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찬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학살자. 본관은 김해(金海).# 일제강점기 당시 김택달(金澤達)이라는 이명을 쓰기도 했다.
2. 일생
1919년 3월 8일 평안남도 강동군 만달면 승호리(현 황해북도 승호군)에서 태어났다.숭실중학교를 거쳐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에 진학하는 등 엘리트코스를 밟았지만 1936년 신사참배 거부로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면서 첫 항일운동 경력을 남겼다. 1943년에는 겸이포제련소의 용광로 폭파계획을 세우다 다시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해병대 창설 멤버들 다수가 간도특설대, 일본 해군 육전대 출신임을 상기하면, 김두찬의 항일운동 경력은 특기할만한 부분.
광복 후 육군사관학교 1기로 입교했고 도중에 해군으로 전입하여 대한민국 해병대의 창설멤버가 되었다. 제주 4.3사건이 벌어지고 이후 해병대가 제주도 계엄임무로 투입되자, 당시 정보참모 신분이던 김두찬은 예비검속 대상자의 총살을 지시하는 공문을 발송하였다.[1]
6.25 전쟁에 해병대가 본격적으로 참전한 상황에서는 서해 도서작전과 동해 원산만 전면의 9개 도서 점령작전을 주도하여 동해안, 서해안에서 적의 보급물자와 병력이동을 완벽히 봉쇄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항일운동 경력과 한국전쟁 당시의 활약으로 김두찬은 전쟁기념관에 의해 2015년 12월 호국인물로 지정되었고, 2019년 11월 26일에는 해병대교육훈련단에 그의 이름을 딴 복합교육센터가 개관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4.3사건 당시의 행적으로 인해 김두찬관 개관은 논란이 되었으며 이에 4.3관련 단체들이 강력히 항의하여 2020년 2월 3일 국방부의 시정조치로 현재 '김두찬관'의 간판이 내려갔고 새로운 이름을 공모해 2월 13일 충성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