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4. 모양
5. 쓰임
6. 한자
6.1. 음독
6.2. 훈독
7. 한글 표기


1. 개요


や행 う단 글자이다.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や행의 초성은 유성 경구개 접근음이다. 또한 /j/가 들어간 모음들을 표시하기 위해 い단과 조합할 수 있다. キャ / ジャ 등. 그 외에 ヴ / フ / テ와도 조합해 /vja/, /fya/, /tya/를 낼 수도 있다.

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원순화된 후설 평순 고모음(/ɯ̹/)으로 ㅜ(/u/)와 ㅡ(/ɯ/)의 중간발음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4. 모양


[image]
[image]
히라가나 ゆ는 由의 음에서 왔다. 由는 한중일 모두 지금도 '[ju]'라고 읽는다.
가타카나 ユ는 弓의 뜻에서 왔다. 지금도 뜻으로는 ゆみ라고 읽는다. 由의 아랫부분을 따왔다는 설도 있다. 한글 와 유사한 모양이다.

5. 쓰임


다른 う단과는 달리 동사 어미로 쓰지 않는다. 다른 う단들은
: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 会う, 言う
: 書く, 続く
: 差す, 落とす
: 放つ, 勝つ
: 死ぬ
: 選ぶ, 呼ぶ
: 産む, 噛む, 盗む
등등이 있다. 사실 도 거의 死ぬ뿐이긴 하다.
문어 일본어에는 ゆ 어미의 동사도 있었다. 燃ゆ, 見ゆ등이 그 예로, 현재 ~える의 어미를 가지고 있는 동사 중 일부가 ゆ 어미의 동사였다.[1]

6. 한자



6.1. 음독


'''日'''
'''韓'''
'''한자'''
'''韓'''
'''한자'''
'''특수'''

(7)

油喩愉諭[2]





ユイ

唯遺[3]




ユウ
(16)

有幽悠猶裕


友郵憂優右






勇湧


상용한자표에서 ユ로 시작하는 독음은 3종이며 한자 수는 25자이다. 밑줄은 장음/단음으로도 읽는 글자이다.
한국 한자음으로 '유'로 읽는 것은 보통 일본 한자음으로는 보통 ゆ가 된다. 이를 조금 분류해보면
  • 由가 들어가는 한자: 油(기름 유), 柚(유자 유)
  • 兪가 들어가는 한자: 癒(나을 유) 愈(나을 유) 愉(유쾌할 유) 喩(비유할 유) 楡(느릅나무 유) 諭(유)
  • 遊(놀 유)
가 된다. 輸(옮길 수)는 兪의 음에 이끌려 일본에서는 ゆ로 읽지만 반절에 따르면廣韻(1008) 式朱切로 중국/한국에서처럼 shu/수로 읽는 것이 맞다. 일종의 속음인 셈. 우리말로 치면 대창운수를 '대창운유'라고 읽는 셈이다.

6.2. 훈독


ゆ가 단독으로 뜻으로 쓰일 땐 주로 '뜨거운 물'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湯(끓일 탕) 자.
[image]
그래서 일본 목욕탕 노렌(입구에 있는 천)에는 ゆ라고 써져있는 경우가 많다. 온천 이름에도 ゆ를 쓰는 경우가 많다. 아예 ゆ를 쳐서 변환하는 메뉴에 온천 기호(♨)가 들어있을 정도.
그 외에도 사케를 마시는 방법으로 水割り(みずわり)라고 하면 찬 물을 타는 거고, お湯割り(おゆわり)라고 하면 따뜻한 물을 타는 것이 된다.
ゆう로 길게 읽을 경우 夕의 훈이 되기도 한다. 夕ご飯(ゆうごはん;저녁 밥) 등이 이런 용도로 쓰인다.

7.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유'로 적는다.

[1] 현재 ~える의 어미를 가진 자동사 중 타동사형의 어미가 ~やす, ~やる이면 문어체에서 ゆ 어미이다.[2] 由緒(ゆいしょ, 유서)에서는 ユイ이다.[3] 遺言(ゆいごん, 유언)에서만. 대개는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