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가멜라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
[image]
가우가멜라 전투 상상화. 샤를 르 브룅 作, 1669년
'''시기'''
기원전 331년 10월 1일
'''장소'''
메소포타미아 아르벨라 근교의 가우가멜라 평원
'''원인'''
알렉산드로스 3세페르시아 침공
'''교전국'''
[image] 마케도니아 왕국
코린토스 동맹
[image]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지휘관'''
알렉산드로스 3세
파르메니온
크라테로스
헤파이스티온
클레이토스
페르디카스
안티고노스
셀레우코스
<^|1>다리우스 3세
베소스
마자에오스
오론테스 2세 †
아트로파테스
'''병력'''
고대 사료 주장
47,000 명[1]
250,000 명 ~ 1,000,000 명
현대 사가(史家) 추정
40,000 명 이상
34,000 ~ 100,000 명
'''피해'''
고대 사료 주장
300 ~1,100 명
40,000 ~ 90,000 명
'''결과'''
마케도니아군의 승리
'''영향'''
다리우스 3세 사망, 아케메네스 왕조의 멸망.
1. 개요
2. 전투 배경
3. 전투
3.1. 양군의 전력
3.2. 배치 및 진행 과정
4. 전투 이후의 경과 및 평가

[clearfix]

1. 개요


BC 331년, 현대 이라크 북동부의 가우가멜라 평원에서 벌어진 마케도니아 왕국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사이의 결전이다. 마케도니아군이 압승을 거둠으로써 사실상 아케메네스 왕조의 숨통을 끊은 전투이다. 하지만 널리 알려진 것과 달리 '''일방적인 학살''' 수준은 아니었으며,[2] 페르시아군도 나름 분전한 전투다. 마케도니아군 역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image]

2. 전투 배경


BC 333년 이수스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알렉산드로스 3세는 2년에 걸쳐 지중해 동부 해안 전체와 이집트를 정복했고, 곧이어 페르시아의 심장부 메소포타미아를 향해 진군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다리우스 3세는 남아 있는 제국 영토에서 열심히 병력을 긁어모았고, 양군의 군대는 가우가멜라 평원에서 격돌했다.

3. 전투



3.1. 양군의 전력


[image]
<^|1>[image]
페르시아군의 병종(左)과 사리사를 쓰는 마케도니아의 팔랑크스(右)
마케도니아의 경우 중장보병은 31,000명으로 세부적으로는 마케도니아 페제타이로이 12,000명, 히파스피스타이 3,000명, 그리스 동맹군 7,000명, 그리스 용병 9,000명이었다.
경무장병은 총 9,000명으로써 트라키아 6,000명에 일리리아, 아그리아니아, 크레타가 각각 1,000명이었다. 기병은 대략 7,000명으로, 중기병은 헤타이로이(Companion Cavalry) 2,100명을 포함해 5,000명, 경기병은 2,000명 정도였다. 따라서 총 인원은 4만 7천 명 정도가 된다.
페르시아의 경우 고대 역사가들은 100만 명에 달했다고 기록했지만, 현대에 이런 수치를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영문 위키페디아에 기재된 현대 학자들의 추산을 보면 한스 델브뤽은 5만 2천 명, 존 워리는 9만 명, 토마스 하버틀은 12만 명이라 추산했으며 엥겔스와 그린은 10만 명이 넘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보병 중 갑옷과 무기를 제대로 갖춘 이들은 그리스 용병들과 근위대인 이모탈이 전부였다. 원래 그리스 용병은 대략 6~8,000명, 이모탈은 10,000명이지만 그들 모두 이수스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므로 가우가멜라 전투에서는 훨씬 적은 숫자가 나왔을 것이다. 궁병들도 있었는데, 페르시아 하면 궁병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가우가멜라 전투에서는 2~3,000 명 정도로 비교적 소수였다.
여기에 대량의 징집병들이 있었는데 말이 병(兵)이지 그냥 농민들 마구잡이로 긁어모아서 이랑 방패 쥐어준 수준이었다. 이들이 바로 페르시아 백만대군 신화의 주범인데, 현대 학자들도 대략 수만 명 정도는 되었으리라고 본다.
보병라인은 이처럼 안습하지만 페르시아의 주요 전력은 기병이었다. 다만 중세 기사처럼 강력한 돌격기병이 아니라, 대부분 투창이나 활 같은 원거리 무기를 활용했다. 심지어 돌격전이 가능한 페르시아 중기병들조차 주 무기는 투창이었다.
다리우스 3세는 대규모 기병전을 위해 아르메니아에서 박트리아까지 제국의 동방 영토 전역에서 기병을 끌어모았는데, 적게는 12,000명 선에서 많게는 4만 명까지 추정한다. 사카 족의 카타프락토이도 처음 동원되었는데, 이들은 페르시아나 마케도니아의 중장기병들보다도 중무장했다고 한다. 위 그림의 중앙에 있는 낫전차 200대와 전투 코끼리 15마리도 있었다.[3] 다리우스 3세는 전차가 상당히 활약할 것으로 기대했는지 가우가멜라 평원의 땅을 평평하게 고르고 다져서 전차를 쓰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했다.
[image]
▲페르시아의 기병과 전차
요약하면 마케도니아: 4만 7천 vs 페르시아: 15만 이하

3.2. 배치 및 진행 과정


[image]
마케도니아(청색)과 페르시아군(적색)의 초기 배치도
전장에는 페르시아군이 먼저 배치되었다. 중앙에는 다리우스 3세와 페르시아 기병 호위대, 이모탈과 그리스 용병대, 궁병들이 자리잡았다. 좌익의 베수스와 우익의 마자에우스는 중앙의 양 옆으로 길게 기병대를 포진시켰고, 징집병들은 모두 후위에 배치했다. 전차대는 중앙에 전진 배치했다. 이를 보면 페르시아군은 전차 돌격으로 기선을 제압한 다음 넓게 포진한 다수의 기병대로 적을 포위하고, 여차하면 징집병들을 모두 돌격시켜 마케도니아군을 섬멸하겠다는 전술을 택했던 듯하다.
이에 맞선 알렉산드로스는 예전 방식대로 중장보병들을 중앙에, 기병들을 양 옆에 배치했지만, 기병 전력이 워낙 압도적이었으므로 흔히 알려진 망치와 모루 전술로는 이길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기병들을 양익에 묶어놓으면서, 중앙을 직접 공격해 다리우스를 노리기로 했다.[4] 팔랑크스는 사선진 형태로 진군하였고, 그리스 중장보병 중 일부를 떼내서 팔랑크스 뒤에 배치했다. 이처럼 보병을 2중으로 배치한 것은 사선진으로 전진하다가 측면이나 후면을 공격당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였다. 알렉산드로스 본인은 우익을 총지휘하는 동시에 헤타이로이를 이끌고 전면에 나섰고, 좌익은 백전노장 파르메니온에게 맡겼다.
마케도니아군이 숫적 열세에도 진군해오는 것을 보자 페르시아군은 전차들을 출격시켰지만, 마케도니아군은 직진밖에 하지 못하는 전차의 특성을 이용해 이들을 간단히 무력화시켰다.
그냥 진열 사이에 전차가 지나갈 틈을 벌려서 전차가 유유히 지나가게 내버려둔 것이다.(...)
한편 전차 돌격과 동시에 페르시아 좌, 우익의 모든 기병들이 전진하기 시작했고, 특히 베수스가 이끄는 박트리아 기병들은 알렉산드로스의 헤타이로이들을 추적하는 특수 임무를 받았다. 그 결과 마케도니아군의 좌익과 우익은 모두 페르시아 군 기병대의 맹공을 받게 되었지만, 중앙의 팔랑크스는 이에 개의치 않고 페르시아 전열을 향해 계속 전진하였다. 페르시아 궁병대가 팔랑크스를 향해 사격을 가하고, 그리스 용병대와 이모탈들이 막아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이때 마케도니아군 중앙이 계속 진격해 들어오면서 좌익과의 연결이 끊어진 것을 확인한 마자에우스의 페르시아 기병대가 그 틈을 돌파했다.[5] 파르메니온의 좌익은 이미 전면에서 페르시아 우익의 맹공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페르시아 기병들이 후위를 강타한다면 붕괴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알렉산드로스가 배치해 놓은 후위의 예비대가 이를 발견하여 반격에 나섰고, 페르시아 기병 일부가 곧바로 마케도니아 캠프로 이동하면서 마케도니아 좌익은 구사일생의 위기를 넘겼다. 파르메니온은 좌익이 붕괴될지도 모른다고 염려하여 알렉산드로스에게 구원 전령을 급파했다.
[image]
마케도니아군(청색)과 페르시아군(적색) 전열에 생긴 틈과 알렉산드로스의 기동(중앙의 청색 굵은 화살표).
한편 페르시아군 전열에도 틈이 생겼다. 알렉산드로스를 그림자처럼 따라오며 술래잡기를 하던 베수스의 기병들이 낚여 페르시아군 좌익과 마케도니아군 우익의 싸움에 휘말린 것이다. 페르시아군 중앙은 이미 마케도니아군 중앙의 맹공을 받고 있었던 데다 페르시아 좌익의 기병들은 모두 마케도니아 우익을 공격하고 있었으므로, 알렉산드로스와 다리우스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이 모두 없어진 것이다. 물론 다리우스 뒤에는 수만에 달하는 저질 징집병들이 있었지만, 일선 지휘관들이 모두 기병대를 이끌고 공격에 나선 상황이라 그들은 그저 멀뚱히 서서 구경만 하고 있었다.
이에 알렉산드로스는 헤타이로이를 비롯한 대다수의 기병을 이끌고 다리우스를 향해 쇄도해 들어갔다. 페르시아 좌익의 기병들 중 일부가 뒤늦게 이를 발견하고 중앙을 구원하려 했지만, 아그리아니아 경보병들이 알렉산드로스의 후방을 지키며 맹렬히 저항했으므로 신속한 구원이 불가능했다. 이미 중앙을 거침없이 밀어붙이는 마케도니아의 팔랑크스들에게 질려있던 다리우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자신을 씹어먹을 기세로 바로 근처까지 달려오는 것을 보고 크게 놀라 달아나기 시작했다.
뒤에서 지휘관 명령도 없이 마케도니아군이 육박해 오는 모습을 보며 우물쭈물하고 있던 징집병들은 위대한 왕중왕이 도주하는 모습을 보자 충격과 공포에 빠져 정신없이 달아나기 시작했고, 중앙의 전면 패주를 확인한 베수스 역시 좌익 기병대를 불러들여 퇴각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 틈에 다리우스를 붙잡겠노라고 전면 추격을 명했지만, 바로 그때 좌익의 파르메니온 장군이 보낸 전령이 달려와 구원을 요청했다. 다리우스의 목과 자기 군대 사이에서 갈등하던 알렉산드로스는 결국 자기 군대가 없으면 세계정복이고 뭐고 불가능하다 사실을 깨닫고 급히 말머리를 돌려 좌익을 구원하러 나섰다.
다리우스의 패배를 확인한 좌익의 베수스가 곧바로 병력을 모아 퇴각한 것과는 달리 페르시아 군 우익은 곧바로 퇴각하지 못했다. 파르티아와 히르카니아, 페르시아와 인도 기병 등이 남아서 아군을 구원하러 온 알렉산드로스의 기병대와 맞붙었다. 이 싸움이 그날의 가장 처절한 싸움이라고 할 정도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테살리아 기병들이 측면 공격을 성공시키면서 마자에우스는 항복하고[6] 남은 페르시아 군 기병들 역시 대부분 패주했다. 알렉산드로스는 뒤늦게나마 다리우스를 추격하려 했지만 이미 그는 멀리 달아난 후였다.

한국어 자막이 지원된다. 굳이 해석하려고 고생하지 않아도 된다.

4. 전투 이후의 경과 및 평가


[image]
이 패배로 페르시아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알렉산드로스는 바빌론으로 진군하여 페르시아 제국의 절반을 손에 넣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기간에 페르시아 전역을 차지하긴 했지만 그 과정은 상당히 힘겨웠다. 그 대표적인 예가 페르시아 관문 전투[7]이며, 현대 아프가니스탄의 고산지대에서도 격렬한 저항 세력에 부딪혔다.
살아남은 다리우스의 경우 동쪽으로 도주하여 군대를 재건하려고 했지만 알렉산드로스에게 계속 추적당했고, 결국 박트리아에서 사트라프였던 베수스에게 살해당했다. 그 후 베수스는 자신을 페르시아의 새로운 왕중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라고 선포했지만, 동조하는 세력도 없었고 나중에는 마케도니아인들에게 붙잡혀 처형당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이 아케메네스 왕조의 후계자가 될 욕심으로 베수스를 처형한 뒤 누구 때문에 베수스가 다리우스를 살해했는지 따위 무시해버리고 뻔뻔스럽게도 '''이로써 선왕이신 다리우스 3세의 원수를 갚았다'''고 선포했다.
후대에는 마케도니아군이 수십 배의 전력을 가진 페르시아군을 캐발랐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 정도는 아니다. 숫자는 대략 2~3배 정도이며, 주력인 기병만 계산하면 2배도 안 된다. 하지만 페르시아군이 마케도니아군에 비해 훨씬 우월한 전력을 가졌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고 일반적인 포위 섬멸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과감한 공격으로 적을 셋으로 쪼개 고립시켜 각개격파한 알렉산드로스의 군사적 천재성이 부정되지도 않는다.
다만 이수스 전투와 마찬가지로 가우가멜라 전투도 다리우스의 도주로 승패가 판가름났기 때문에, 이후 다리우스 3세는 천하의 개찌질이 취급을 받았고 백성들과 귀족들의 지지를 완전히 잃고말았다. 특히 페르시아 군 우익은 마케도니아 군 좌익을 붕괴 직전까지 밀어붙이고 있었고, 페르시아 군 좌익 역시 최소한 호각지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만약 왕중왕의 위엄으로 후방의 징집병들을 전부 우라돌격시켜서 쇄도해 오는 알렉산드로스와 마케도니아 중앙의 공격을 충분히 지연시켰다면 마케도니아 좌익 붕괴 → 좌익의 균형이 깨지면서 우익 붕괴 → 중앙은 후방으로부터 포위당해 압살이라는 전형적인 역관광 코스로 갈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는 결과론이고, 다리우스의 입장에선 '''내 목과 상대 보병 중에 누가 먼저 뚫리나'''의 내기였기 때문에, 잡졸 싸그리 무시하고 자기만 쫓아오는 알렉산드로스의 패기에도 질려 정상적인 판단이 힘들었을 것이다.
올리버 스톤의 영화 알렉산더는 이 전투를 상당히 훌륭하게 재현하고 있다. 몇 가지 어색한 부분이 보이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 전투를 재현해 놓은 영화는 드물다. 물론 알렉산더가 흥행에 실패하고 욕도 꽤 먹은 영화이긴 하지만, 오로지 이 가우가멜라 전투 하나만으로도 볼 가치가 있다.


[1] 실제로도 4만 명 이상은 확실하다.[2] 애초에 지휘관 중에서 전사한 사람이 오론테스 2세밖에 없다. 일방적인 학살이라면 지휘관 과반수가 전사해야 맞다.[3] 다만 코끼리들은 페르시아군도 처음 동원해 보는 것인지라 아무 것도 안 하고 있다가 모두 생포되었다.[4] 다리우스는 이미 이수스 전투에서 승패가 결정나지 않은 팽팽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위험해지자 냅다 달아나는 바람에 전투를 말아먹은 전례가 있다. 게다가 왕중왕인 그를 붙잡거나 죽이면 페르시아에게는 결정적인 타격이 된다.[5] 이것이 마케도니아군 후방의 캠프를 약탈하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고, 그 캠프에 갇혀 있는 다리우스의 가족들을 구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이유가 어찌됐든 페르시아 기병들이 마케도니아 좌익의 후방으로 기동한 것은 틀림없다.[6] 마자에우스는 항복한 후에 알렉산드로스의 편을 들어 바빌론 지역을 포섭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바빌론의 사트라프가 되었고 기원전 328년에 노환으로 죽을 때까지 알렉산드로스를 충실하게 섬겼다.[7] battle of persian gates. 페르시아의 수도 페르세폴리스로 가기 위해 험준한 자그로스 산맥을 넘으려는 알렉산드로스와 소수의 페르시아인들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당시 페르시아군은 700명에 불과했는데 마케도니아군 1만명을 상대로 항복을 거부하고 저항하다 전원이 사망했다. 여기서 페르시아인들이 얼마나 처절하게 저항했는지는 '동방의 테르모필라이' 라는 별명만 봐도 알 수 있다. 특히 마케도니아군도 피해가 상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