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긴 장
'''부수
나머지 획수'''

長, 0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なが-い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cháng, zhǎng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용례
2.1. 단어
2.2. 지명
2.3. 고사성어·숙어
2.4. 인명
3. 부수
5. 유의자
6. 상대자

[clearfix]

1. 개요


길 장(長).
長자는 ‘길다’의 뜻이며 시간적•공간적으로 꽤 벌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반대의 개념으로 (짧은 단)자가 있다. 길다, 우두머리, 자라다, 어른, 최고책임자, 권한자, 장인 등등 엄청나게 다양한 수식어로 쓰인다.
유니코드는 9577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8급으로 분류된다.
자원은 머리털이 긴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나, 추후 늙는다는 것에서 시간적인 길다의 개념과 고대에 머리를 깎지 못했던 사람들의 늘어진 머리에서 공간적인 길다의 개념으로 확대 되었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발음이 통합되었지만, 이 글자는 원래 뜻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다음자이다. '길다'라는 의미로 쓸 때는 澄母에 평성으로 읽고, '어른', '나이가 많다', '자라다' 등의 의미로 쓸 때는 知母에 상성으로 읽는다. 표준중국어를 기준으로 하면 각각 cháng과 zhǎng으로 읽는 것이다.
야민정음에서는 한글 '튽'으로 대체된다. 가수 김장훈이 '숲튽훈'이라 불리는 것도 이 한자에서 나온 것이다.[1]
비교하기



2. 용례



2.1. 단어



2.2. 지명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江原道 三陟市 下長面)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京畿道 水原市 長安區)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慶尙南道 金海市 長有洞)
  • 만리장성(萬里長城)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釜山廣域市 機張郡 長安邑)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釜山廣域市 金井區 長箭洞)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장사동(서울特別市 鍾路區 長沙洞)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서울特別市 東大門區 長安洞)
  • 전라남도 장성군(全羅南道 長城郡)
  • 전라남도 장흥군(全羅南道 長興郡)
  • 전라북도 장수군(全羅北道 長水郡)
  • 일본 나가노 현(長野県/장야현), 나가사키 현(長崎県/장기현)

2.3. 고사성어·숙어


  • 무병장수(無病長壽)
  • 불로장생(不老長生)
  • 장유유서(長幼有序)

2.4. 인명


장(성씨) 참조.

3. 부수



명칭 : 길장부
강희자전 안에 16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쉰다섯 자가 수록되있다.
부수로 붙을 때에는 길다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또한 성부의 좌측변에 붙을 때에 형태가 镸자로 바뀐다.

4. 일본어


  • 훈독 長い (ながい) : 길다
  • 음독: ちょう ex) 隊長 (たいちょう) : 대장
인명과 지명에 아주 흔히 쓰인다.
長谷를 'はせ(하세)'로 읽는 특이한 독법도 있다. 이렇게 읽은 성씨로는 長谷川(하세가와)가 유명하다.

5. 유의자


  • (길쭉할 타)

6. 상대자


  • (짧을 단)

[1] 하지만 실제 김장훈의 이름은 長을 쓰지 않고 章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