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크리

 

1. 개요
2. 2002년 제8호 태풍
3. 2008년 제5호 태풍
4. 2014년 제12호 태풍
4.1. 발생 및 이동 경로
4.2. 기록
4.3. 반응
5. 2019년 제24호 태풍
5.1. 태풍의 진행


1. 개요


나크리(Nakri)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꽃의 한 종류이다.

2. 2002년 제8호 태풍



'''2002년''' '''태풍'''
제7호 할롱#s-2 → '''제8호 나크리''' → 제9호 펑셴
'''2002년 제8호 태풍 나크리'''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02년 7월 9일 9시 ~ 2002년 7월 13일 0시
영향 지역
중국 푸젠 성, '''저장 성''', '''대만''', 일본, 대한민국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태풍 크기
'''중형(직경 670 km)'''
최저 기압
'''983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1 m/s'''
10분 평균
'''26 m/s'''
7월 9일 대만부근에서 발생해 13일 대한민국 남해상에서 소멸한태풍. 나크리가 발생한 시기에 다른 두개의 태풍도 같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한반도엔 영향없이 그대로 지나갈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나크리는 남해상으로 올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당시 남해상 온도가 낮아 진입하자마자 소멸하였다.
하지만 태풍이 북상해 강풍특보가 내려졌음에도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 파도에 휩쓸려 1명이 숨지고 14명이 실종되는 참극이 벌어졌다.

3. 2008년 제5호 태풍



'''2008년''' '''태풍'''
제4호 할롱#s-3 → '''제5호 나크리''' → 제6호 펑선#s-3

4. 2014년 제12호 태풍



'''2014년''' '''태풍'''
제11호 할롱#s-4 → '''제12호 나크리''' → 제13호 제너비브#s-1
'''2014년 제12호 태풍 나크리'''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4년 7월 29일 21시 ~ 2014년 8월 3일 15시
영향 지역
일본, 대만, 중국, '''대한민국''', 북한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태풍 크기
'''대형(직경 1300 km)'''
최저 기압
'''98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1 m/s'''
10분 평균
'''28 m/s'''

4.1. 발생 및 이동 경로


(14/08/02 뉴스데스크) 태풍 '나크리' 오늘 밤 서해 진입…내일 낮까지가 고비
2014년 7월 29일 21시에 필리핀 동부 해상에서 발생했다. 7월 31일에 오키나와 서쪽 해상을 향해 북진하였으며, 서해를 따라 북상하여 8월 5일경까지 한반도에 강풍을 동반한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예보되었다. 1999년 태풍 '올가', 2011년 태풍 '메아리'와 경로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8월 3일 현재 당초 예상보다 태풍의 이동 경로가 동쪽으로 치우쳐 서해안에 상륙한 뒤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영향권에 먼저 든 제주도와 전남에 나무가 쓰러지고 유리창이 깨지고 건물이 날아가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
한편 나크리보다 조금 일찍 발생한 11호 태풍 '할롱#s-4'도 북상하는 중. 태풍이 가까이 있으면 서로 영향을 주는 후지와라 효과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힘들다고 한다.
2014년 8월 3일 15시, 군산 서남서쪽 약 180 km 부근 해상에서 소멸되었다.
제주산간은 지형적 영향을 받아 강수 발생 시 강수량이 집중되는 구역이다. 이날 2002년 태풍 루사가 이전에 세웠던 일강수량 극값 기록[1]을 비공식으로나마 이 태풍이 크게 경신했다. 8월 2일 제주 한라산 윗세오름[2]에 설치된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장비(AWS)[3] 에서는 에서 하룻동안 '''1182 mm'''의 강수량이 관측되었고, 태풍의 영향을 받은 3일[4]간의 총 누적 강수량은 '''1666.5 mm'''[5]를 기록했는데, 특히 2일 07시경 강수강도는 138.0 mm/h를 기록했다. 또한 삼각봉 AWS[6][7] 에서도 8월 2일 하루 동안 '''1088.5 mm'''의 비가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는 루사에 비해서 거의 없었는데, 300 mm 이상의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곳은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한라산 중산간 이상의 고지대에 집중되었고, 제주도 평지에는 비교적 적은 강수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8] 또한 제주도의 지형이 투수성이 좋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빠르게 땅으로 스며들고 또한 섬이라는 특성상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기 쉬운 점도 피해가 없던 것에 일조했을 것으로 보인다.

4.2. 기록


순간최대풍속(m/s)
제주
고산 27.9 제주 23.0 성산 22.8 서귀포 20.9
전남 서해안/내륙
'''진도(첨찰산) 31.9''' 해남 22.8 흑산도 19.9 영광 19.4 목포 18.8 진도 18.5 광주 15.9
전남 남해안
완도 31.3 강진 26.6 장흥 24.0 고흥 21.7 여수 21.5 보성 19.1 순천 18.7 광양 13.6
전북
고창(무) 28.2 임실 22.2 장수 20.6 순창 15.1 고창(구) 14.7 전주 12.9 남원 12.8 군산 12.2
경남 서부
통영 17.6 산청 13.6 거창 13.2 함양 12.7 진주 11.8 남해 11.6
경남 동부
창원 24.6 김해 22.4 거제 18.7 울산 17.4 부산 15.9 북창원 15.7 양산 15.1 밀양 11.6
경북 서부
상주 13.1 문경 13.0 대구(유) 12.0 대구(구) 11.6 의성 10.8 안동 10.6 구미 10.2
경북 동부
영덕 14.9 울진 13.3 경주 11.8 포항 11.1
충청
추풍령 17.6 보령 16.0 대전 15.3 천안 14.2 보은 12.9 청주 11.3 충주 11.1 금산 10.9 부여 10.4 서산 10.2
경기
인천 16.6 백령도 14.5 수원 13.6 서울 13.1 양평 10.7 동두천 10.4 강화 10.0
강원
영월 13.9 대관령 12.1 동해 11.3 철원 10.6
강수량(mm)[9]
전남 서해안/내륙
해남 189.5 진도(첨찰산) 156.0 진도 151.0 목포 75.8 흑산도 71.6 영광 55.5
전남 남해안
'''고흥 378.0''' 순천 344.5 여수 274.7 장흥 265.5 보성 256.0 강진 250.0 광양 219.0 완도 173.0
경남 서부
남해 375.0 산청 341.5 진주 172.0 통영 161.8 함양 152.5 합천 147.9 거창 130.0 의령 129.3
경남 동부
거제 276.5 양산 179.0 창원 128.9 김해 121.2 부산 114.4 울산 102.5 밀양 89.0 북창원 59.1
충청/경북
경주 120.0 구미 81.2 추풍령 73.2 대구(유) 67.5 문경 64.0 영천 63.0 대구(구) 60.5 상주 57.7 포항 52.7
전북/제주
서귀포 173.5 제주 124.0 성산 107.2 고창(구) 64.0 순창 54.5

4.3. 반응


2014년 8호 태풍 '너구리'와 이름이 비슷하여 비교되고 있으며 이름이 예쁘다는 반응도 있다.
이 태풍으로 내린 비 덕분에 울산 지역에서는 가뭄 해결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
그렇다고 해서 태풍 피해가 전혀 없던 것도 아니었는데, 2014년에 개장한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의 경우에는 예상보다 강한 강풍으로 인해 지붕 패널이 날아가서 주변에 떨어지는 피해를 입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보강공사로 인해 토-일-월 경기가 전부 취소되었다.
2020년 4월 6일에는 '나크리'에 유실된 기상관측장비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견되는 일이 있었다. #1 #2

5. 2019년 제24호 태풍



'''2019년''' '''태풍'''
제23호 할롱#s-5 → '''제24호 나크리''' → 제25호 펑선#s-5
'''2019년 제24호 태풍 나크리'''
위성사진
진로도
활동 기간
2019년 11월 6일 3시 ~ 2019년 11월 11일 9시
영향 지역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900 km)'''
최저 기압
'''975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 m/s'''
10분 평균
'''33 m/s'''
JTWC 지정번호 25W.

5.1. 태풍의 진행


JTWC에서 남중국해에 위치한 90W 열대요란에 대해 11월 4일 12시에 열대 저기압 발생 경보(TCFA)가 내려졌다. 일본 기상청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24시간 내 태풍발생예보를 했다. 매우 느리게 동진하던 90W 열대요란에 대해 일본 기상청에서 5일 21시에 열대폭풍(TS)로 승격시키고 24호 태풍 나크리(NAKRI)를 명명했다.[10] JTWC에서는 6일 오전 3시에 25W TD로 승격시켰고, 6일 오후 3시에는 25W TS로 승격시켰다. 이후 아주 오랫동안 필리핀 서해에서 거의 이동을 안 하는 상태[11]로 서서히 발달하였다.
11월 8일 새벽부터 남서진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11월 8일 15시를 기해 카테고리 1등급으로 발달했다가 11월 9일 오전 9시에 다시 열대폭풍(TS)으로 약화되었다.
계속 서진해서 11월 11일 3시경 베트남 푸옌 성에 상륙하였고, 11월 11일 9시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일본 기상청에서 발표하면서 공식 예보가 종료되었다.

[JTWC] A B C [1] 8월 31일 강릉, 870.5 mm[2] 관측소 해발고도 1668 m[3] AWS 관측자료는 방재용으로, ASOS(종관기상관측장비)와 달리 공식값으로 취급하지 않는다.[4] 2014년 8월 1일~3일[5] '''대한민국 성인 여성 평균 키보다 크다.'''[6] 관측소 해발고도 1518 m[7] 2014년 당시 삼각봉 AWS는 연구용 목적으로 설치되어 관측자료가 공개되지 않다가, 2015년 12월부터 현업용으로 전환되었다.[8] 8월 2일 제주 ASOS의 일강수량은 112.3 mm을 관측했다.[9] 8월 1일~3일 누적[JMA] [10] 다만 사후해석에서는 11월 6일 3시가 되었다.[11] 정확히 말하면 매우 느리게 동쪽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