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잔디

 

[image]
1. 개요
2. 위험성
3. 최근
4. 관련 문서

人造잔디. Astroturf.

1. 개요


사람이 인공적으로 잔디 모양을 만든 것을 말한다.
대개 합성섬유를 사용하며 발명은 1956년 미국에서 탄생했다. 스포츠 구장에 처음 도입된 건 1966년이다. 인조잔디가 처음 깔린 곳이 바로 세계 최초의 돔구장인 애스트로돔이다. 이 인조잔디를 만든 회사가 몬산토로, '애스트로터프'라는 브랜드로 이름을 날려 한때는 제록스마냥 인조잔디계의 상표의 보통명사화 취급을 받기도 했다. 지금은 몬산토에서 분리된 뒤 여러 회사들에 팔려나갔지만 여전히 개량된 인조잔디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이 astroturf라는 단어는 보통명사로 정착해 이제는 풀뿌리 민주주의(grassroot democracy) 와는 반대로 정부나 기업, 정치세력이 동원이나 SNS 조작, 여론조작으로 마치 국민들의 여론인 양 위장하는 대중적인 여론조작을 부르는 말로 쓰이고 있다. 한국도 과거 정부의 지원을 받는 관변단체를 동원해 반공 집회 시위를 하는 등 관제여론을 부추키던 시절이 있었다.
대개 잔디 관리가 어려운 스포츠 구장 등에서 사용된다. 대개 우레탄, 나일론 등으로 만든다.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햇볓과 물을 주는 등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주변 환경의 제약이 없으나[1] 계절감과 질감이 다소 떨어지고 시간이 오래 되면 색이 바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인공적으로 만든 물건이다보니 습기가 차면 구석구석에 곰팡이가 필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프로야구 경기장에서 주로 쓰였으나 현재 메인 그라운드에 인조잔디가 깔린 KBO 리그 1군 정규 경기장은 실내 경기장인 고척 스카이돔 뿐이다.[2][3] 학교 운동장에도 자주 쓰였으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하였는데, 허나 일반 모래밭에 비하면 나은 편이기에 인조잔디로 바꿔버리는 학교들이 여전히 많다.그리고 몇년전에 재질의 발암물질 논란 때문에 인조잔디를 갈아엎고 맨땅으로 바꾸는 학교들도 있었는데 신설 학교 중에서는 인조잔디를 넣는 걸 보면 재질을 바꾼것 같다.
반면 인조잔디의 대우가 좋은 분야가 있는데, 바로 필드 하키. 필드 하키는 A급 국제대회에서는 반드시 물을 뿌린 인조잔디 경기장에서 진행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에 이 쪽에서는 인조잔디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2. 위험성


여름에는 한낮에 인조잔디에서 뛰어다니지 않는게 좋다. 인조잔디가 땡볕의 열을 받아 가열되어 온도가 매우 높아지고 여기서 넘어질 경우 추가로 마찰열이 발생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설치된 지 오래되어 닳아서 딱딱해진 경우에도 부상을 당할 위험이 높다.[4] 이 때문에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는 폐쇄식 돔구장이 거의 사라진 상태다.[5]

3. 최근


최근 들어 메이저리그 일부 구단에서 다시 인조잔디가 사용되고 있다. 2019년부터 애리조나의 체이스 필드가 깔아서 사용중이고, 텍사스의 2020년 신축 구장 글로브 라이프 필드와 마이애미의 말린스 파크도 인조잔디를 채택했다. 이 구단들은 공통적으로 여름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폭염 때문에 천연잔디가 버틸 수가 없어서 인조잔디를 재도입한 케이스인데, 두 팀은 오랜 조사 끝에 최근 개발된 최신식 인조 잔디는 부상 방지에도 더 나을거라고 보고있다.[6]

4. 관련 문서



[1] 특히 일반 모래운동장은 비나 눈이 오면 모래가 젖어버려서 질퍽질퍽해지고 요철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바닥에 웅덩이가 자주 생긴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모래가 햇볓에 의해 다 마를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2] 한국 최초의 인조잔디 야구장은 사직 야구장이었다. 이후 인조잔디 그라운드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널리 퍼져 2000년대까지는 부산 사직야구장(1985~2006), 대구 시민야구장(1994~현재), 인천 숭의야구장(1996~2008), 대전 한밭야구장(1996~2012), 광주 무등야구장(2004~2011) 등 KBO 리그 1군 정규 경기장 중 절반 이상이 인조잔디 구장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직구장의 인조잔디도 2006년 철거됐다.[3] 고척 스카이돔을 제외한 KBO 리그의 1군 정규 경기장은 모두 천연잔디가 깔려 있다. 다만 포수 뒷쪽과 내야 쪽의 파울 지역에 인조잔디가 깔린 곳은 꽤 있다.[4] 대표적인 부상 사례가 박진만이다. 애초에 고등학생 시절부터 무릎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내야 각 베이스 근처를 뺀 모든 부분에 인조잔디가 깔린 대구 시민야구장을 홈으로 쓰다보니 고질적인 무릎 부상이 악화된 것.[5] 의외로 일본은 제1홈구장 기준 2개 구장(한신 고시엔 구장마츠다 줌줌 스타디움)을 제외하고 다 인조잔디이다. 지리적이나 주변 환경의 문제 등으로 천연잔디 생육이 불가능한 ZOZO 마린 스타디움이 대표적으로 이런 경우. 돔구장이 많아서란걸 감안하더라도 특이한 부분인데, NFL의 경우 신구장이 폐쇄형 경기장으로 지어지는 경우도 꽤 있다. 이쪽은 종목 특성상 천연잔디를 거의 제대로 유지를 할 수가 없어서 인조잔디 사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며 그러다 보니 사무국에서도 인조잔디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6] 추신수는 체이스 필드에서 뛰고 난 뒤 천연잔디랑 똑같더라며 신기해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