌 8연속으로 무승을 거두며 최악의 시작을 보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경기력을 회복해 15라운드 현재 3승 8무 4패로 13위이다.
겨울이적시장에서 이청용울산 현대로 이적했고, 그 여파인지 팀은 다시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25라운드가 끝난 현재 6승 10무 9패로 강등권 바로위인 15위에 올라있다. 하지만 이후 절차부심하여 33라운드 기준 리그 6위까지 올라갔다.

3.3. 2020-21 시즌


부산에서 뛰었던 노보트니 쇼마가 보훔으로 이적하였으며 간불라가 유럽의 여러 1부리그 팀들의 이적 타겟이 되면서 이적할 확률이 매우 높아졌다. 하지만 일단은 팀에 남았다.
시즌이 시작하고 로베르트 줄지몬 촐러, 세르다르 두르순 의 활약으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홀슈타인 킬, 함부르크 SV와 함께 우승권에서 경쟁중이다.

4. 선수 명단




5. 역대 주요 선수



[1] 2015년 6월 해체되었다.[2] 대한민국과 북한의 이중국적이지만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고있다.[*] A B 레기오날 리가가 2부 리그이던 시기에 우승 기록.[3] 1848년 혁명이 일어난 해이다. 당시 조선은 헌종 재위기였다.[4] 1부 리그 강등과 2부 리그 승격을 자주 반복하는 클럽.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