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열필름
1. 고온에서 내부의 소재를 보호하거나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필름
여러가지 용도로 쓰이지만, 조명업계에선 고온상태에서 여러 부품들의 절연을 확보하는 용도로 쓰고, 사진용 필름, 영사필름이나 여러가지 종이 및 기타 고열로 부터 보호해야하는 면상제품에 적용되는 필름이다.
우주에 있는 여러 탐사선 친구들의 태양전지에도 테프론 내열필름이 발려져있어 고온에서 전지의 손상을 막는다.[1]
2. 기동전사 건담 TV판에 등장하는 장비
건담에 장비되어 있는 비닐봉지 모양의 필름이다. 등장은 5화의 대기권 돌입 에피소드. 크고 아름다운 고간(股間)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일명 고간필름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걸로 전신을 감싸면 가볍게 나홀로 대기권 돌입을 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간에서 자동적으로 전신을 감싸는 그런 방식은 아니고, 손을 이용해서 꺼내서 수동으로 둘러야 한다. 묘사를 볼 때 사용 후에는 타 없어지는 듯.
이 굉장한 물건은 건담이 대기권 돌입을 하는 장면 이후로는 시리즈 내내 영영 언급되지 않는다. 저렇게 편리한게 있는데도 제타건담 시대에는 밸류트 시스템을 따로 장비한다던가, 기체에 플라잉 아머같은 돌입용 아머 판때기를 든다거나 웨이브 라이더 변형기능을 넣는 등 다른 대기권 돌입 방식을 사용한다. 카크리콘에게 만약 고간필름이 있었다면 살아 남을 수 있었을 것이다.(건담 Mk2에게 플라잉 아머 스치기로 밸류트 시스템이 터져서 대기권 돌입중 폭사) 심지어 이 내열필름의 덕을 보았던 아무로도 뉴 건담에 애초에 싣지 않았던 건지, 고간이 사자비에게 썰려서 쓸 수 없었던건지, 어쨌든 내열필름의 부재로 인해 한 많은 생을 마감해야 했다. 손가락의 더미 하나쯤 빼고 넣어놨으면 살았을 것을.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내열필름이라는 물건이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하여 내열필름 대신 구멍난 실드를 앞세우고 '''고간에서''' 공기를 내뿜어 에어 필드를 발생시켜서 돌입하는 '''내열 필드'''라는 기술로 변경된다. 바뀐 설정도 여전히 말이 안되어보이는 게 함정.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에서는 추락하는 크로스본 건담 X1이 빔 실드를 펼쳐서 단독으로 대기권 돌입에 성공하는 내열필드스런 장면을 선보인다.
우주세기가 끝나고 난 후의 이야기인 건담 G의 레콘기스타에서 다시 등장한다. 우주세기의 여러 기술들이 공존하는 시대다보니 무슨 기술이 나오든 이상하지 않은 세계관인 덕분. 같은 토미노 작품인 물건에서 뒤늦게 다시 재현된걸 보면 묘하다.
MG 건담 RX-78-2 Ver.2.0에서는 내열필름 수납부가 건프라 사상 최초로 고간부에 재현되었다. 훌륭하다 훌륭하다 반다이 놈들. 다만 고간부 내부의 프레임을 보면 내열필름 수납부 보다는 내열 필드 발생기 쪽이 더 가까워 보인다.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에서는 내열필름도 내열필드도 나오지 않는다. 타죽을 위기였지만 화이트 베이스의 뒤에 붙어서 아슬아슬하게 돌입한다.[2]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에서 실로 오래간만에 등장, 12화에서 쿠가 히로토의 건프라인 코어 건담의 고간부에 수납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션 실패 후 대기권 돌입을 할 때 꺼내서 사용.
[1] 태양전지는 고열에서 익어버리며 색깔이 거무죽죽하게 된다.[2] 그러나 이 일은 지구 강하 직후 아무로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 화이트 베이스에 어찌어찌 매달리긴 했지만 자칫 그대로 타죽을 수도 있었고, 무엇보다 추락할 당시의 '''"혼자 뿐"'''이라는 정신적 압박이 아무로의 마음을 짓눌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