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모

 

'''고려국 고려 평장사 정평공
김봉모
'''
'''이칭'''
정평(靖平)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이름'''
봉모(鳳毛)
'''가족'''
부 김세린(金世麟)
'''자녀'''
1남 김태서(金台瑞))
'''생몰년도'''
? ~ 1209
'''출생지'''
고려국 동경
(현 경상북도 경주시)
1. 개요
2. 생애
3. 후손

[clearfix]

1. 개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경주 김씨 평장사공파의 파시조이다.

2. 생애


아버지는 신라 왕족의 후손인 김세린이다.[1]
고려시대의 음서제도인 문음으로 벼슬글을 올랐으며, 명종조 때는 내시를 지냈다.[2] 이후 1176년 그 시대 여러 번 발생한 초적의 난[3]을 진압해 공을 세웠고, 얼마 지나지 않아 명복궁녹사, 군기주부[4], 상식국직장[5]과 춘방통사사인[6]등으 종7품~정7품 관직을 거쳤다. 정7품에 머물다 종6품의 감찰어사[7]로 승진했고, 곧이어 대부경이 되었다. 다시 많은 벼슬을 거쳐서 동북면지병마사[8]를 역임했다.
중세 중국어여진어를 통달해서, 동각이라는 곳에서 계속 거처했다. 이 외국어 실력이 인진사에서 판합문사에 제수되게 도와줬다.
말년인 1203년에는 당시 추밀원이라 불리던 중추원[9]의 정3품 부사[10]를 재임했고, 후에는 중서문하평장사와 태자태부라는 관직으로 명예직이면서도 태자의 교육을 담당했다. 6년 뒤인 1209년 사망했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3. 후손


후손들은 전주 김씨로 분적하였다. 그래도 경주 김씨의 주요 분파 중 하나다.

[1] 상서성의 장관인 상서좌복야를 지냈다.[2] 고려 때는 조선과 다르게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문관들이었다.[3] 한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도적 때.[4] 오늘날의 방위사업청인 군기감의 관직.[5] 왕의 수라상을 관리하던 상식국의 정7품 관직.[6] 태자부의 정7품 관직.[7] 현재의 감사원과 정부 내 경찰, 검찰.[8] 태조 이성계도 역임한 직위로써, 동북면의 병력을 관리하는 관직.[9] 국방위원회+대통령비서실의 역할.[10] 국방위원회인 추밀의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