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까마귀

 

[image]
'''갈까마귀'''
Daurian jackdaw
이명 :
<color=#373a3c> ''Corvus dauuricus'' Pallas 1776
<color=#373a3c>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참새목(Passeriformes)

까마귀과(Corvidae)

까마귀속(Corvus)

'''갈까마귀(C. dauuricus)'''
[image]
[image]
학명: ''Corvus dauuricus''
한국어: 갈까마귀[1]
중세국어: ㄱㆍㄹ가마괴 (훈몽자회, 역어유해)
일본어: コクマルガラス(黒丸鴉)
중국어: 達烏里寒鴉 (達烏里는 daurian에 해당.)
영어: daurian jackdaw
스페인어:grajilla dáurica
불어: choucas de Daourie
독어: Elsterdohle
노어: Дау́рская га́лка (발음이 '''갈까'''다)
에스페란토: monedo
까마귀과 중 가장 작은 종. 큰까마귀와는 다른데, 많은 영어사전에서 raven을 갈까마귀로 소개하지만, 이것 자체가 오역이다. 갈까마귀의 영문명은 (daurian) jackdaw이다. 정확히는 유럽 쪽에 jackdaw(Corvus monedula)라는 종이 있고 동아시아 쪽에 이와 아주 유사한 daurian jackdaw(Corvus dauuricus)가 있다.
[image]
흔히 떠올리는 갈까마귀의 이미지(크고 음습하고 불길한)는 모두 큰까마귀에서 온 것이다. 실제로 갈까마귀는 까마귀과에서도 가장 작은 축에 속한다. 위 사진처럼 흔히 이솝우화에서 허영심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까마귀가 바로 이 갈까마귀(영어로도 The vain '''Jackdaw''')이다. 쉽게 말해서 한국의 뱁새같은 이미지.
겨울 철새로 몸에 흰색 무늬가 있으며 까마귀 종류가 대부분 그렇듯 이 녀석들도 머리가 좋다. 특히 울산광역시에 매년 겨울철에 떼까마귀와 함께 태화강변에서 겨울을 난다고 하며, 그만큼 울산의 환경이 좋아졌다는 것을 방증하는 좋은 증거이기도 하다.
당나라 말기 군벌인 이극용의 군사 역시 갈까마귀군이라 불렸다.
이브온라인에서는 칼다리 진영의 T3 구축함의 이름로 등장하기도 했다. #
[1] 갈가마귀라고 적는 경우도 있는데, 표준국어사전에 의하면 갈까마귀가 맞다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