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
1. 개요
고사성어 중 하나. 풀어 쓰면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저녁 석(夕)자가 아니라 '저물 모' 자에 '해가 지다.' 즉, '저녁이 되다.' 라는 의미도 있기에 저물 모자를 쓴다.
《열자》 황제편, 《장자》 제물론편[1] 에서 나온 고사성어다.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뜻은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이다.''''. 더한 바리에이션으론 아침 2개, 점심 2개, 저녁 3개가 있다. 총합은 똑같은데 생각보다 낮은 \''''2''''라는 숫자만 보고 흥분하는 것이다.
2. 설명
춘추전국시대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길렀다. 그런데 원숭이를 너무 많이 기르는 통에 먹이가 부족해졌다. 저공은 고민고민한 끝에 원숭이들에게 줄 먹이량을 줄여 도토리를 아침엔 3개, 저녁에 4개 준다고 하였다. 원숭이들이 마구 반발하며 화를 내자, 저공은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면 어떻겠냐고 말했더니 원숭이들이 만족했다고 한다.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나,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나, 먹이의 갯수는 똑같지만, 그걸 모르고 당장 눈앞에 닥친 현실에만 급급하는 어리석은 상황을 묘사할 때 흔히 쓴다. 또는 잔술수로 상대방을 현혹시키는 모습을 비유하기도 한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변덕이 심하다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사실 이런 의미로는 아침에는 진나라에 붙고 저녁에는 초나라에 붙는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인 '조진모초'가 있다.
최근에는 시험을 칠 때 잘 모르겠으면 3번, 완전 모르겠으면 4번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3. 도가적 접근
사실 조삼모사 이야기는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원숭이의 못 분간하는 멍청함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원숭이들의 불확정적인 제안에도 유연히 대처하는 저공의 '''유연하고 자연스러운''' 태도를 강조하기 위한 우화다. 장자는 오히려 단지 인간들의 줏대로 원숭이가 어리석니 뭐니 판단하는 고루한 사고방식에 박혀있는 사람들을 제일 경계했다. 세간에 알려져 있는 조삼모사의 뜻은 정작 장자가 말하고자 하는 사상과는 정반대로 된 셈.
원숭이들의 입장에서는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의 도토리를 받는 것은 옳지 않으며(非),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의 도토리를 받는 것은 그나마 옳은(是) 선택이다. 하지만, 저공은 처음에는 원숭이의 입장에서 '옳고 그름'이 뭔지 몰랐기에, 전자의 제안을 했다가 원숭이들의 반발에 마주친다. 여기에서 이분법적 사고에 찌든 사람이라면 원숭이들이 어리석고 말을 안 듣는다고 화를 내고 말았겠지만, 저공은 '원숭이가 옳다고 하는 것에 따라'(因是) 후자의 제안을 하여 원숭이들을 만족시켰다.정신과 마음을 통일하려고 수고를 하면서도 모든 것이 같음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아침에 세 개'라고 말한다. 무엇을 '아침에 세 개'라고 하는가? 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주겠다(조삼모사, 朝三暮四)"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화를 냈다. 다시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하였다. 명분이나 사실에 있어 달라진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화내는 반응을 보인 것도 역시 그 때문이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시비를 조화시켜 균형된 자연에 몸을 쉬는데, 이것을 일컬어 '자기와 만물 양편에 다 통하는 것(양행, 兩行)'이라 한다.'''
勞神明為一,而不知其同也,謂之朝三。何謂朝三?曰狙公賦芧,曰:「朝三而莫四。」眾狙皆怒。曰:「然則朝四而莫三。」眾狙皆悅。名實未虧,而喜怒為用,亦因是也。'''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鈞,是之謂兩行。'''
- 《장자》, 김학주 역, 제물론(齊物論) 편
즉, 저공은 자기만의 관점(是非)을 원숭이에게 '''강요하지 않고''', 원숭이의 관점을 '''받아들여'''(因是) 자신과 원숭이 사이의 갈등을 현명하게 조율하여, '자연적인 가지런함(天均)을 실현한' 현명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원숭이들이 딱히 멍청하다고 까이지도 않고, 저공이 모든 것에 초탈한 신선처럼 묘사되지도 않는다.
과거의 KBS TV특강에서 강신주는 이 우화를 소통에 관한 것으로 해석했다. 사실 간단히 말해서 이 정도지만, 이것도 많은 해석 가운데 일부이고, 조삼모사 비유의 의미를 모두 적으려면 도가적 사상 대부분을 설명해야 할지도 모른다. 게다가 전통적인 학설과 달리, 노자와 장자의 사유가 다름을 전제하고 보면 기존 관점을 또 뜯어고쳐야 한다.
4. 경제학적 접근
원숭이가 아침에 4개를 받으려는 것은 '''경제학적으로 현명한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이 저공의 재정 상황이나 먹이 공급 상태를 고려하면 원숭이들은 매우 현명한 선택을 했다 할 수 있다.
- 1. 이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먼저 4개를 받는 쪽이 이익이 크다. 물론 먹이에 이자가 붙을 리 없으니 여기서는 논외라고 해도
- 2. 시간이 지나면서 생길 수 있는 리스크를 고려할 때, 먼저 많이 받는 쪽이 안전하다. 이를테면 아침과 저녁 사이에 저공이 완전히 도산해서 먹이를 못 준다거나 황제에게 찍혀 처형당한다든가
- 3. 원숭이가 주행성이라면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낮에 더 많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한다. 반대로 수면시간이 많은 밤에는 낮보다는 적은 영양만 필요하므로 굳이 저녁을 아침보다 많이 먹을 필요성은 적다.
5. 패러디
[image]
개그 만화 《출동! 먹통X》로 유명한 고병규의 작품. 2006년에 나온 이 짧은 두 컷 만화는 '''"저공이 A를 제안한다 → 원숭이들이 분노한다 → 저공이 B를 제안하거나 A에 대한 내용을 흘린다(이쪽은 주로 2차 창작) → 원숭이들이 스스로 비굴하게 A를 받아들인다."''' 라는 파격적인 패턴으로 2000년대 중후반 당시 인터넷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어 짤방 제작기를 포함한 수많은 패러디를 남겼다. 지학사 2-2 교과서에 나오기도 했고. 천재교과서 중학교 국어 3-2에는 패러디까지 나왔다. 물론 14년이 지난 2020년에도 패러디가 가끔씩 올라오고 있다.
[image]
작가가 별이 되어라! 셀프 패러디 그림을 그렸다.
[image]
중국에서는 오랑우탄이 나오는 실사판으로도 나왔다. 이 밖에도 중국어판 시리즈는 몇 개 더 있는데 위 사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설: 웬만한 주제를 가지고 중국 전국을 생태조사해도 중국 인구보다는 적은 수를 다룬다."오늘부터 각 지역 생태 조사를 실시하겠다."
"아니, 이 넓은 땅을 어떻게 다 조사합니까!!"
'''"그럼 인구조사를 하든가."'''
'''"내몽골까지 조사하는 건 어떨까요?"'''
그 외 다른 버전에 대해서는
"오늘부터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겠다."
"중국어 너무 어려워요! 안 배울 거에요!"
'''"그럼 광동어를 배우든가"'''
'''"CCTV 보면서 중국어 공부를 하겠습니다."'''
[image]"회사 홍보를 위해 자전거로 만리장성을 완주하겠다."
"아니 자전거로 언제 완주합니까!"
'''"그럼 중국 전역 한바퀴 돌든가"'''
'''"걷는 게 효과가 더 크지 않겠습니까."'''
고리타가 패러디했다.
마사토끼는 경제학적 관점 문서에서 언급한 이자 개념을 끼워맞춘 새로운 해석을 했다. 웃대, 공식 트위터
덴마에서 패러디가 세 번 나왔다. 다이크가 제트의 어깨를 잡는 부분, 엘이 하즈의 어깨를 잡는 부분, 롯이 페드릭의 어깨를 잡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