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버스 73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舊 7-3번
3.2. 舊 73번
3.3. 舊 8번, 78번, 78-1번, 80번
3.4. 통합 이후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73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경복대학교)
종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석계역1번출구A)
종점행
첫차
05:1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2:00
막차
23:20
평일배차
30~60분
주말배차
40~60분
운수사명
경기버스
인가대수
8대[1]
노선
경복대학교 - 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퇴계원터널 - 별내역 - 별내상업지구 - 삼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태릉입구역 - 석계역1번출구A

2. 개요


경기버스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운행거리는 4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현재의 73번은 2010년 3월 22일 7-3번과 8번이 통합되어 개통된 노선이다.

3.1. 舊 7-3번


[image]
2009~2010년 퇴계원 - 석계역 운행시절.
  • 대진운수 시절부터 다니던 역사 깊은 노선으로, 7번의 석계역ᆞ태릉입구 방면 지선이었다. 유사 노선으로는 내각리, 내곡리 경유노선인 73번이 있었다.
  • 초기의 7-3번은 오남리(어냄이) - 양지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석계역 이였는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장현을 경유하는 전통적 코스에서 사릉(용정리)로 넘어가는 코스로 이동패턴이 변화하자 7-3번도 2002년 전후로 7-5번을 따라서 광릉내 - 장현 - 오남읍 - 사릉 - 퇴계원역 - 석계역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이후 대진운수와 세진버스가 선진네트웍스로 같이 편입되면서 7-3번은 양지리로 단축[2] 퇴계원역 대신 뱅이삼거리를, 오남읍내 구간 대신 오남 우회도로(한양병원, 오남체육공원이 있는 도로다)[3]를 경유하도록 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 결국 2009년 1월 31일 퇴계원 이북 구간이 단축되어 1156번과는 담터구간에서 7-3번은 직선도로를 경유하고, 퇴계원읍사무소까지 가지 않는 점을 빼고는 대부분 같은 노선이 된다. 다만 가스충전 문제[4], 인가댓수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었고, 배차 간격은 1156번 보다 떨어졌다. 1156번이 2대 올 때에 7-3번은 1대 올까말까 한 수준이었으니 뭐... 설상가상으로 얘는 구간요금도 뜯으니 1156에게 발렸다.
  • 이용객이 적다보니 사실상 1156번 수요를 주워먹는 꼴이 되었고, 이후 2010년 3월, KD 인수 후에 중복노선 정리의 일환으로 8번과 통합하여 73번으로 변경된다.[5]
  • 2010년 노선변경 당시엔 진접택지지구 및 경복대를 경유하여 광릉내까지 왔으나 2012년에 광릉내차고지에서 철수하면서 2012년부터는 광릉내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6]경복대 - 광릉내 구간은 21번과 92번으로 대체 가능.

3.2. 舊 73번


[image]
  • 舊 73번은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담터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노선으로 대진운수 시절부터 운행되던 노선이다. 현재의 73번과의 차이점은 진접택지지구 대신 광릉내로 운행하고 별내택지지구를 경유하지 않는다는 점.
  • 1996~1997년에 들어와 오래동안 운행한 에어로 타운이 2006년에 대차되면서 로얄미디(인천중고, 가스차)가 중심이 되었고 2008년부터는 글로벌 900(08년식, 가스차)도 들어와서 같이 운행했다. 당시 7-3번이 진건/오남을 경유하던 것과 달리 73번은 내곡리, 내각리를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더 짧았다.
  • 수도권 통합 요금이 시행된 이후로는 석계역은 다른 노선을 이용하여 퇴계원에서 1156번으로 환승하면 충분했기에 가뜩이나 존재감도 없던 노선이 비중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2009년 5월 23일, 당시 퇴계원 - 석계역을 운행하던 7-3번에 흡수되며 사라진다.
  • 즉, 舊 73번은 현재의 73번과 사실상 같은노선이지만, 舊 7-3번에 흡수되어 사라졌다가 7-3번과 8번이 통합되어 73번이 되면서 다시 부활한 셈.

3.3. 舊 8번, 78번, 78-1번, 80번


[image]
[image]
8번
78번
  • 78번은 현재의 92번과 유사한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구리여고 - 광나루역 - 강변역 노선으로, 대진운수 시절 부터 운행되던 노선이다. 1001번이 2005년 10월에 광릉내로 연장되기 전 까지 광릉내에서 유일한 강변역 방면 시내버스 노선.
  • 하지만 세진버스 - 대원운수의 알짜노선인 1번과의 중복 등 으로 인해 수요는 저조하여 최소 30분 이상의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97년 6월, 구리농수산물시장 개장 당시에 교통편의를 제공하고자 78-1번이라는 구리농수산물시장을 추가로 경유하는 가지치기 노선도 있었다. 그러나 소리 없이 잊혀졌다.
  • 이후 2004년, 선진상운에서 7-8번의 장현 - 돌다리 구간 보조와 경쟁관계에 있던 대원운수 1번을 견제하기 위해 글로벌 900 디젤과 인천중고 BM090을 투입하여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장자대로 - 토평동(구 5번 종점) 구간의 8번을 신설하였다.[7]
  • 8번의 개통이후 7-8번과 8번의 운행횟수가 1번과 맞먹게 되어 해당구간에서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노선이 대부분 중복되던 78번은 운휴, 운행재개를 반복하고 중간에 노선번호도 80번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 중간에 역으로 8번이 80번에 흡수되기도 하며 부침이 잦다가, 최종적으로 2009년 1월 31일부터 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장자대로 - 토평동(대원여객) 노선의 8번으로 정착되었다.
  • 2010년 3월, 선진상운이 경기버스로 바뀌고 진접택지지구 버스노선 신설 및 중복노선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1번과 대부분의 구간이 겹치던 이 노선은 당시 퇴계원 - 석계역 구간을 운행하던 7-3번과 통합되어 현재의 73번 노선(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석계역)으로 재편되며 사라졌다. 동시에 경기여객 92번이 진벌리(현재는 광릉내)로 연장되면서 8번, 80번(구 78번)을 사실상 대체하게 되었다.

3.4. 통합 이후


  • 이후 무난하게 다니다가 2015년 10월 11일에 별내신도시와 퇴계원을 잇는 퇴계원터널이 개통되면서 별내농협, 별내역(이마트) ,별내상업지구, 메가볼시티, 삼육대 후문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1 관련 게시물 2 이에 따라 갈매사거리, 금강로는 경유하지 않으며, 한별초등학교 정류장에서 자매노선인 74번과 갈라지게 되었다.
  • 2018년 1월에 74번 증차를 위해서 1대가 감차되었고, 2018년 12월에 34번 증차로 2대가 더 줄어 인가와 달리 실제로는 12대로 운행한다. 이후 땡큐버스 신설로 감차를 더 거듭해 현재는 9대만 남았다.(디젤 3대, 가스 6대)
  • 2019년 11월 17일부터 별내농협에서 별내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별내상업지구로 돌아서 간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진접지구 및 장현/내각리에서 주곡중, 광동중•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수요가 많다. 석계역 방면 한정으로 삼육대, 삼육중•고등학교의 수요도 많은편.
  • 이 노선의 급행버젼인 74번이 있었으나 하루에 12회밖에 운행을 안해 존재감이 없었고, 결국 폐선되었다.
  • '진접 신도브래뉴 - 휴먼시아24단지' 구간은 양방향 버스가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니 방향판을 확인하고 타야 한다.
경복대 방향
석계역 방향
'''남양주시방면
(진벌리 경복대)
'''
'''석계역방면'''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진벌리차고지에서 휴식 및 가스충전을 하지만 승차할 수 없다. 경복대가 기점이기 때문.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2020년 12월까지 인가댓수는 14대, 실제로는 평일 9대, 주말 8대로 운행한다.[2] 양지리로 단축되었다가 아무래도 업체가 다르다보니 관리상 이유로 2007년에 광릉내로 다시 환원되기도 하였다.[3] 당시에는 9-9번의 경우는 9번의 경기유리 및 장자대로 경유 노선으로 오남우회도로로 2009년에 변경되기전이다. 현재는 91번이 이용 중이다.[4] 이건 1156도 같았다. 대신 회송거리에 있어서도 1156 보다 더 길었지만(1156은 태릉교통 본사, 7-3은 오남읍 양지리).[5] 같은 날에 사릉에서 타절하던 92번은 퇴계원역, 진관리, 사릉한신, 용정리 경유가 삭제되고 퇴계원다리 이북은 기존의 8번이 다니던 코스대로 다니게 된다. 그리고 1-5번이 그 코스를 받아서 다니게 되었다.[6] 직행좌석버스와 92번의 차고지로 삼기 위해서 이후 광릉내차고지를 KD 운송그룹이 매입하기는 했지만 73번은 환원되지 않았다.[7] 이 때 투입된 글로벌900은 2004년식으로 2006년에 좌석형 글로벌 900으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99년식 BM090(74아 3766)은 7번에서 다니다가 선진시내로 넘어가서 현재는 유니시티로 다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