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베풀 장
|
| | '''총 획수'''
| 11획
|
| 고등학교
| | |
|
| -
|
'''일본어 음독'''
| チョウ
|
'''일본어 훈독'''
| は-る
|
|
| 张
|
'''표준 중국어 독음'''
| zhāng
|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張자는 베풀다, 넓히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2. 자원
소전에서 활을 뜻하는
弓과 발음요소인
長이 더해진 형성자로 당기다의 뜻을 나타낸다. 이후 '베풀다', '펴다', '늘이다'의 뜻이 파생되었다.
3. 출전
출전
| 원문
|
설문해자
| 施弓弦也。从弓長聲。陟良切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張) 弓弦也。各本作施。今正。、敷也。張弛、本謂弓施弦解弦。引申爲凡作輟之稱。禮記曰。張而不弛。文武弗能也。弛而不張。文武弗爲也。一張一弛。文武之道也。从弓。長聲。陟良切。十部。
|
강희자전
| 〔古文〕弡《唐韻》陟良切《集韻》《韻會》中良切,帳平聲。《說文》施弓弦也。《禮·曲禮》張弓尚筋。《儀禮·鄕射禮》勝者執張弓。 又《廣雅》大也。《詩·大雅》孔修且張。《書·康王之誥》張皇六師。 又《廣雅》施也。《史記·武帝紀》張羽旗,設供具,以祀神君。 又《廣韻》開也。《老子·道德經》將欲翕之,必故張之。 又《韻會》設也。《史記·曹相國世家》取酒張坐飮。 又施絃曰張。《前漢·董仲舒傳》琴瑟不調甚者,必解而更張之。 又羅取鳥獸曰張。《周禮·秋官·冥氏》掌設弧張。《註》弧張,罿罦之屬。《後漢·王喬傳》自縣詣臺朝,輒有雙鳧飛來,舉羅張之,但得一隻舄焉。 又計物之數曰張。《左傳·昭十三年》子產以幄幕九張行。《後漢·明帝八王傳》寵有彊弩數千張。 又星名。《史記·律書》西至于張。張者,言萬物皆張也。《天官書》張素爲廚,主觴客。《正義》張六星,六爲嗉,主天廚飮食,賞賚觴客。 又譸張,誑也。《書·無逸》民無或胥,譸張爲幻。 又蹶張,以足張弩也。《前漢·申屠嘉傳》以材官蹶張。《註》如淳曰:能脚踏强弩張之,故曰蹶張。師古曰:今之弩,以手張者曰擘張,以足張者曰蹶張。 又乖張,相戾也。《司馬貞·補史記序》其中遠近乖張。 又姓。《廣韻》本自軒轅第五子揮,始造弦,實張網羅,世掌其職,後因氏焉。風俗通云:張王李趙,黃帝賜姓也。出淸河,南陽,吳郡,安定,燉煌,武威,范陽,犍爲,沛國,梁國,中山,汲郡,河內,高平十四望。《詩·小雅》張仲孝友。 又《廣韻》《集韻》《韻會》《正韻》知亮切,音帳。《廣韻》張施。《集韻》設也。《周禮·天官·掌次》掌凡邦之張事。《前漢·王尊傳》供張如法而辦。 又《韻會》自侈大也。《左傳·桓六年》隨張必棄小國。《釋文》張,豬亮反。 又張絃之張,亦音帳。《嵆康·琴賦》伶倫比律,田連操張,進御君子,新聲亮。 又與脹通。《左傳·成十年》晉侯將食張如厠。《註》張,脹滿也。 又與帳通。《史記·高帝紀》復留止張飮三日。《註》張,幃帳也。 又《左傳·僖十五年》隂血周作,張脈僨興。《疏》血旣動作,脈必張起,故言張脈也。《釋文》張,中亮反。 又雄張。《後漢·班超傳》于寘王雄張南道。《註》雄張,猶熾盛也。張,丁亮反。
|
4. 용례
- 장(張), 장수(張數)
- 과장(誇張)
- 긴장(緊張)
- 신장(伸張)
- 장황(張皇) - 매우 길고 번거로운 데가 있다.
- 주장(主張)
- 확장(擴張)
4.2. 고사성어·숙어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992,721명, 전체 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인동(仁同),
안동(安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장(성씨) 문서 참조.
장씨 성 가진 사람 95% 이상.
5. 유의자
- 宣(베풀 선)
- 設(베풀 설)
- 施(베풀 시)
- 陳(베풀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