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모음
高母音 / Close vowel
[image]
혀의 높이를 가장 높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때문에 혀가 입천장에 닿을락 말락하게 턱을 거의 내리지 않고 발음한다. 이보다 혀의 높이가 높으면 공기 흐름에 장애가 일어 자음이 된다.
/i/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ㅣ에서 이 발음이 난다. 영어에서는 장모음 E가 이 발음의 장음 형태로 발현. (예 : feel, tea)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j/이다.
/y/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단모음 ㅟ가 이 발음이 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ㅟ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고 있다.[1] '쉬'라는 글자를 발음하다 보면 ㅅ이 '시'의 ㅅ과 같은 음가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ㅟ가 이 발음이 나면서 앞의 ㅅ을 구개음화시키기 때문이다. (/sy/ → /ɕy/)
이 발음의 접근음은 /ɥ/인데 한국어의 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될 때 /ɥi/로 나타나며 그 밖의 경우에도 특정 단어에서 드물게 발음된다. 자세한 사항은 양순 경구개 접근음 참조.
한편,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에도 이 음가를 갖는 모음(u)이 있다. 그래서 이 음가를 한국어로 옮길 때 ㅟ로 옮긴다. (예: 데뷔, 뷔페, 튀니지...) 독일어나 터키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등의 ü나 핀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등의 y도 이 모음을 나타낸다. 그 외 중국어의 l/n + ü, j/q/x + u도 이 발음이 난다.
/ɨ/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적당히(...) 뒤로 뺀 뒤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일부 방언에서의 ㅡ, ㅢ가 이 발음이 나며(의정부 [ɰi.d͡ʑʌŋ.bu] → [ɨ.d͡ʑʌŋ.bu][2] ) 러시아어의 ы, 중국어에서 zh, ch, sh, r등 권설음 다음에 i가 오는 경우에 i가 이런 발음을 내며, 폴란드어의 Y, 루마니아어의 Î가 이 발음이 난다. 간혹 어떤 이는 /i/로 소리내야 할 것을 /ɨ/로 소리내는 경우가 있다. 예시: 씹부자 [ɕip. ̊bu.d͡ʑa] → [sɨp. ̊bu.za])
/ʉ/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뒤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폴란드어에서 /u/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연음(구개음화된 자음) 뒤에 u, ó(u랑 동일 발음)가 오면 /ʉ/로 소리난다. 예시) miód(꿀) /mʲjʉt̪/
북한의 한국어 화자 일부(대략 16.7%)는 ㅡ를 이렇게 발음한다.
/ɯ/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의 ㅡ, 터키어의 ı에서 나는 소리이며, 일본어의 う단에도 이 모음이 들어가 있다.[3] 이 발음의 접근음은 ㅢ의 ㅡ발음을 내는 /ɰ/이다. 연구개 접근음 참조.
위키백과에 따르면 영어의 캘리포니아 방언에서 goose[ɡɯˑs] 따위에 있다고 한다.
/u/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ㅜ에서 이 발음이 난다. 독일어에서는 u가 이 발음을 내며 영어 단어 soon의 oo가 이 소리를 장음으로 낸다.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w/이다.
또, '''모음 중 가장 원순성이 강한 모음'''이기도 하다. 원순화되기 쉬운 후설모음+입을 가장 작게 벌리는 고모음이 시너지를 일으켜 원순성이 매우 강해 h발음이 선행할 때 양순 마찰음으로 만들어버린다.
1. 개요
[image]
혀의 높이를 가장 높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때문에 혀가 입천장에 닿을락 말락하게 턱을 거의 내리지 않고 발음한다. 이보다 혀의 높이가 높으면 공기 흐름에 장애가 일어 자음이 된다.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고모음
/i/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ㅣ에서 이 발음이 난다. 영어에서는 장모음 E가 이 발음의 장음 형태로 발현. (예 : feel, tea)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j/이다.
2.2. 전설 원순 고모음
/y/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단모음 ㅟ가 이 발음이 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ㅟ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고 있다.[1] '쉬'라는 글자를 발음하다 보면 ㅅ이 '시'의 ㅅ과 같은 음가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ㅟ가 이 발음이 나면서 앞의 ㅅ을 구개음화시키기 때문이다. (/sy/ → /ɕy/)
이 발음의 접근음은 /ɥ/인데 한국어의 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될 때 /ɥi/로 나타나며 그 밖의 경우에도 특정 단어에서 드물게 발음된다. 자세한 사항은 양순 경구개 접근음 참조.
한편,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에도 이 음가를 갖는 모음(u)이 있다. 그래서 이 음가를 한국어로 옮길 때 ㅟ로 옮긴다. (예: 데뷔, 뷔페, 튀니지...) 독일어나 터키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등의 ü나 핀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등의 y도 이 모음을 나타낸다. 그 외 중국어의 l/n + ü, j/q/x + u도 이 발음이 난다.
2.3. 중설 평순 고모음
/ɨ/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적당히(...) 뒤로 뺀 뒤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일부 방언에서의 ㅡ, ㅢ가 이 발음이 나며(의정부 [ɰi.d͡ʑʌŋ.bu] → [ɨ.d͡ʑʌŋ.bu][2] ) 러시아어의 ы, 중국어에서 zh, ch, sh, r등 권설음 다음에 i가 오는 경우에 i가 이런 발음을 내며, 폴란드어의 Y, 루마니아어의 Î가 이 발음이 난다. 간혹 어떤 이는 /i/로 소리내야 할 것을 /ɨ/로 소리내는 경우가 있다. 예시: 씹부자 [ɕip. ̊bu.d͡ʑa] → [sɨp. ̊bu.za])
2.4. 중설 원순 고모음
/ʉ/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뒤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폴란드어에서 /u/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연음(구개음화된 자음) 뒤에 u, ó(u랑 동일 발음)가 오면 /ʉ/로 소리난다. 예시) miód(꿀) /mʲjʉt̪/
북한의 한국어 화자 일부(대략 16.7%)는 ㅡ를 이렇게 발음한다.
2.5. 후설 평순 고모음
/ɯ/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의 ㅡ, 터키어의 ı에서 나는 소리이며, 일본어의 う단에도 이 모음이 들어가 있다.[3] 이 발음의 접근음은 ㅢ의 ㅡ발음을 내는 /ɰ/이다. 연구개 접근음 참조.
위키백과에 따르면 영어의 캘리포니아 방언에서 goose[ɡɯˑs] 따위에 있다고 한다.
2.6. 후설 원순 고모음
/u/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ㅜ에서 이 발음이 난다. 독일어에서는 u가 이 발음을 내며 영어 단어 soon의 oo가 이 소리를 장음으로 낸다.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w/이다.
또, '''모음 중 가장 원순성이 강한 모음'''이기도 하다. 원순화되기 쉬운 후설모음+입을 가장 작게 벌리는 고모음이 시너지를 일으켜 원순성이 매우 강해 h발음이 선행할 때 양순 마찰음으로 만들어버린다.
[1] 사실 이 발음도 우리나라에서는 근대국어에서부터 나타난 발음이다.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발음이지만 사라지는 것도 매우 빨리 사라지는 중이다.[2] 표준 발음법에선 단어의 맨 앞 음절일 땐 제대로 이중모음으로 소리내야 한다.[3] 일본어 う단의 경우 엄밀히는 살짝 원순화된 [ɯᵝ\] 모음이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