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한국/나라 한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7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から''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há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 을 나타냄

1. 개요
2. 용례
2.1. 인명
2.2. 기타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韓'''(한)은 에울 위(韋)에 간(倝)의 소리를 결합한 형성자다. 원래 형태는 倝과 韋가 합쳐져 韋의 위에 人이 덧붙어진 모양이었는데, 지금의 자형에서는 생략되었다. 이체자 중에 옛 형태에 가까운 '𩏑'이 있다.
본래는 우물가를 에워싸는 ‘우물 난간’이라는 뜻이다. 설문해자에 井垣(우물 정, 담 원)으로 풀이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이 뜻으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고유명사, 특히 한국(韓國)을 뜻한다.[1] 더불어 한국에서는 한민족이나 한반도 지역을 의미하기도 하나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에는 용례가 조금씩 다르다. 이 한자의 국명으로서의 유래에 대해서는 조선(동음이의어)이나 대한민국/국명 참조.
일본어에서의 음독은 'かん(칸)', 훈독은 'から(카라)'이다. 오늘날 '한국'이나 중국 전국시대의 한나라 등을 의미할 때는 전자만이 쓰이며 후자의 경우 역사적 지명 등 고유명사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카라'는 당나라의 당(唐) 자의 훈독음과도 같은데, 이에 대해서 '(당시 일본이 인식할 수 있었던) 바다 건너의 제(諸)외국'을 모두 '카라'라고 했다는 설과 한반도의 국가인 '가야(가라)'를 가리켰다는 설 등이 있다.
일본 규슈에는 가라쿠니타케(韓国岳; 한국악)이라는 봉우리의 이름이 존재하는데, 이것 역시 한반도 또는 도래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설과 '바다 건너 한국(韓國; 당시로서는 삼한) 지역까지 널리 보일 정도의 봉우리'라는 의미였다는 설이 존재한다.

2. 용례


  • 전국시대전국칠웅 가운데 하나인 한나라를 뜻하는 글자이다.
  • 한반도 남부의 국가인 삼한의 이름으로 쓰였다. 삼한은 의미가 확장되어 한반도 지역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된다.
  • 삼한에서 차용하여 대한제국의 국호가 되었다.
  • 대한제국에서 차용하여 대한민국의 국호로 쓰이게 된다.

2.1. 인명



  • 성씨로도 쓰인다. 중국 백가성의 15위에 해당한다. 전국칠웅 한나라도 한씨가 세워서 한나라인 것이다. 한국의 한씨는 모두 한 집안이라는 말이 있는데, 1만 명 이하의 희귀한 성씨인 곡산 한씨를 제외한 한씨들은 청주 한씨의 분파라고 한다. 또한 한씨인 사람들 모두가 이 글자를 쓴다고 간주하자.

2.2. 기타


(가죽 위)가 오른쪽에 포함된 한자들 중 유일하게 韋를 부수로 취한다.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씨줄 위)
  • (어긋날 위)
  • (호위할 위)
  • (훌륭할 위)
  • (꺼릴 휘/숨길 휘)

[1] 광개토대왕릉비에도 나오는 한자다. 정확히 "내가 몸소 다니며 약취(略取)해 온 한인('''韓'''人)과 예인(穢人)들만을 데려다가 무덤을 수호·소제하게 하라"는 구절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