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켄슈필

 



1. 개요
2. 상세


1. 개요


[image]
서양 타악기의 하나. 여러 음정을 가진 금속 막대를 쳐서 소리내기 때문에 '이디오폰(체명악기)' 으로 분류하고, 음정이 있기 때문에 유율 타악기로도 분류할 수 있다. 어원은 독일어의 글로켄(Glocken. 종의 복수형)과 슈필(Spiel. 모음을 뜻함)이 결합한 합성어. '글로켄슈필'이란 명칭 이외에 영어권 국가에서는 벨 리라(Bell Lyre)나 오케스트라 벨즈(Orchestra Bells)라고도 한다.

2. 상세


윈드차임과 비슷한 음색. 흔히 어린이 음악교육용으로 쓰는 메탈로폰(metallophone)과 비슷한 원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양자를 혼동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메탈로폰의 금속 막대보다는 글로켄슈필의 금속 막대가 좀 더 두껍고, 치고난 후 생기는 여음도 훨씬 길다.
대개 목제 케이스에 금속 막대들을 피아노 건반 형태로 배열하는데, 실로폰이나 비브라폰, 마림바 등 다른 유율 건반형 타악기들과 달리 크기가 작아서 별도의 스탠드는 없다. 심지어 멜빵끈으로 케이스를 둘러메고 행진하면서 칠 수 있을 정도인데, 위의 '벨 리라' 는 이러한 마칭밴드에서 쓰는 글로켄슈필을 일컫는 단어였다.
음역도 굉장히 높은데, 기보음 상으로는 가온다 밑의 솔(G)부터 높은음자리표 가선 윗쪽의 도(C)까지 2옥타브 반 정도다. 하지만 쳐서 내는 실음은 그보다 두 옥타브가 더 높은데, 굉장히 밝고 맑은 소리를 낸다. 그래서 대규모 편성 관현악이나 취주악 작품에서도 전체 합주의 주요 선율을 강화하거나 장식할 때 실로폰 등과 함께 쓰이기도 한다.
가장 단단한 금속 막대를 건반처럼 쓰기 때문에, 같은 재질의 금속이 끝에 달린 금속채를 쓸 수 있고 이 채로 연주할 때 제일 크고 강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 소리가 너무 강렬하거나 음량을 많이 줄여야겠다 싶을 때는 나무채나 고무채, 펠트채 등을 쓴다.[1] 단타로 치는 것 외에 양손의 채를 빨리 움직여 내는 트레몰로나 막대를 위아래로 훑어내는 글리산도도 많이 쓴다.
[2]

▲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중 키보드 글로켄슈필 부분. 귀청 주의.
한편 글로켄슈필의 금속 건반을 피아노의 메커니즘으로 응용한 '키보드 글로켄슈필(keyboard glockenspiel)' 이라는 악기도 있는데, 중부 유럽 지방 외에서는 보기 힘든 악기다. 피아노의 현 대신 금속 막대를 건반에 연결된 해머로 때리는 구조인데,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나 뒤카의 '마법사의 제자' 등에서 이 악기가 지정되어 있다. 악기를 구하기 힘든 경우 첼레스타로 대신 때우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두 악기의 소리는 꽤 다르기 때문에, 고증을 중시하는 이들은 어렵게나마 악기를 빌려와서 연주한다.
의외로 국내에서 보기 쉬운 악기이다. 그 이유는 아이들 교육용으로 판매되는 실로폰이 사실은 글로켄슈필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 후반경부터는 제대로 글로켄슈필 이름을 달고 나오고 있다. 전국노래자랑에서도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친숙한 악기.
[1] 아예 소리의 지속을 막기 위해 채로 친 다음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막대를 짚거나 누르라는 지시도 할 수 있다.[2] 그런데 실로폰과 재질부터 다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