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

 



[image]
'''냉이'''
Shepherd's Purse
이명 : ''''''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풍첩초목(Capparales))

십자화과(Brassicaceae)

냉이속

'''냉이'''
1. 개요
2. 채취
3. 요리와 효능
4. 기타


1. 개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들이나 밭 어디에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널리 분포한다. 원산지는 소아시아동유럽으로 추정되지만 어딜 가도 보일 만큼 전 세계 널리 퍼져있다. 민들레를 위협할 정도로 엄청난 물량이다. 높이는 10~50센티로 중간 정도의 키이다. 꽃은 4-6월 중에 피는데, 매우매우 작은 꽃이 긴 대롱에 잔뜩 달려 있는 모양이다. 꽃 하나하나가 귀엽고 아기자기하다. 이파리는 민들레같이 톱니 모양 잎이 빙 둘러서 난다. 열매는 6-7월쯤에 열린다.
냉이랑 아주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식물로 꽃다지가 있다.
[image]

2. 채취


가을에 싹이 터서 로제트 상태로 겨울을 나고 겨울 끝자락에서 초봄에 자라기 시작하는데, 이 무렵에 냉이를 캐러 가는 사람들이 많다. 백이면 백 봄에 재래시장에 가보면 노점상에서 냉이를 잔뜩 팔고 있다. 꽃이 필 때쯤 되면 철이 지났다고 캐지 않는다.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번식력이 매우 강해서 불모지를 정복하다시피 하는데, 그렇다고 아무 곳에서나 자란 냉이를 먹으면 안된다. 환경오염이 심한 곳에서도 잘자라 나기 때문에 대량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을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연구기관에서 도로변에서 자란 냉이를 검사해보니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카드뮴을 흡수해서 식용 기준치를 훨씬 초과해서 검출되기도 했다. 가로수에서 떨어진 은행 열매를 주워가지 않는 것처럼[1] 도로가나 공장 근처 같은 곳에서 자라는 냉이는 위험하니 채취와 섭취를 자제하자. 하지만 함부로 길에 잔뜩 난 것을 캐다가 파는 양심불량 상인들도 있으니 주의할 것.
동일한 이유로 농촌 지역이라 하더라도 골프장, 과수원 주변은 피하는 것이 좋다. 냉이가 잘 자라려면 주변에 키 큰 나무 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산에서는 나무가 없는 산등성이 같은 특정지역에서 대량으로 자란다. 그래서 그런 포인트에서는 철이 되면 냉이를 대량으로 캐는 할머니들을 흔히 볼 수 있다.

3. 요리와 효능


[image]
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식재료이다.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도 상하이와 주변 지역에서 냉이를 먹고, 일본의 경우 1월 7일에 냉이를 포함한 7가지 채소[2]를 넣은 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냉이는 주로 국을 끓일 때 향긋한 향이 나게 하기 위해 넣는데[3], 보통 달래미나리도 이런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도 된장국에 넣으면 상당히 맛있어진다. 된장의 강한 풍미에 산뜻함을 더해주기 때문에 일반적인 된장국, 된장찌개에 비해서 매번 먹을 때마다 훨씬 물리지 않고 먹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비빔밥에도 넣고 부침개에도 넣기도 한다. 라면에 한 움큼 넣어서 끓여먹어도 맛있다! 된장에 무쳐 나물요리로 먹어도 별미다. 이렇듯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식재료이다. 향이 진하면서 오래 끓여도 뿌리 특유의 씹는 맛이 좋다.
요리할 때는 꼭 깨끗이 씻고 손질을 해야 하는데 뿌리까지 다 먹는 채소라서 제대로 씻어내지 않으면 흙냄새가 난다. 잔뿌리가 많아서 다듬기가 까다로운 편. 큰 소쿠리에 물을 받아놓고 빨래 행구듯 첨벙거리기를 여러번 해야하고 그때마다 새 물로 갈아줘야 한다. 분명 깨끗하게 씼어냈다고 생각했는데 새로 물을 받아서 담가놓으면 잠시후에 바닥에 모래와 흙이 또 보인다. 이게 보이지 않을 때까지 해야만 완벽히 씻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꼼꼼하게 씻어내기 번거로워서 뿌리를 제거하고 줄기와 잎만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건 인삼의 뿌리는 버리고 줄기만 먹는 것과 마찬가지다. 냉이 고유의 단맛과 향은 뿌리가 더 강하므로 줄기와 잎만을 사용하면 풀 넣은 국이 될 뿐이다.
다양한 비타민과 섬유질이 가득해서 춘곤증을 이겨 내는 데에 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한의학에서는 을 맑게 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간에 쌓인 독소를 풀어 준다고 한다.
차로도 끓여 먹는다. 냉이차 문서 참조.

4. 기타


  • 냉이의 씨방은 두 가지 모양이 있다. 미선형이라고도 하는 하트 모양의 씨방과 길다란 창 모양의 씨방이 있는데 이는 유전이다. 두 가지 유전자가 씨방의 모양을 결정하며 창형 씨방이 열성이다. A와 B 중 하나라도 우성 유전자가 있으면 미선형 모양이 된다. 즉 aabb만이 창형이며 나머지 모양은 모두 미선형으로 유전법칙에 따른 비율은 15:1이다. 이를 '동의유전'이라 한다.
  • 먹으면 방귀냄새가 심해진다. 냉이 특유의 흙냄새가 방귀에서도 나게된다
  • 잡초로 알려져 있지만 긴 뿌리를 이용해 땅속 깊이 들어있는 미네랄이나 영양분을 황폐화된 토양의 표피층으로 끌어 올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이다. 표피층이 얼어붙는 겨울철에도 눈을 치워보면 생생한 냉이를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겨울이나 봄철에 영양 보충을 위해 많이 먹었다. 줄기가 질겨져 먹을 수 없을 때도 냉이의 뿌리는 연하고 부드럽다. 냉이의 뿌리만을 채취해 나물로 먹기도 한다.
  • 냉이처럼 생겼지만 냉이가 아닌 가짜 냉이들이 있다. 개냉이라고 부르는 황새냉이가 있고, 지칭개라고 하는 것도 있다.[4] 황새냉이의 경우 일반 냉이와 향이 비슷하지만 일반 냉이와 달리 땅에 붙어서 자라는 게 아니라 위쪽으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먹어도 지장이 없고 오히려 약용으로 쓰이는 식물이다.

다른 가짜 냉이인 지칭개는 완전히 냉이와 흡사하다. 지칭개는 일반 냉이보다 약간 큰 것 말곤 외관이 유사해 어린 상태에선 일반 냉이와 구분이 잘 안 간다. 하지만 색이 약간 거뭇거뭇하고 뿌리가 일반 냉이와달리 잔뿌리가 거의 없는 굵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서 뽑을 때 으드드득 하는 손맛이 없다. 쑥하고 허무하게 뽑히거나 뿌리가 끊긴 채 툭 하고 뽑힌다. 그래도 모르겠으면 뿌리의 향기를 맡아보면 되는데, 일반 냉이와는 달리 퀘퀘하고 굉장히 쓴내가 난다. 이쪽도 역시 먹어도 크게 지장이 없고 약용으로 쓰기도 하지만 특유의 쓰고 매운맛이 심해서 달여서 먹어야 먹을만하다. 물론 쓴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냥 냉이무침처럼 무침으로 먹거나 고추장에 찍어먹어도 된다. 다 성장한 지칭개의 꽃은 엉겅퀴를 닮아서 냉이랑 헷갈릴 여지는 없다. 지칭개는 국화과다.
이 외에도 수많은 냉이 종류가 있는데, 십자화과의 식물이라면 대부분 식용 가능하다. 크래송이라는 '물냉이'도 서양에서 먹는 편.

[1] 은행 열매는 실제로는 흡수한 매연이 열매로는 잘 가지 않으니 크게 상관 없다. 그래도 해로울 것 같은 심리적인 이유가 크다.[2] 냉이, 무, 미나리, 순무, 떡쑥, 광대나물, 별꽃[3] [4] 그냥 가짜냉이 통틀어서 개냉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