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FM

 




[image]
바로가기.
1. 개요
2. 상세
3. 주파수
4. 관련 문서


1. 개요


국방홍보원이 운영하는 라디오 채널. 1976년 12월 31일에 개국했다.# 의외로 평범한 FM 채널인 것처럼 보이지만, 가끔 정훈 관련 방송이나 정규편성인 '''군가''' 방송으로 역시 군바리 채널이구나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2. 상세


1962년부터 방영된 역대 최장수 프로그램이라하는 '''위문열차'''가 유명했으나 현재는 TV방송인 국방TV에서 방송하고 라디오에선 안한다.
당연히(?) 진행자도 전부 [1] 부사관, 군무원이다. FM방송에서는 가수 전유나, 조갑경, 성우 안지환, 코미디언 이동엽과 미자, 전 애프터스쿨 멤버 레이나 등 방송인과 연예인을 기용하고 있지만 주요 진행자는 국방홍보원 소속 전문 방송인이다. 국회의원을 역임한 적도 있는 KBS 아나운서 출신의 방송인 이계진이나 개그맨 장용 등 나름 보통의 공력있는 방송인들이 고정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다. 방송 내용 역시 오전 오후 정규 편성인 오늘의 군가(...)나 현역 병들의 가족들이 등장하는 몇몇 방송, 국방이나 외교 안보 현황을 소개하는 방송이나 코너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군인방송 이미지와는 다르게 보통의 라디오 방송처럼 교양, 예능 프로그램의 편성을 하고있다.
정오 12시에는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국방뉴스를 내보낸다.
사연 보내기나 퀴즈 문제 풀기 참여, 신청곡 신청은 휴대전화 유료 문자나 인터넷 게시판 이용 또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로도 가능하다.(!!) 심지어 '''국방FM'''이라는 전용 스마트폰 앱까지 있는데 구글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플레이 스토어에서 '''국방FM'''을 검색하면 되고(안드로이드에선 과거엔 국방라디오였으므로 국방라디오로도 검색가능), iOS는 앱스토어에서 '''국방FM'''을 검색하면 된다. 앱으로는 방송듣기는 기본이고 보이는 라디오 서비스도 하고 있으며 방송에서 제공하는 경우 선곡표를 보거나 게시판에 사연을 올리거나 할 수 있고 팟캐스트로 일부 방송이나 코너의 다시듣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중계국이 서울[2], 제주, 전방[3]경기도 남부 지역과 계룡대 근처[4], 광주[5], [6], 포항에만 있기 때문에 기타 지방에서는 스마트폰 앱과 인터넷의 국방홍보원 홈페이지를 이용한 방법 말고는 사실상 청취가 불가능하다. 방송 송출 시각은 매일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그 외의 시간대는 방송 종료 멘트 후에 바로 KBS 제1라디오가 재송출된다.[7][8]
군 내부 인트라넷 망으로 청취할 수 있는 유일한 라디오 방송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국방FM의 송출을 KBS에서 'KBS 군FM'이라는 이름으로 관리했으며[9] 지금도 송출은 EBS처럼 KBS가 세트로 담당하고 있다.

3. 주파수


 
호출부호
주파수
출력
송신소
송신소 주소
KBS본사
HLSF-FM[10]
96.7MHz
2kW
남 산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11]
KBS경인
101.1MHz
3kW
용문산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5-1
96.3MHz
0.1kW
감악산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산182
89.5MHz
0.5kW
백령도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산75-1
KBS춘천
96.7MHz
5kW
화악산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리 산218-2
101.5MHz
0.1kW
대암산
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103.3MHz
0.02kW
대성산
강원 화천군 상서면 봉오리 산224-1
93.3MHz
0.02kW
기 린
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KBS강릉
92.5MHz
3kW
괘방산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KBS대전
100.1MHz
1kW[12]
계룡산[13]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1
KBS광주
96.5MHz
0.5kW
무등산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KBS포항
92.7MHz

조항산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KBS제주
94.1MHz
3kW
미악산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산7


4. 관련 문서



[1] 모 방송사가 고발한 사건으로 전면 운용 중지 크리.[2] FM 96.7MHz, 남산 송신소. 서울 시내 및 고양, 광명, 의정부 등 일부 근교도시에서 청취가능. 다만 다른 FM방송들보다 비교적 최근에 개국했기 때문에 출력은 2kW로 다소 약한 편이다.[3] 양기사가 있는 용문산 자락 포함.[4] 대전, 논산지역에서도 청취가 가능하다고 안내되어 있으나 출력 자체가 약하고 송신소가 계룡산 꼭대기에 있는 것이 아니어서 계룡대와 가까운 대전 유성구에서도 수신이 매우 어려웠'''었'''으나 2020년 12월 10일경부터 평택에서 중계소를 옮김과 동시에 출력을 높혔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신호가 깨끗하게 들린다는 제보가 나오기 시작했다. 송신소 위치는 세종에선 양청으로 들린다는 제보가 있는 것을 볼 때 계룡산 꼭대기로 추정된다. 참고로 세종시는 계룡산 전파의 양청지역이다.[5] 2014년 8월 7일 무등산송신소를 개설했다.[6] 2015년 8월 1일 구봉산중계소를 개설하려고 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취소되었다.[7] 단, 방송 종료 멘트에는 KBS 제1라디오에 대한 언급이 일절 없다[8] 참고로 KBS 제1라디오 재송출 시간대에는 서울 본사 방송으로 송출하기 때문에 수도권 외 주파수로도 본사에서 내보내는 시보와 KBS 제1라디오 방송시작고지를 들을 수 있다. 국방FM의 방송시작고지는 06시 시보 후 나온다.[9] 1980년대 후반까지는 '''KBS-FM 국군의 방송'''이라 했다.[10] 방송개시멘트방송종료멘트에서는 HLSE로 잘못 녹음되어 있다. HLSE는 아리랑 라디오에서 사용 중이다.[11] 남산타워가 아닌 바로 옆 KBS 전용 송신탑에서 송출.[12] 추정치[13]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