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중학교
1. 개요
인천광역시의 공립 중학교, 1970년 3월 6일 개교하였다. 교화는 개나리, 교목은 은행나무이다.
1.1. 상징
[image]
1.2. 교가
교가는 보통 1절까지 부르기 때문에 2절을 모르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평상시에는 오전 8시 35분이 되면 교가가 방송으로 송출되었으며, 이 시점을 기준으로 교문에서 지각 지도를 하였으나 현재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일시 중단되었다.
[image]
2. 특징
- 학교 주변은 계양역과 귤현역, 귤현차량기지, 군부대와 야산, 밭, 자연마을뿐이며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귤현동, 장기동(인천))은 15~20분 이상 걸어야 나온다. 그러나 학생들이 많이 사는 주택가 근처에 중학교가 없고 그나마 가까운 곳이 여기이기 때문에 대부분 다 1지망으로 신청하여 배정받아 오며, 주로 버스나 부모님 차량으로 등하교하는 학생들이 많다.
- 학생들의 거주지역이 개발되면서 이사 오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학생 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학교 건물이 작아 학급 수를 늘릴 수 없어 주변 학교들에 비해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 편이었다.[8] 2020년 이후 홈베이스 교실 전환과 강당 완공에 따른 특별실 이동으로 학급 수를 차츰 늘려 가고 있다.
3. 교내 교실 목록
- 학교 자체가 오래 된 데다 주변이 오랜 기간 군부대, 차량기지, 김포공항 등에 따른 개발 제한으로 거주하는 사람들이 적어서 그랬는지 건물은 작고 낡은 편이다(3층).
- 이에 따라 다목적강당 공사가 오랜 숙원이었고, 드디어 2019년 8월 중반부터 공사가 시작하여 2020년 10월 완공하였다.
- 2020학년도의 경우 코로나19 관련 등교 방식에 의해 각 학년별 교실 배치를 섞어 놓은 상태이다.
3.1. 본관
3.1.1. 1층[9]
- 2학년 1반
- 컴퓨터실
- 1학년교무실
- 1학년 1반
- 보건실
- 3학년 1반
- 학생생활안전부실
- 다목적실(틔움교실)
- 행정실
- 당직실
- 2학년 2반
- 1학년 2반
- 3학년 2반
- 과학실1
3.1.2. 2층[10]
- 진로활동실
- 2학년 3반
- 1학년 3반
- 2학년 4반
- 방송실
- 운영위원회의실
- 본교무실 및 2학년교무실
- 교장실
- 평가관리실
- 영상학습실
- 과학실2
- 미래창조부실
3.1.3. 3층
- 2학년 5반
- 1학년 4반
- 3학년 3반
- 1학년 5반
- 2학년 6반
- 3학년교무실
- 위클래스
- 1학년 6반
- 3학년 4반
- 예지관(도서관)
3.1.4. 지하[11]
- 시설관리실, 인쇄실
- 가사실
3.2. 소이관(신관)
3.2.1. 1층[12]
- 급식실(식당)
3.2.2. 2층[13]
- 학생자치회의실
- 지역사회문화부실
- 스마트교실
- 음악실
- 미술실
- 문서고
3.2.3. 3층[14]
- 강당(체육관)
4. 주요행사[15]
- 5월, 10월 : 학교스포츠클럽데이(체육대회)
- 12월 : 학교축제(미풍제)
5. 출신 인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 정류장 주변에 별다른 건물이 없고, 학교 정류장보다 계양역 정류장에서 내리는 승객이 많은 편이라서 그런지 등하교시간이 아닐 때는 내려달라고 직접 말하지 않으면 하차벨을 눌러도 (계양역 정류장 하차벨을 미리 눌렀다 생각하고) 기사님이 계양역 버스정류장까지 그냥 가는 경우가 있다.
- 학교 정류장을 지나지 않지만 계양역 정류장에는 정차하는 버스(인천 버스 76, 인천 버스 순환83, 계양구 공영버스, 김포 버스 82)를 이용해도 나름 걸어 올 만한 거리이므로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주차장 안의 샛길 활용).
- 아주 가끔씩이지만 인천 버스 588이 올때도 있다. (회송용 / 미정차)
- 김포 버스 82의 경우 계양역에서 귤현차량기지를 한 바퀴 돌아 회차하는데, 이때 계양중학교 버스정류장을 통과하지만 정차하지는 않는다.
6.2. 철도
- 계양역 : 출구로 나와서 횡단보도 너머 보이는 주차장 안쪽에 있는 샛길을 이용하면 더 빨리 학교로 이동할 수 있다. (5-8분 정도)
- 귤현역 : 출구로 나와서 아라뱃길 방향으로 10분 정도 걸어가면 학교가 보인다.
7. 기타
- 학교 주변이 개발되지 않은 계양산 밑자락과 밭, 농장뿐이라 경치가 좋고, 보기 드문 인조잔디 운동장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학교 주변에 주택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말이나 휴일에 학교에 들어와 가족 단위로 산책을 하거나 운동장을 이용하는 외부 학생들이 많았다. 다만 현재는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개방하지 않는다.
- 겨울방학 - 개학 - 종업식(졸업식) - 봄방학 - 3월 개학 루트인 대부분의 학교와 달리 계양중학교는 종업식(졸업식) - 겨울방학 - 3월 개학 루트를 밟는다. 대신 12월 말에 겨울방학을 시작하고 개학 후 2월 중순경 종업식(졸업식)을 하는 타 학교들에 비해 1~2주 가량 뒤인 1월 초순에 종업식(졸업식)을 했다. 단, 2020학년도부터 다른 학교와 마찬가지로 겨울방학 - 개학 - 종업식(졸업식) - 봄방학 - 3월 개학 체제로 바뀌었다.
- 2020학년도에는 학교 공사와 코로나19 문제로 인해 개학이 늦춰지면서 세 달이 넘게 방학을 보내게 되었다.
- 지필고사 서술형 문항이 없고 모두 객관식 문항으로만 시험을 치른다. 3학년은 2학기에 시험을 1회만(기말) 치른다. 2020학년도에는 학교 공사와 코로나19 문제로 인해 등교 개학이 늦춰지면서 2, 3학년 모두 1, 2학기 시험을 1회만(기말) 치른다.
- 주변에 군부대가 있어서인지 수업도중 가끔씩 총소리가 들린다.
- 신관(소이관)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2020년 10월 16일 3학년 학생들을 시작으로 고학년 4학급씩 식당 급식을 운영했다. 단, 코로나19 상황 상 나머지 학년 또는 학급 학생들은 이전처럼 급식차로 식사를 실시하였다. [16]
[1] 소이관(신관) 2층과 연결[2] 소이관(신관) 3층과 연결[3] 소이관(신관) 1층과 연결[4] 본관 지하와 연결[5] 본관 1층과 연결[6] 본관 2층과 연결[7] 2020학년도의 경우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온라인 형태의 행사가 실시된다.[8] 주변 학교들은 한 학급당 인원이 15~25명이지만, 계양중은 30명이 넘었다.[9] 소이관(신관) 2층과 연결[10] 소이관(신관) 3층과 연결[11] 소이관(신관) 1층과 연결[12] 본관 지하와 연결[13] 본관 1층과 연결[14] 본관 2층과 연결[15] 2020학년도의 경우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온라인 형태의 행사가 실시된다.[16] 급식실 완공 후 교직원식당만 먼저 사용하다가 이 날부터 학생식당도 운영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