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image]
'''정식 명칭'''
쌍용건설주식회사
'''영문 명칭'''
Ssangyong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국가'''
대한민국
'''설립일'''
1977년 10월 18일
'''업종명'''
주거용 건물 건설업
'''아파트 브랜드'''

'''상장유무'''
상장폐지
'''상장시장'''
코스닥시장 (1993년 ~ 2014년)
'''종목코드'''
012650
'''주요 주주'''
두바이 투자청:100%
'''대표이사'''
김석준
'''도급순위'''
28위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연혁
3. 대표 실적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 2006년 4월 쌍용그룹에서 분리된 회사이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99 (신천동)에 있다.
주요 사업은 건축공사, 토목공사, 플랜트공사, 조경공사, 시설물유지관리, 가스공사 등이다. 계열회사로는 인천북항부두운영(주), (주)테크노파크비즈시티, 뉴시티도렴프로젝트금융투자(주), (주)마스턴제이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정암H&D, 정암제삼차(유) 등의 국내 법인과 미국·인도네시아·러시아·적도기니·사우디아라비아·말레이시아·리비아 등지의 해외 법인이 있다.
2020년 도급순위에서 28위를 기록하였다.

2. 연혁


1977년 10월 쌍용양회 건설사업부에서 독립하여 쌍용종합건설(주)로 설립되었다. 1978년 유창건설(주)에 이어 1981년 쌍용운수와 유국개발(주)을 흡수합병하였고, 1985년 요르단 건설공사 수행과 요르단의 국가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요르단 독립훈장을 받았다. 1986년 1월 지금의 상호로 변경하였으며, 1993년 1월 코스닥에 상장하였다. 1993년 11월 ASME(미국기계학회) 인증서를 취득하였고, 1997년 ISO 9001/14001 품질환경경영시스템 통합 인증을 취득하였다.
1998년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선정되어 기존 주식 감자출자전환을 거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최대주주가 되었으며, 2004년 10월 워크아웃을 졸업하였다. 2007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공사를 수주하였고, 2008년 KOSHA 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그 후 캠코에서 계속 매각을 시도하다가 무산된 상태에서 재무구조가 악화되어 2013년 2월 '''다시'''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 결국 2013년 12월 30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정관리 하에서 M&A가 추진되어, 2014년 12월 두바이 투자청이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되고 # 2015년 3월 법정관리에서 벗어났다.
아파트 브랜드는 쌍용 스윗닷홈을 사용하다가, 쌍용 스윗닷홈 예가를 출시하였으며, 이후 너무 길어서인지 쌍용예가를 사용한다. 쌍용건설은 쌍용그룹 소속의 건설사여서 쌍용예가는 꽤 괜찮은 브랜드라 할 수 있었다. 또한 2018년 쌍용건설에서 더 플래티넘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런칭했는데, 로고나 이름이 호평을 받고 있다.

3. 대표 실적


  • 래플스 호텔
  •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 주메이라 에미리트 타워 호텔
  • 자카르타 그랜드 하얏트 호텔
  • 스타우드 호텔 & 리조트
  • 발리 인터콘티넨탈 호텔
  • 밤섬 예가 클래식[1]
  • 전주월드컵경기장[2]
  • 고속터미널역9호선 승강장과 터널 일부[3]

4. 여담


  • 쌍용그룹 창업주 김성곤의 차남이자 김석원 전 쌍용그룹 회장의 동생인 김석준이 계속하여 회장직을 맡고 있다. 이는 오너로서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워크아웃 당시 채권단이나 새로운 대주주인 두바이 투자청이 전문경영인으로서의 능력을 인정하였기 때문이다.##
  • 쌍용자동차는 지금은 남남이지만 그래도 한때 같은 그룹 아래의 계열사였고 같은 쌍용의 이름을 쓰다보니 나름 애착이 있는지 김석준 회장은 의전차로 쌍용 체어맨을 사용한다. 본래 체어맨 1호차를 타다가 2015년에 기증, 체어맨 W를 새로 구매해서 타고 다닌다.
[1] 국내 최초 2개층 수직증축 아파트 리모델링[2] 성원건설, 동부건설과 공동 시공[3] 당시 온갖 신기술을 도입했는데, 3호선9호선이 다니는 터널과의 간격은 15cm에 불과하다. 거기에 건축 과정에서도 신반포로 수요와 그 주변 건축물, 기존 3호선7호선 승강장, 연약지반, 고속터미널 지하의 노후 상가 등 많은 변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