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비아(클로저스)/스킬

 



1. 개요
2. 기본공격
4. 훈련병
4.1. 마성 해방
4.2. 뿔 후려치기
4.3. 꼬리 휘젓기
4.3.1. 꼬리 휘젓기 - 차원 융해
4.4. 독니 꽂기
4.5. 사역마 소환
4.6. 결전기 블랙 사바스
5. 수습대원
5.1. 제물 지정
5.1.1. 제물 지정 - 연쇄 폭발
5.2. 차원 특이점
5.3. 뱀의 인장
5.4. 결전기 발푸르기스
6. 정식대원
6.1. 뱀의 연무
6.2. 고통의 섬광
6.3. 살무사늪
6.4. 결전기 심판하는 별
7. 특수대원
7.1. 용의 의지
7.2. EX 뿔 후려치기
7.3. EX 독니 꽂기
7.4. EX 차원 특이점
7.5. 결전기 구원의 용
8. 태스크포스
8.1. 굿펠라스 : 레비아
8.2. 굿펠라스 포메이션 : C
8.3. 굿펠라스 포메이션 : C-긴급투입
9. 스킬 티켓
9.1. 지옥덫
9.1.1. 지옥덫 - 불굴의 의지


1. 개요


공용 스킬, 승급 패시브, V 스킬, 태스크포스 스킬을 제외한 나머지 스킬들은 '스킬 큐브'라는 시스템을 통해 강화된다. 스킬 큐브는 어드밴스, 익스퍼트, 마스터 단계로 나누어지며, 일반 스킬은 스킬 레벨 3/6/10, 결전기는 스킬 레벨 2/4/6에 어드밴스, 익스퍼트, 마스터 순서대로 자동으로 장착된다. 단, 일부 예외가 되는 스킬도 있다.
마스터 스킬 큐브가 개방되면 동시에 원하는 스킬 큐브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옵션' 슬롯이 열린다. 옵션 스킬 큐브는 정도연에게 구매하거나 미감정된 스킬 큐브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미감정된 스킬 큐브의 등급에 따라 나오는 옵션 큐브의 등급이 다르다. 일반 스킬과 결전기는 서로 다른 옵션 큐브를 사용한다. 옵션 큐브에는 장비 아이템처럼 품질 등급이 있으며, 품질이 높을수록 능력치 수치가 더 높다. 한 번 장착한 옵션 스킬 큐브는 뺄 수 없는 대신 다른 스킬 큐브를 장착해 교체할 수 있다. 옵션 큐브를 교체하면 이전의 스킬 큐브는 사라진다. 스킬 큐브의 목록은 이 문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팀워크 버프는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2. 기본공격


매우 느리고 둔탁한 평타를 가지고 있다. 다만 레비아는 굳이 평타를 안 쳐도 마나가 모자를 일이 없는 캐릭터이므로 어쩌다가 모든 스킬이 쿨이 돌고 있을 때 때리는 경우라면 모를까 마나회수기로서의 평타는 큰 의미는 없는 편이다.
기본 평타: 5타. 2타까진 그냥 지팡이를 휘두르지만 3타와 4타는 독니 꽂기 처럼 발사체를 발사한다. 당연히 발사체 거리까지 공격 판정이 있다. 4타의 경우 레비아의 좀 뒤에서 발사되는데 때문에 레비아 뒤에있는 적도 맞는다.
대시 평타: 3타 . 3타의 경우 횡으로 베면서 깊게 돌진하는데 충돌 무시 판정이 있어서 결과적으로 적의 뒤에 위치한다.
공중 기본 평타: 1타. 평범하게 위에서 아래로 콕 꽂는다. 나타처럼 강제착지 기술은 아니다. 어느 카드 콜렉터의 봉인 기술의 오마쥬.
공중 대시 평타: 3타. 아래서 위로 두번 휘두르고 공중 기본 평타를 쓰는데 판정이 전캐릭터의 근접 평타 중 가장 좋다! 제이와 레비아만 공중 대시 평타 첫타로 적을 띄울 수 있는데 레비아는 거리만 맞으면 스캐빈저같이 낮은 적도 간단히 띄운다. 공격력도 좋은 편.[1]
대시 점프 중 x키를 눌러 강제 착지: 착지한 뒤 짧은 거리를 고속으로 지팡이를 탄 채 전진한다. 충돌 무시 판정은 없다. 나타에 비해 미묘한 기능.

3. 공용스킬




4. 훈련병



4.1. 마성 해방


'''마성 해방'''
[image]
패시브
설명
레비아의 재능과 차원종의 잠재 능력으로 위상력을 누구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스탯의 50%만큼 마법 치명타 피해량이 상승하고 15%만큼 에어리얼 시 피해량이 증가한다. 또한 위상력 개방 시, '마성 해방' 버프를 획득한다.
레비아의 고유 특성으로 위상력 개방 시 [용의 가능성] 버프를 획득한다. [용의 가능성] 버프가 있을 때, 결전기를 더욱 강력한 형태로 시전한다. 단, 각 결전기를 습득해야 버프를 획득할 수 있다.

레비아는 위상력 개방 시 30%의 위상력을 다시 회복하며 추가적인 폭발을 발생시켜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추가 폭발 및 위상력 회복 효과는 유니온 아레나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위상 폭발: 마법 공격력의 4680%
용의 의지: 마법 공격력의 12600%
[용의 가능성] 버프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모든 [결전기]를 더욱 강력한 형태로 시전한다.
[결전기 블랙 사바스]
: [단타 공격]으로 변경되며, [크리티컬]이 확정적으로 적용된다.
[결전기 발푸르기스]
: [단타 공격]으로 변경되며, [크리티컬]이 확정적으로 적용된다.
[결전기 심판하는 별]
: [크리티컬]이 확정적으로 적용되며, [피해량이 10% 증가한다.]
[결전기 구원의 용]
: [크리티컬]이 확정적으로 적용되며, [피해량이 15% 증가한다.]
지속시간: 60초
레비아의 '위상력 개방 특화' 컨셉에 힘을 실어주는 패시브다.
먼저 늑대개 공통의 스탯 변환 효과는 상당한 수준. 현재 최종세팅 기준으로 위상력 개방시 대미지 증가 스탯을 80% 이상까지도 확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패시브 효과로 40% 넘는 마치피가 공짜로 주어진다. 게다가 패시브 효과로 상승하는 에추피가 '''합연산'''으로 적용되는 특혜가 있다! 피증 스탯은 곱연산으로 적용되어 최종 세팅에 가까워 질수록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짐을 생각하면 상당한 강점. 최종 세팅 기준으로 그만큼을 장비만으로 올리려면 무려 30~40% 가량의 에피증 옵션이 필요하다.
한편 용의 가능성 버프는 최근 환경에서 효용성이 급감한 훈련생/수습대원 결전기를 단타기로 바꾸어 크게 상향시키고 나머지 두 결전기도 소폭 강화해주는 효과이다. 확정 크리티컬은 크게 의미가 없고 피해량 상승폭도 높은 편은 아닌지라 단타화 효과가 버프의 핵심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이 버프를 통해 블랙 사바스는 채널링이라는 최대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발푸르기스는 거슬리는 선딜과 지나치게 긴 지속시간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위상력 개방 사용시 얻는 버프는 위상력 개방 레벨 10 기준으로 마법 치명타확률 13.55% + 마법 치명타 피해량 30.7%으로 위상력 개방 특화 캐릭터답게 타 캐릭터보다 높은 수준이다. 게다가 특수대원 승급시 위상력 개방에 상당한 수준의 계수가 붙는다.
그 계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물론이고 핵심 스킬인 고통의 섬광의 단타화 스택 충전을 위해서도 레비아는 위상력이 가득찰 때마다 꼬박꼬박 위상력을 개방해주어야 한다. 위상력이 워낙 무지막지하게 차오르는 레비아인지라 '''쿨 짧은 일반스킬마냥 수시로 불이 들어온다.''' 위상력 회복이 더딘 부류의 캐릭터를 키우다가 넘어온 유저라면 그 속도를 따라가기 힘들 정도.

4.2. 뿔 후려치기


'''뿔 후려치기'''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정면으로 돌진하며 적을 후려친다.
돌진 시, 키 입력 방향에 따라 측면으로 돌진할 수 있다.
효과
레벨 1
후려치기: 마법 공격력의 444%
MP 15 소모, 쿨타임 5.2초
레벨 20
후려치기: 마법 공격력의 949%
올려치기: 마법 공격력의 474%
MP 100 소모, 쿨타임 5.2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추가 입력으로 연계기 발동
적을 올려쳐 공중으로 날려버린다.
방향키 입력시 공격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백어택 시 치명타 피해량 10%
마스터
기능 강화
공포의 뿔 - 뿔 후려치기에 피해를 입은 적은 10초간 마법 방어력이 20% 감소한다.

사용시 적에게 다가가서 적을 후려친다. 어드밴스 사용시 적을 올려친다. 익스퍼트 사용시 적을 아래로 후려치고 추가타 사용시 방향키를 지정하지 않으면 배후로 넘어가 후려친다. 쿨이 매우 짧은 이동기라 제물 지정과 함께 백어택 잡기에 용이한 스킬로 꼽힌다. 레비아의 공중 기동력에 날개를 달아주며 잡몹처리에도 적절한 스킬이기에 상당히 자주 쓰인다. 1타에는 충돌 무시 판정이 살짝 있으나 타 캐릭터의 충돌 무시 판정보다 사용하기 까다롭다.

4.3. 꼬리 휘젓기


'''꼬리 휘젓기'''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적을 붙잡아 피해를 입히고 공중으로 날려보낸다. 날리기 전에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잡히지 않은 적을 공격 시, 강력한 일격을 날리며 회피한다.
시전 시, 무적 효과를 얻는다.
효과
레벨 1
잡기: 마법 공격력의 194%
물어뜯기: '''슈퍼아머 크래시 Lv.1''', 마법 공격력의 584%
멀리 던지기: '''슈퍼아머 크래시 Lv.1''', 마법 공격력의 194%
잡기 실패 - 내려찍기: 마법 공격력의 1262%
잡기(EX 차원특이점: 마스터 개방 시): 마법 공격력의 486%
떨어져!(EX 차원특이점: 마스터 개방 시): 마법 공격력의 1941%
MP 35 소모, 쿨타임 10.5초
레벨 20
잡기: 마법 공격력의 414%
물어뜯기: '''슈퍼아머 크래시 Lv.1''', 마법 공격력의 1250%
멀리 던지기: '''슈퍼아머 크래시 Lv.1''', 마법 공격력의 414%
잡기 실패 - 내려찍기: 마법 공격력의 2700%
독니 날리기: 마법 공격력의 1040%
잡기(EX 차원특이점 : 마스터 개방 시): 마법 공격력의 1040%
떨어져!(EX 차원특이점 : 마스터 개방 시): '''고정 피해''', '''슈퍼아머 크래시 Lv.3''', 마법 공격력의 4152%
MP 135 소모, 쿨타임 10.5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추가 입력으로 연계기 발동
공중에 뜬 적에게 독니를 날려 공격한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5%
마스터
기능 강화
꼬리 탄력 - 스킬 체인 3회 이상에서 사용시, 쿨타임이 2초 감소한다.
잡기 스킬. 사용시 지팡이로 전방의 적을 푹 찍어올려 공중에서 데미지를 주다가 떨어뜨리는 동시에 후려쳐서 날려보낸다. 어드밴스 추가타는 날려보낸 쪽으로 빔을 쏘아 추가 경직과 데미지를 준다. 공중 사용시 지팡이로 적을 찍은 후 그대로 접근하여 추가 타격, 이후 바닥에서 뱀이 올라와 광역 데미지를 준다. 이때 대상 몹이 레비아의 눈높이로 뜨기 때문에 사용 직후 뿔 후려치기로 연계할 수 있다.
잡기 실패시 2타(잡기+내려찍기)를 치면서 공중으로 뜨게 되는데 이때 만렙 기준 데미지는 3000% 남짓. 단타인 데다 시전 속도도 짧아서 만렙 기준으로도 콤보 중간중간 순간적으로 섞어주기 좋다. 잡기 실패 시 공중으로 튕겨져 올라가기 때문에 에어리얼 운용에도 이점을 갖는다.
또한 지상/공중 버젼 모두 '''방향키'''를 함께 눌러주면 앞으로 살짝 도약하며 시전되는데 이러면 사거리가 거의 2배로 늘어나므로 잘 써먹자. 거기다 모션 자체가 지팡이를 앞으로 쭉 내미는 동작이기 때문에 근접 잡기 치고는 범위가 꽤 괜찮은 편이다. 지팡이 끝에 스치기만 해도 즉각 잡기 모션으로 이행할 정도로 판정도 후하다. 특히 공중시전은 포물선을 그리며 낙하하기 때문에 체감 범위가 더 넓고, 이를 이용해 약간 떨어진 적에게 접근하며 시전하는 식으로 공중 기동력을 보완하는 운용도 가능하다.
게다가 잡기 성공시 모션 전체[2]에 무적효과가 있어, 티어매트 대책실의 악몽 던젼에서 즉사 패턴을 회피하는 데에 매우 요긴하게 쓸 수 있다. 하지만 잡기에 실패하면 무적 효과가 전혀 없으므로 주의.

이후 2019년 대정화작전 코어 각성스킬 개편 때 추가 기믹을 얻었다. 각성 없이도 제값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취지에 부합하여 레비아의 2번째 에+체+백 일반기이자 최초의 트루데미지 스킬로 거듭났다. 게다가 잡기 실패 시에도 후속타와 함께 무적 효과가 발생하게 되면서 생존기도 추가된 셈이 되었다. 높은 계수와 피증 보너스를 잃어 일반 잡몹 상대로는 각성 꼬젓과 비슷한 딜량이지만 떡뎀감이 달린 보스들에게는 트루뎀의 위용을 보여줄 수 있다.
단점으로는 그냥 제자리시전이었던 각성스킬과 달리 전방을 타게팅하는 선모션이 있어 헛손질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점과, 각성 꼬젓의 사기적인 MP 회복력을 상실했다는 점 정도. 하지만 MP의 경우 워낙 위상력 개방을 자주 하는 레비아답게 치명적인 타격까지는 아니다.


4.3.1. 꼬리 휘젓기 - 차원 융해


'''꼬리 휘젓기 - 차원 융해'''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스킬 각성] 차원 융해

압도적인 양의 위상력을 쏟아부어 국소 지역의 차원을 융해시킨다. 융해된 차원은 주변의 적대적인 대상을 빨아들이다 폭발한다.
폭발에 휘말린 적의 마법 방어력을 20초간 10% 감소시킨다.

[스킬 각성] 2단계
차원 융해에 의한 폭발 이후 동일한 위치에 한 번 더 폭발이 발생한다.

지상에서 스킬 사용 시에도 에어리얼 판정을 적용받으며, 각성된 스킬은 용의 의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각성한 스킬은 옵션큐브의 효과만 적용된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1'''
차원 흡입: 마법 공격력의 484%
융해 폭발: 마법 공격력의 2914%
융해 폭발-차원의 메아리: 마법 공격력의 3884%
MP 35 소모, 쿨타임 10.5초
레벨 20
'''슈퍼아머 크래시 Lv.1'''
차원 흡입: 마법 공격력의 1038%
융해 폭발: 마법 공격력의 6235%
융해 폭발-차원의 메아리: 마법 공격력의 8311%
MP 135 소모, 쿨타임 10.5초
대정화작전정화자 코어 착용 시 각성.
특이하게도 각성 이전과는 완전히 딴판인 스킬로 변한다. 잡기 기술도 아니게 되고 잡기 실패시의 단타 모션도 사라진다. 그 대신 다소 뜬금없게도 차원 특이점과 흡사한 구체를 생성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마법진이 생성되며 폭발하며 데미지를 준다. 툴팁에는 없으나 구체가 폭발할 때 차원 특이점과 같은 '''MP 회복 기능'''이 있다. 자세한 수치는 알 수 없으나 EX 차원 특이점보다도 훨씬 많이 회복되는 듯.[3] 2단계 각성 시 이펙트가 바뀌며 폭발이 2번 일어나는데 이때 MP 회복 효과도 중복해서 발생한다. 덕분에 '''마나가 밑바닥일 때 사용해도 단숨에 풀마나'''로 만들어줄 정도의 괴랄한 성능을 자랑해서 마나 걱정을 아예 할 필요가 없게 해준다.
막타와 추가타에 계수가 몰려 있는 연타형 설치기라 보스의 모션에 따라서는 빗나가는 경우가 심심찮게 나오긴 하지만 그래도 각성 성능 자체는 상당히 좋다. 흡입력이 상당히 좋은데다 EX차원특이점과 달리 짧고 굵게 터지는 스킬이라 잡몹 던전에서는 아주 유용한 편.
여담으로 여러모로 특이점을 빼다박은 스킬답게 오브젝트 판정이라 대상 뒤쪽에 깔아줘야 백어택 판정이 뜬다.

4.4. 독니 꽂기


'''독니 꽂기'''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이차원의 뱀을 구현해 적을 물어 뜯는다. 시전 중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얻는다.
공격 중 이동이 가능하다.
효과
레벨 1
독니 날리기(타격당): 마법 공격력의 100%
MP 24 소모, 쿨타임 10.2초
레벨 20
독니 날리기(타격당): 마법 공격력의 214%
독 폭발(타격당): 마법 공격력의 107%
MP 109 소모, 쿨타임 10.2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독니 꽂기에 당한 적에게 추가 피해를 일으킨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5%
마스터
기능 강화
위상력 자극 - 매 공격 시 위상력을 1%씩 회복한다.
사용시 레비아가 지팡이에 앉아 손에서 이차원의 뱀을 쏜다. 총 6번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동안 이동할 수 있다. 공중 시전시 사선 아래로 발사한다. 위상력 회복 효과도 달려있고 개편으로 데미지 감소효과도 추가된 스킬.

4.5. 사역마 소환


'''사역마 소환'''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사역마의 힘으로 레비아의 잠재 위상력을 자극한다.
시전 시, [뿔 후려치기 계열] 스킬의 쿨타임을 감소시키며, 위상력을 20% 만큼 회복시킨다. 또한 소환되어 있는 동안 일부 능력치[4]를 상승시킨다.
공중에서 사용 가능하며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효과
레벨 1
사역마 소환 충격파: 마법 공격력의 492%
용의 의지: 마법 공격력의 5904%
MP 16 소모, 쿨타임 4.5초 고정
레벨 10
사역마 소환 충격파: 마법 공격력의 758%
용의 의지: 마법 공격력의 9091%
MP 164 소모, 쿨타임 4.5초 고정
사용 시 위상력을 회복시키고 10초동안 총마공, 이동속도를 올려주는 버프가 걸린다. 시전하는 동안 잠시 잡기면역 슈퍼아머이다. 쿨타임 감소 효과는 뿔 후려치기는 3초, EX 뿔 후려치기는 쿨타임이 초기화된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50%만 적용된다.
위상력 회복 효과는 원래 초당 회복만 달려있었으나 패치를 통해 즉시 회복 효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버그로 초당 회복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총 40%회복이 가능한 상태. 후속 패치에서 아예 툴팁에 초당 회복 옵션이 복원된 것으로 보아 그냥 두기로 한 듯.
자버프 계열 스킬 치고는 유독 지속시간이 짧아 골치였지만 쿨타임을 대폭 줄이는 것으로 해결되었다. 본래는 딜사이클 핵심스킬인 EX뿔후려치기의 쿨타임 감소를 위해 아껴두느라 자버프기임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갱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생기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 또한 쿨타임 감소 하나로 해결되었다. 덤으로 위상력 20% 회복을 기존의 7초가 아닌 4.5초마다 발동하게 되므로 위상력 관리도 훨씬 쉬워져 EX독니꽂기의 아포피스 스택 충전에도 여유가 생겼다. 주력기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지만 나름 붙어있는 충격파 딜량이 늘어난 건 물론이다. 이렇듯 다양한 골칫거리들을 쿨타임 조정 한 방으로 해결했다는 점에서 호평받는다.

다만 스킬의 특징으로 레비아가 자세를 잡는 한 박자 정도의 선딜이 있다. 시전 직후 너무 빨리 캔슬하면 위상력 회복은 물론 버프도 들어오지 않으므로 주의.

4.6. 결전기 블랙 사바스


'''결전기 블랙 사바스'''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잠재된 위상력을 해방시킨 뒤, 무기에 극도로 집중시켜 적을 공격한다. 스킬 시전중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으며, 방향키 입력으로 공격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1'''
강타: 마법 공격력의 870%
내부 진탕: 마법 공격력의 3478%
강타(용의 가능성 적용 시): 마법 공격력의 4350%
굿펠라스 임팩트: '''슈퍼아머 크래시 Lv.3''', 마법 공격력의 12600%
MP 161 소모, 쿨타임 51초
레벨 15
'''슈퍼아머 크래시 Lv.2'''
강타: 마법 공격력의 2027%
내부 진탕: 마법 공격력의 8104%
위상력 해방: 마법 공격력의 5078%
급강하: 마법 공격력의 514%
강타(용의 가능성 적용 시): 마법 공격력의 15203%
굿펠라스 임팩트[5]: '''슈퍼아머 크래시 Lv.4''', 마법 공격력의 12600%
MP 439 소모, 쿨타임 51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추가 입력으로 연계기 발동
지면에 위상력을 해방시켜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5%
마스터
기능 강화
위상력 해방 - 위상력 개방 시 피해가 15% 상승한다.
슈퍼아머 크래시 레벨이 1 상승한다.
[image]
[image]
출처
사용시 기를 모아 크게 휘둘러 가격한다. 어드밴스 사용시 바닥에서 이차원의 뱀이 나오고 익스퍼트부터는 위에서 급강하하며 다단히트하고 지상까지 내려온 뒤에 후려치고, 마찬가지로 바닥에서 뱀이 나온다. 휘두르는 모션에서 후방 제로거리까지 타격 판정이 있다.
추가타의 무시막지한 범위 덕분에 잡몹 정리하기가 매우 좋은 결전기 중 하나다. y축으로 몹이 좀 흩어져있다 싶으면 몹들 중앙에 날려서 한번에 정리하자.
용의 가능성 버프 때문에 위상력 개방 한정으로 단타기가 되었으며, 점프 상태에서 사용하면 이세하의 추가타 없는 유성검을 쓰는 느낌으로 사용하게 된다. 강제 착지에 후딜이 매우 기니 빠르게 제물 지정, 지옥덫 등으로 캔슬해 다른 스킬로 연결하는게 좋다. 심판하는 별 - 구원의 용 - 발푸르기스 - 블랙 사바스 순으로 모든 결전기를 매끄럽게 우겨넣는게 가능하다.

5. 수습대원



5.1. 제물 지정


'''제물 지정'''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후방으로 회피하며 전방을 향해 강력한 폭발을 일으킨다.
스킬 시전 중에는 무적 효과를 얻는다.

지상에서 스킬 사용 시에도 [에어리얼 / 백어택] 판정을 적용받는다.
효과
레벨 1
위상력 터뜨리기: 마법 공격력의 3516%
위상력 터뜨리기(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7032%
MP 87 소모, 쿨타임 12초 고정
레벨 20
위상력 터뜨리기: 마법 공격력의 8190%
위상력 터뜨리기(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16385%
MP 248 소모, 쿨타임 12초 고정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HP 30% 이하인 대상에게 피해량이 30% 증가한다.
익스퍼트
기능 강화
스킬체인 2회 이상에서 사용 시, 쿨타임이 1.5초 감소한다.
마스터
기능 강화
제물 살피기 - 스킬 사용 시 제물[6] 버프 효과를 얻는다.
과거에는 스킬키를 꾹 눌러 위치를 지정했다가 순간이동하며 범위공격을 하는 스킬이었으나, 2020년 7월 패치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스킬로 변경되었다. 이전 스킬의 흔적은 스킬명과 아이콘만이 남았으며, 밸런스 패치를 통해 레비아의 스킬 자체가 변경된 것은 독사떼->뱀의 인장 이후로 2번째.[7]
그래도 무적기 겸 이동기로서의 기믹만은 계승되어 시전 즉시 약간 뒤로 물러나면서 전방에 폭발을 일으키며 공격하는 스킬이 되었다. 또한 계수가 크게 증가하고 확정 백어택과 더불어 괜찮은 스택 버프도 제공하는 등 성능 면에서 대폭 상향되었다.

5.1.1. 제물 지정 - 연쇄 폭발


'''제물 지정 - 연쇄 폭발'''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스킬 각성] 연쇄 폭발

대량의 위상력을 전개하여 전방 부채꼴 모양의 넓은 범위를 폭발시킨다.

스킬 사용 중엔 무적 효과를 얻는다.

지상에서 스킬 사용 시에도 에어리얼 판정을 적용받고, 각성된 스킬은 용의 의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스킬 사용 시 제물[8] 버프 효과를 얻는다.

※각성한 스킬은 옵션큐브의 효과만 적용된다.
효과
레벨 1
위상 폭발: 마법 공격력의 3956%
MP 87 소모, 쿨타임 20초
레벨 20
위상 폭발: 마법 공격력의 9217%
MP 248 소모, 쿨타임 20초
대정화작전정화된 죄수 세트 착용 시 각성.
전방에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며, 모션은 개편 이전 제물 지정의 막타에서 따왔다. 범위도 좁고 계수도 낮아 사실상 유틸기 위치에 있던 원본과는 차원이 다른 광역폭격 능력을 갖추게 된 각성 스킬. 흉조 세트로 받는 지옥덫 각성스킬에 제물지정 강화(데미지 50% 증가)가 붙어있으므로, 대정화 실드를 다 맞춘다는 전제하에서 실질적으로 14,000에 달하는 계수를 자랑하게 된다. 다만 원본 스킬이 개편/상향되며 딜량이 훨씬 높아짐에 따라 의미가 없어진 상황.
그래도 각성 제물지정의 압도적인 범위는 레비아가 가진 일반기술 중 최고 수준이며 결전기를 제외하면 사실상 유일한 광역 딜링기이기도 하다. 쿨타임이 다소 길어 아쉽지만 그 정도 범위에 이 정도 계수를 때려박는 일반스킬은 레비아에게 달리 없다. 상위 일반 던젼을 밀고 지나갈 때에는 이것 한 방으로 한 블럭을 쓸어버리면서 이동까지 동시에 해내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겉보기와는 다르게 오브젝트 판정 스킬임을 알아두자. 폭발이 타겟의 뒤쪽에 위치해야 백어택 판정이 뜬다.

5.2. 차원 특이점


'''차원 특이점'''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공간을 강제로 일그러뜨려 주변의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차원 특이점을 만든다.
효과
레벨 1
흡력: 마법 공격력의 400%
특이점 폭발: 마법 공격력의 176%
MP 59 소모, 쿨타임 11.1초
레벨 20
흡력: 마법 공격력의 932%
특이점 폭발: 마법 공격력의 410%
MP 161 소모, 쿨타임 11.1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차원 특이점이 폭발할 때 MP가 10%(+레벨 당 0.5%)회복된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5%
마스터
기능 강화
폭주 - 차원 특이점을 폭주시킨다. 멀리 있는 적을 끌어당긴다.
지상에서는 캐릭터 조금 앞부분에, 공중에서 사용시엔 키 입력을 유지하여 위치를 지정한 후에 구체를 생성한다. 계수는 만렙을 찍어도 다른 뎀딜 스킬 1렙만도 못한 데다 범위 또한 마큡을 찍기 전까지는 매우 빈약하다. 하지만 명실공히 레비아의 필수 스킬로 꼽히는데, 어드밴스 큐브 장착시 획득하는 마나 회복 기능 때문.
안 그래도 스킬들 쿨타임이 전체적으로 짧은 편인데 마나 소모량은 다른 캐릭터들의 2~3배에 달하는 레비아다 보니 차원 특이점의 마나 회복력이 없으면 도무지 버틸 재간이 없다. 위상력 개방시 자원 회복 효과를 남들보다 몇 배는 자주 받아먹는데도 불구하고 마나물약을 달고 살아야 하는 수준. 그 대신 특이점 어드밴스 큐브가 장착되는 26렙부터는 무한동력을 얻어 마구 스킬을 난사할 수 있게 된다. 마스터큐브를 통해 잡몹 모으는 기능은 덤. 뱀의 인장이 추가되기 전까지는 마큡뚫린 특이점이 수습대원 구간에서 레비아의 Y축을 책임지는 유일한 스킬이었다.[9]

5.3. 뱀의 인장


'''뱀의 인장'''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위상력의 역장을 펼쳐, 영역 내 물리 법칙을 강제로 비틀어 버린다. 모든 피해를 무시하고 주변 적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스킬 키 유지시간 동안 지속된다.
이 스킬은 위상력을 소모한다.
이 스킬은 항상 에어리얼/백어택 판정을 받는다.

* 지상에서 사용 시, 공중으로 점프하여 시전한다.

* 스킬 유지 시 3초에 걸쳐 [MP를 50%] 회복한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시전 시, 다른 스킬 사용이 불가하다.
효과
레벨 1
인장 피해: 마법 공격력의 2000%
인장 피해(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7000%
위상력 5% 소모, 쿨타임 10초 고정
레벨 20
인장 피해: 마법 공격력의 7560%
인장 피해(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20160%
위상력 5% 소모, 쿨타임 10초 고정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피해량이 50% 증가한다.
익스퍼트
기능 강화
HP가 30% 이하인 대상에게는 피해량이 30% 증가한다.
마스터
기능 강화
이무기 - 매 타격 시 대상의 치명타 피해 감소 스탯을 20% 약화시킨다.
이 효과는 7초간 지속된다.

과거에는 '독사떼'라는 기술로, 지팡이를 뻗어 전방으로 독사떼를 화염방사기처럼 날리는 채널링 기술이었지만 좁은 공격범위와 애매한 계수 등으로 인기는 매우 없었고 찍는 사람도 적었다.[10] 사실상 체공&뎀감용 스킬 이외의 가치는 전무했다고 봐도 될 정도.

하지만, 17/03/30 패치에서 뱀의 인장으로 개편되며 모든게 달라졌다. 현재는 주변에 장판을 전개해 데미지를 주며 지속시간동안 완전 무적인 걸출한 스킬이 되었다. 개편과정에서 계수가 꽤 오르고 매우 긴 무적 판정에 조건부 추가 피해, 상대 치명타 저항 감소 디버프까지 생겨 최소 10레벨 까지는 찍는 필수스킬로 거듭났다. 스킬 설명에 무적이라 설명이 안되있어서 무적기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자세히 보면 모든 피해를 무시한다고 설명되어있다.
그 동안 마땅한 만능 회피기가 없었고 Y축을 커버하는 스킬도 거의 없다시피했던 레비아에게 굉장히 뛰어난 잡몹 청소기 겸 완전 무적 회피기가 주어진 셈인데 이 덕분에 육성 구간이 매우 편해졌다는 평이 많다.
다만 느려터진 이동속도, 스킬락 판정[11]에 의한 1초 남짓의 최소 유지 시간, 부실한 딜량으로 인해 상위 지역으로 넘어가면 금방 무의미해지는 잡몹 처리 능력 등 불만점 역시 상당했다.
이는 꼬박 3년 이상이 지난 2020년도에 들어서 비로소 해결되었으며, 이동속도 상향/스킬 사용 제한 해제/계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한계점을 완벽히 극복하였고 거기다 에어리얼 시동, MP 수급, 에/백/체 확정 판정[12]까지 덤으로 지닌 걸출한 스킬로 변모했다.

5.4. 결전기 발푸르기스


'''결전기 발푸르기스'''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굶주리고 거칠기 짝이 없는 뱀을 무수히 소환해 뱀들의 축제를 연다. 구현된 뱀은 일정 범위에 포격을 가해 적을 지워버린다. 스킬 시전 중에는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으며, 방향키 입력으로 공격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2'''
위상력 구체: 마법 공격력의 456%
뱀 습격: 마법 공격력의 2280%
마무리 폭발: 마법 공격력의 1820%
뱀 습격(용의 가능성 적용 시): 마법 공격력의 4555%
MP 406소모, 쿨타임 59.5초
레벨 15
'''슈퍼아머 크래시 Lv.3'''
위상력 구체: 마법 공격력의 1350%
뱀 습격 - 어드밴스 개방 시: 마법 공격력의 13497%
마무리 폭발: 마법 공격력의 5390%
뱀 습격(용의 가능성 적용 시): 마법 공격력의 20225%
MP 778 소모, 쿨타임 59.5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발푸르기스의 지속시간이 100% 증가한다.
익스퍼트
기능 강화
발푸르기스의 밤 - 스킬 사용 시 발푸르기스의 밤[13] 버프 효과를 얻는다.
마스터
기능 강화
굶주린 뱀 - 마법 치명타 피해량이 20% 증가한다.
슈퍼 아머 크래시 레벨이 1 상승한다.
설치형 장판 결전기. 거대한 구체가 적을 홀딩하면서 계속 대미지를 준다. 다만 구체가 형성되기까지 선딜이 1초 가량 존재하며 그 전에 캔슬하면 쿨타임만 돌아가게 되므로 주의.
용의 가능성 버프 상태에서는 구체 대신 전방에 동급 규모의 폭발을 일으켜 단타로 공격한다. 단타 시전 시 시전속도가 매우 빨라 연계하기에도 편하며, 특히 아레나에서는 기습용으로 자주 사용한다. 이 용의 가능성 버프를 받은 단타의 경우 폭발하는 이펙트임에도 기존과 동일하게 독립 오브젝트 판정이다. 단타 지옥덫과 똑같이 캐릭터의 위치가 아닌 이펙트가 차원종의 뒤에 위치해야 하는 것. 백어택을 받으려면 차원종의 정면에서 사용하자.

6. 정식대원



6.1. 뱀의 연무


'''뱀의 연무'''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뱀의 움직임을 본능적으로 발휘한다. 돌진 시, 키 입력 방향에 따라 측면에 돌진할 수 있으며 강제 기상 효과가 있다.
스킬 시전 중에는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는다.
이 스킬은 항상 에어리얼/백어택 판정을 받는다.

* [지상/공중]에서 아래 방향키를 입력하며 시전 시, 단타 공격으로 시전한다.
효과
레벨 1
돌진: 마법 공격력의 490%
쇄도: 마법 공격력의 489%
위상 충격파: 마법 공격력의 1469%
뱀의 연무(아래 방향키 입력 시): 마법 공격력의 3672%
위상력 10% 소모, 쿨타임 18초
레벨 20
돌진: 마법 공격력의 1607%
쇄도: 마법 공격력의 1606%
위상 충격파: 마법 공격력의 4818%
정수리 추적: 마법 공격력의 2006%
위상 거절: 마법 공격력의 2008%
뱀의 연무(아래 방향키 입력 시): 마법 공격력의 12043%
위상력 10% 소모, 쿨타임 18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추가 입력으로 연계기 발동
어드밴스 개방시, 2회의 추가 공격이 해방된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백어택 시 치명타 피해량 10%
마스터
기능 강화
춤사위 -스킬 시전 시, 뱀의 연무 : 춤사위[14] 버프 효과를 얻는다.
오래 전부터 레비아의 딜링을 책임져온 간판 스킬. 다른 스킬들이 상향을 받아 치고 올라오면서 원탑 딜링 스킬은 더 이상 아니게 되었지만, 연무의 존재감은 여전히 굳건하며 연무 없이 레비아의 딜사이클은 성립하지 않는다.
기본 계수는 1.2만으로 저조하지만 용의 의지 패시브 효과를 받으므로 실질 계수는 1.6만 가량이 된다. 물론 최근 환경에서는 그 정도로도 주력기로는 한참 부족하지만 뱀의 연무의 진면목은 '''위력이 아닌 타수'''에 있다. EX독니꽂기와의 연계로써 독니의 첫타가 나가는 순간 연무의 쿨이 감소하기 때문에 확정 에체백 1.6만%짜리 스킬을 4.5~5초마다 꽂아넣을 수 있는 것. 따라서 연무의 DPS는 타 캐릭터의 2~3만%대 주력기에 전혀 뒤처지지 않는다.
기본 사용 시에는 스킬 키를 누르자마자 전방으로 돌진하고 이 첫타가 타겟에 명중하면 곧바로 대상의 후방 상공에 순간이동하여 사선으로 내려찍는다. 어드밴스 추가타는 내려찍은 뒤 키보드 방향으로 한번 더 휘두르고 폭발을 일으킨다. Z자를 그리는 특유의 빠르고 큰 모션이 특징. 시전 중에 뎀감 80%를 받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 단타기로 많이 쓸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의미있지는 않다.
아래 방향키를 누르며 사용시 공중에서 마력탄을 쏘는 방식으로 바뀌며, 총 계수를 일격에 모아 단타로 쓰므로 DPS면에서 훨씬 효율적으로 변한다.[15] 그리고 툴팁에는 나오지 않지만 이 '''단타화 시전 시의 연무는 무적기다.''' 심지어 시전부터 착지까지 전체 무적이라 시간도 넉넉하고 무엇보다 실질적인 쿨이 5초 이하이므로 레비아의 부실한 생존력을 크게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연무 무적이 생긴 이후로 레비아는 위급할 때 무적기가 없어서 허둥거리는 일은 없어졌다고 봐도 좋다. 다만 어째서 이 중요한 내용이 툴팁에 없는지는 불명. 덧붙여 지상에서 써도 공중에 일단 떠올라서 시전하는데 연무는 확정 에어리얼을 받으므로 공콤 시동기로도 쓸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특수대원 패시브인 용의 의지는 기본 사용의 첫 후려치기로는 발동되지 않는다. 1타가 명중한 뒤 2타 내려찍기가 적에게 히트해야만 용의 의지 버프가 켜지고 33% 추가대미지가 발동한다. 단타화로 쓰지 않으면 허공에 헛치는 것으로는 다른 스킬과 달리 용의 의지가 발동하지 않으므로 유의.


6.2. 고통의 섬광


'''고통의 섬광'''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양손에 위상력을 모아 적을 꿰뚫는 광선을 발사한다. 스킬 키 입력 유지 시 지속시간이 길어진다. 이 스킬은 위상력을 소모한다.
이 스킬은 항상 에어리얼, 백어택 판정을 받으며, 스킬 사용 시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는다. (피해 감소 효과는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발동하지 않는다.)
효과
레벨 1
섬광: 마법 공격력의 2847%
고통의 일섬(EX 차원특이점 사용 후): 마법 공격력의 6226%
위상력 20% 소모, 쿨타임 20초
레벨 20
섬광: 마법 공격력의 14033%
고통의 일섬(EX 차원특이점 사용 후): 마법 공격력의 20420%
위상력 13% 소모, 쿨타임 20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섬광의 위력이 높아진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고통 확정 - 백어택 시 치명타 발생률 50%
마스터
능력치 강화
고통 증대 - 백어택 시 피해량 증가 15%
뱀의 인장, 뱀의 연무와 마찬가지로 위상력을 소모하는 3종 스킬 중 하나다. 채널링스킬이며 약 1.5초간 멈춘 채 빔을 쏜다. 최신 패치로 뎀감이 추가되긴 했지만 이 채널링이라는 점이 최대 결점으로 꼽힌다. 그래도 다른 두 스킬과는 다르게 레벨이 올라갈수록 위상력 소모량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16] 지상 사용 시 전방으로 직선 발사하며 공중에서는 독니 꽂기와 마찬가지로 대각선 아래를 향해 발사된다. 방향 전환은 마찬가지로 불가능.
과거 단타화 기믹이 없었을 때에는 채널링이라는 한계점으로 인해 외면받았으나, 이후 지속적인 패치를 받아가며 꾸준히 상향된 결과 레비아의 최고 주력기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EX 차원특이점 익스퍼트 큐브 효과에 의해 단타화 기믹이 개방되며, 이때 약 45%의 데미지 증폭까지 더해져 최종계수 2만%에 육박하는 확정 에체백[17] 단타 스킬이 된다. 단타 스택은 EX 차특이나 위상력 개방 시전시 획득할 수 있는데, 고섬 쿨타임이 못 따라갈 수준으로 쌓이므로 사실상 항상 단타화로 시전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게다가 연무와 마찬가지로 EX독니꽂기와 연동된 쿨감 기믹까지 있으므로 실질 쿨타임까지 훨씬 짧아진다. 심지어 여기에 대정화작전 리시버[18] 고유옵션까지 얹을 경우 쿨감 최대치 기준 12초의 쿨타임이 5+2초 추가로 줄어 연무와 동일한 '''5초'''까지 줄어든다. 계수 2만퍼의 확정 에체백 단타 스킬을 5초마다 난사하는 셈.[19]
또한 쿨감리시버의 가치는 단순히 고섬 자체의 DPS만을 늘려주는 데에만 있지 않다. 바로 실질 쿨타임을 연무와 동일하게 맞춤으로써 사역마 소환과의 연계시 사이클을 깔끔하게 맞춰주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 고섬과 연무의 쿨타임이 어긋날 경우 사역마 소환 사용시의 쿨감 효과를 반드시 손해보게 된다.[20] 즉, 이론적인 쿨타임은 7초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보다 길어 DPS가 낮아지게 된다. 하지만 고섬의 쿨이 5초가 되면 모든 사이클이 5초 단위로 맞춰져 스킬의 스펙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레비아의 완성형은 고섬 리시버로 사이클을 최적화하여 돌리는 세팅으로 굳어졌고, 5초마다 쏟아붓는 폭딜에다 체력 80% 이상인 대상에게 30%의 데미지 증폭 효과[21]가 덤처럼 붙어 있는 이 스킬은 심지어 성장 계수마저 EX스킬 수준으로 매우 높았다. 때문에 모듈이나 심지어 코어에까지 고섬 레벨 증가 옵션을 튜닝으로 챙겨 고섬 올인을 하는 방법이 캐릭터의 성능을 가장 높게 뽑을 수 있었다.
그러나 너무 과도한 성능 탓인지 결국 칼질을 당했고, 본래 2.5만퍼에 달하던 계수가 2만퍼로 대폭 주저앉았으며 레벨당 성장 계수도 약 900%에서 747%로 감소했다. 이로 인해 레비아의 원탑 주력기의 입지는 무너져 쿨감 리시버 없이는 DPS가 연무보다도 못한 신세로 전락했다. 심지어 실질 쿨타임 7초 기준으로는 성장계수마저 연무보다 아래로 내려갔다. 쿨감 리시버가 아니라면 더 이상 고섬 레벨을 튜닝으로 올려줄 이유가 없게 된 것.
하지만 완전히 못 쓸 상태가 된 것은 결코 아니며 레비아의 주력기로서는 여전히 건재하다. 연무 및 익뿔과 함께 TOP3 스킬[22]인 점은 변함이 없다. 그저 순위가 셋 중에 꼴찌로 내려갔을 뿐이며, 쿨감 리시버가 있다면 다시 1위를 탈환하게 된다. 다만 바꿔말해 쿨감 리시버가 없다면 이전에 비해 그 위용이나 투자가치가 상당히 내려간 상태임은 분명하다.

6.3. 살무사늪


'''살무사늪'''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살무사늪을 구현한다. 살무사늪은 8초간 지속되며 이 범위 안에 있는 적은 받는 마법 피해량이 5%만큼 증가한다.

* 지상에서 사용 시, 공중으로 점프하여 시전한다.
이 스킬은 항상 에어리얼을 받는다.
효과
레벨 1
집어삼키키: 마법 공격력의 2300%
집어삼키기(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4480%
MP 215 소모, 쿨타임 19.2초
레벨 20
집어삼키기: 마법 공격력의 9058%
집어삼키기(특수대원 전직 시): 마법 공격력의 16192%
MP 401 소모, 쿨타임 19.2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기본 효과에 더불어 살무사늪의 범위 안에 있는 적은 받는 물리 피해량이 5%만큼 증가한다. 또한 [살무사의 독니][23] 버프를 획득한다.
익스퍼트
기능 강화
뱀이 가득한 늪 - 스킬 사용 시 뱀의 인장의 쿨타임이 1초, 뱀의 연무의 쿨타임이 2초 감소한다.

※유니온 아레나 미적용
마스터
기능 강화
요르문간드의 갈증 - 살무사늪의 지속시간이 12초로 증가하고 공격 범위가 늘어난다. 살무사늪의 범위 안에 있는 적은 받는 물리 피해량이 5%만큼, 모든 타입의 받는 피해량이 5%만큼 증가한다.
미스틸테인의 팔로우 미!와 비슷하지만 효과는 정 반대의 스킬이다. 팔로우 미!가 넓은 범위의 '아군'에게 치명타 확률&피해량을 올려주고, '자신'의 방어력이 올라가는 버프의 형태인 반면, 살무사늪은 장판 대미지와 함께 범위의 '적'이 받는 마법 대미지가 증가하고,어드밴스 개방시 '자신'의 마법 피해량이 7%증가하는 버프를 받으며, 마스터 개방시 주변의 '적'이 받는 물리 대미지와 모든 타입에 대한 피해량이 5%상승하는(즉, 받는 피해량이 10% 증가하는) '''디버프''' 형태이다. 또한 디버프와 함께 일정량의 대미지를 입힌다.
지상에서 시전해도 자동으로 공중으로 뛰어올라 시전하므로 에어리얼 시동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마스터큐브 설명은 모호하게 공격범위가 늘어난다고만 써있는데 실제로는 직경이 약 1.66배 정도로 늘어난다. 큐브가 열리기 전에는 범위가 거의 근접기 수준인지라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꼭 10렙까지는 찍고 사용하자.
그리고 마스터큐브에는 지속시간 증가도 붙어있으므로 만쿨감 40%를 찍으면 딱 무한지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이하게도 지속시간은 증가하되 총 계수는 그대로라서 타당 데미지는 오히려 감소한다.
계수는 상향을 한 번 거치기도 했고 확정 체이스도 생겨서 제법 강해졌지만, 표기된 계수는 12초에 걸쳐 가하는 총 데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라[24] DPS는 여전히 형편없다. 확정 백어택이 안 붙은 것도 흠. 버프/디버프가 주된 용도이므로 스킬 포인트가 빡빡하다면 10렙까지만 찍는 것이 보통 권장된다.

6.4. 결전기 심판하는 별


'''결전기 심판하는 별'''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막강한 위상력으로 타오르는 행성, 심판의 별을 구현한다. 심판의 별은 가로막는 모든 적을 소멸시킨다. 스킬 시전 중에는 80%의 피해감소 효과를 받으며, 방향키 입력으로 공격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3'''
행성 충돌: 마법 공격력의 552%
초고온: 마법 공격력의 5508%
MP 905 소모, 쿨타임 81.6초
레벨 15
'''슈퍼아머 크래시 Lv.4'''
행성 충돌: 마법 공격력의 1716%
초고온: 마법 공격력의 17074%
심판: 마법 공격력의 9476%
MP 1277 소모, 쿨타임 81.6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심판하는 별이 폭발하며 피해를 입힌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및 기능 강화
결전기 심판하는 별의 공격이 반드시 백어택, 체이스 판정을 받게된다.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20%
마스터
기능 강화
브리트라의 재림 - 마법 관통률이 50% 증가하고 마법 치명타 피해량이 20% 증가한다.
슈퍼아머 크래시 레벨이 1 상승한다.
태양을 닮은 대형 구체를 생성하여 그대로 던진다. 이때 구체만 생성하고 캔슬해도 알아서 날아간다. 문제는 긴 딜타임과 은근히 좁은 범위. 일단 구체가 땅에 닿아야 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초고온+심판이 발동되므로 되도록 저공에서 쓰는게 좋다.
시전 후 발사되기까지 시간이 길며, 사용시 타격점이 시전지점과 상당히 멀리 설정되어 있고, 홀딩 효과가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쓰지 않으면 빗나가는 경우가 꽤 발생한다. 이것이 상기한 좁은 범위/도트딜 문제와 시너지를 일으키는 탓에 패턴이 더러운 보스 상대로는 타이밍을 칼같이 재야만 제 성능이 나온다.
과거 레비아가 최상위권으로 군림하던 시절에는 계수의 폭력이란 게 무엇인지 보여주는 밸런스 파괴급 최강 결전기였으나, 파워 인플레가 거듭된 이후로는 정식 결전기들 중 딜량이 하위권에 속한다. 게다가 상기한 단점 탓에 명중률이 시원찮아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레이드 보스몹들 앞에서 기도하며 써야 하는 스킬이 되었다.
특히 운용 상 불편한 부분은 쓰기 전에 반드시 각을 맞춰야 한다는 점. 심별을 포함한 레비아의 주력기들은 대부분 전방 대각 하단을 향하는 특징이 있는데 그중 심별만 유일하게 발사지점이 머리 위다. 때문에 다른 스킬콤보 도중에 그냥 막 쓰면 심별 혼자만 저 멀리 날아가버려서 거의 100% 안 맞는다고 보면 된다. 안 그래도 타겟 가까이 붙어있을 때가 많은 데다가 고도조절기마저 부실한 레비아이기에 더더욱 맞추기가 힘드므로 거리를 벌리든 착지를 하든 선행 무빙이 필수적이다.[25]
하지만 무슨 수를 쓰든 심별의 느려터진 스피드와 다단히트라는 근본적인 한계는 해결하지 못한다. 점점 패턴이 난잡해져만 가는 최근 환경에서는 타겟의 움직임을 숙지하고 예측샷을 날리지 않는 이상 제몫을 하기 어려운 스킬. 심지어 그렇게 애써서 맞춰봤자 정식결전기 치곤 딜량도 하위권이고 추가적인 기믹이 달린 것도 아니라서 제몫을 해준다고 보기도 사실 어렵다.
유일한 장점은 설치기라는 점 정도. 그것도 선딜이 거의 없는 즉발설치기라는 점은 좋게 평가받는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지상에서 사용하면 선딜이 엄청 길어진다. 레비아가 낑낑대면서 잠시 힘을 줘야 구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구체가 보이기 전에 캔슬하면 쿨만 돌아가고 스킬을 버리게 되니 주의할 것.

7. 특수대원


기존 스킬 일부를 EX 스킬로 진화시킬 수 있고, 승급 패시브와 결전기가 1개 추가된다. EX 스킬은 기존 스킬이 최소 10레벨일 때 진화가 가능하며, 10레벨을 넘는 경우엔 SP가 자동으로 반환되지 않아 그 이상의 SP는 버리게 되니 EX 스킬로 올릴 때 10레벨로 스킬 레벨을 조정해야 한다.
스킬 큐브 장착 레벨이 기존 스킬과는 다르게 일반 스킬은 어드밴스 2렙, 익스퍼트 5렙, 마스터 10렙, 결전기는 어드밴스 2렙, 익스퍼트 3렙, 마스터 6렙이다. 툭수 스킬은 1레벨부터 옵션 큐브 슬롯이 열려있다. 일반 특수 스킬은 스킬 레벨업에 스킬 포인트가 3 필요하고, 결전기는 6 필요하다.

7.1. 용의 의지


'''용의 의지'''
[image]
패시브
설명
위상력을 소모할 때마다[26] 레비아의 잠재력이 해방되어 용의 의지 버프를 받아 일정 시간동안 마법 피해량이 10% 증가한다.

용의 의지 버프가 유지되는 동안 강제 캔슬, EX 대응 스킬, 고통의 섬광, 뱀의 인장, 결전기를 제외한 스킬을 사용하면 레비아의 선한 의지가 구현화되어 해당 스킬 총 피해량의 1/3만큼의 피해를 추가로 입힌다.

위상력 개방사역마 소환 스킬에서 등장하는 의지는 스킬의 총 피해량보다 강력한 피해(백어택 / 체이스가 확정 적용)를 입힌다.
(유니온 아레나에서 발동하지 않는다.)

**특수대원 전직 시 기존 스킬이 강화된다.
* [지옥덫] 스킬이 항상 [백어택 /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으며, [고정 피해]로 적중한다.

* [뱀의 인장] 스킬이 항상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으며, 피해량이 대폭 증가한다.

* [뱀의 연무] 스킬이 항상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는다.

* [살무사늪] 스킬이 항상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으며, 피해량이 대폭 증가한다.

* [제물 지정] 스킬이 항상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으며, 피해량이 대폭 증가한다.

* [고통의 섬광] 스킬이 항상 [체이스] 판정을 적용받는다.
위상력을 소모하는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15초간 지속되는 '용의 의지' 버프를 얻는다. 버프가 유지되는 동안 마법 피해량이 10% 증가하며 일부 스킬에 선한 의지가 구현되어 약 33%의 추가 대미지를 준다. 일반적으로 스킬 모션이 끝나면서 추가타로 나가는 형식이지만 살무사늪의 경우는 스킬 시전 시 레비아를 중심으로 파동이 퍼지면서 대미지를 준다.
이 33% 추가데미지는 깡수치 자체도 어마어마한데다 다른 모든 피해 증가 옵션과 별개로 적용되기까지 하는 무지막지한 수준의 버프지만, 정작 주력기인 EX 대응 스킬, 고통의 섬광, 결전기, 각성 스킬에는 '''일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혜택을 받는 공격기는 뱀의 연무가 유일했기에 사실상 뱀의 연무의 계수를 1.2만에서 1.6만으로 늘려주는 용도+마피증 10% 이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는 패시브였다. 그나마 최근 패치로 위상력 개방과 사역마 소환에 특별 적용되어 강력한 공격기를 추가해주는 준수한 옵션이 생겼다.
다만 각성스킬 시스템이 폐기에 가까운 취급을 받기 시작하며 기존 스킬이 각성과 동급 혹은 그 이상으로 상향되었는데, 이에 따라 패시브 효과를 받는 주력기도 늘어나게 되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스킬 형태나 매커니즘 자체가 바뀌는 과정을 동반하다 보니 패시브 연동이 꼬였는지, 일부 스킬에서 33% 추가데미지의 적용 여부가 불명확하다는 제보도 있다.[27]
본래 위상력을 소모하는 스킬을 사용해야만 발동 조건이 만족되며 이는 위상력 개방, 뱀의 연무, 뱀의 인장, 고통의 섬광으로 4종뿐이나, 툴팁누락인지 버그인지 대정화작전 아이템 효과로 각성시킨 지옥덫과 꼬리 휘젓기로도 발동이 된다. 여기에 EX 독니 꽂기의 마스터 큐브 효과도 포함하면 총 7개 스킬로 용의 의지 발동이 가능하다.

7.2. EX 뿔 후려치기


'''EX 뿔 후려치기'''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레비아의 선한 의지가 실체화되어, 레비아와 함께 돌진한다. 전방 6m 범위에 마법 피해를 입히며, 피격된 대상은 마법 방어력이 20% 감소한다.
스킬 시전 후 7초 안에 추가타를 사용하여 총 4회 사용이 가능하며, 마지막 타격은 다운된 대상도 띄울 수 있다.
이 스킬은 항상 [에어리얼][백어택] 판정을 받는다.

마지막 [후려치기] 공격 시, [체이스] 판정도 적용되며, 피해량이 50% 증가한다.
6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는다.
효과
레벨 1
후려치기(타격 당): 마법 공격력의 1469%
MP 155 소모, 쿨타임 12초
레벨 11
후려치기(타격 당): 마법 공격력의 3379%
MP 236 소모, 쿨타임 12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능력치 강화
공중 제압 - 에어리얼 시 치명타 발생률 50%, 에어리얼 시 치명타 피해량 30%
익스퍼트
기능 강화
원 히트 체인 - 모든 [후려치기] 공격이 [체이스] 판정을 받게되며, 주는 피해량이 15% 상승한다.
마스터
기능 강화
용의 위압 - 마법 방어력 20% 감소 디버프가 받는 마법 피해량 10%증가로 변한다.
지팡이를 빗자루질하듯 크게 휘두르며 돌진하는 스킬. 총 4회까지 시전 가능하며 각 타격 중간에 다른 행동도 가능하다. 대신 제한시간 7초가 지나기 전에 다음 타격을 시전하지 않으면 타수가 얼마나 남았든 관계없이 스킬이 종료되고 쿨타임이 돌아간다.
마지막 일격은 지상 발동시 상대를 올려쳐 띄우고 공중 발동시 수직으로 내려찍으며 강제 기상까지 붙어있다. 이 스킬 덕에 레비아는 아레나에서 우선 한방 찍고 시작할 수 있다. 거기에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저 멀리서 깔짝대는 티나나 그냥 달려오는 상대방을 상대로 사용하면 강제캔슬을 뺄 수 있다.
과거에는 추가타 시전 시간 도중에 일부 스킬을 사용하면 단타화로 적용되는 기믹이 있었다. 이는 레비아의 조작 난이도를 크게 높인 원흉으로 지적되었고 이 때문에 지속적으로 개편을 받았다. 그러나 결국 기존 스킬에 단타화 기능이 흡수되거나 스킬 구조가 개편되면서 타 스킬 강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졌다. 스킬 자체의 성능 또한 꾸준히 상향을 받아 예전에 비하면 운용 편의성이 환골탈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핵심 기믹으로 '사역마 소환' 시전 시 쿨타임 초기화 효과가 있다. 때문에 기본 쿨타임은 큰 의미가 없으며 사역마 소환과 동일한 4.5초가 실질적인 쿨타임이 된다. 사역마의 쿨타임이 곧 EX뿔후의 쿨타임이므로 4.5초 내이기만 하면 4회의 타격을 빠르게 쓰든 느리게 쓰든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내든 아무 상관이 없다. 여유가 많이 빠듯하다는 점만 빼면 상당한 자유도를 지닌 스킬.
게다가 4타의 계수합은 명실상부 주력기급이며[28] 확정 에체백까지 붙기 때문에 4.5초마다 꼬박꼬박 4타를 다 때려넣어야 딜로스가 없어진다. 즉, 대략 1초에 한 번씩은 꾸준히 사용해야 쿨타임을 겨우 따라가기 때문에 추가타 시전시간 7초 역시 큰 의미가 사실 없다. 이 때문에 여전히 레비아 유저의 손을 바쁘게 하는 원흉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쿨감을 실수로 받지 못하면 손해가 제법 크다. 4타를 다 사용하기 전에 사역마 소환을 미리 사용해버리는 경우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실수. 이때 남은 추가타를 아예 사용하지 않고 꺼질 때까지 기다리면 쿨감이 적용된 것으로 처리되어 EX뿔후 쿨이 곧바로 돌아오긴 한다. 바꿔말해 추가타를 써버리면 사역마소환의 쿨감효과를 1회 날린 셈이 된다는 뜻. 사역마소환의 쿨타임을 생각하면 추가타를 안 쓰고 기다리는 것도 이러나 저러나 손해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 운용시 주의할 점은 마지막 타격의 모션이 다르다는 것. 데미지 증폭과 함께 강제 기상이 달린 것은 좋지만 1~3타의 대쉬에 비하면 미묘하게 짧은데다 관통성능이 저조하다. EX뿔후로 타겟을 넘어다니며 소위 와리가리를 자주 치게 되는 레비아는 4타인 줄 모르고 썼다가 반대편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멈추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넘어갈 것을 상정하고 미리 스킬을 뒤쪽으로 눌러놨다면 스킬은 그대로 허공행. 게다가 이동기라는 특성상 일부 던젼 패턴에 따라 제자리에서 말뚝딜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난감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쉬 도중 다른 스킬로 캔슬하는 테크닉도 존재한다. 데미지 판정은 타겟에 몸이 닿을 때 발생하므로, 닿자마자 스킬을 끊음으로써 데미지만 넣고 후속모션인 대쉬는 캔슬하는 원리.

7.3. EX 독니 꽂기


'''EX 독니 꽂기'''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레비아가 잠재된 힘의 일부를 제어해 더욱 거대하고 강력한 이차원의 뱀을 구현하여 전방 13m 범위에 마법 피해를 입힌다.
공격 중 이동이 가능하며, 공격 할 때마다 위상력이 3%씩 회복되고 마지막 공격이 끝나면 용의 의지 패시브가 발동된다. 시전 중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얻는다.
효과
레벨 1
이차원의 맹독니(타격 당): 마법 공격력의 1026%
MP 285 소모, 쿨타임 7초
레벨 11
이차원의 맹독니(타격 당): 마법 공격력의 2154%
이차원의 맹독니(아포피스 스택 소모 시 / 타격 당): 마법 공격력의 3032%
MP 351 소모, 쿨타임 7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능력치 강화
날카로운 송곳니 - 백어택 시 피해량 증가 10% /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10%
익스퍼트
기능 강화
아포피스 - 위상력 개방 사용 시 아포피스 스택을 12개 획득하고, EX 독니 꽂기 스킬의 각 공격마다 스택을 소모하여 강화 공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뱀의 연무 스킬의 쿨타임이 10초, 고통의 섬광의 쿨타임이 5초 감소한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아포피스 스택이 발생하지 않고, 뱀의 연무 스킬과 고통의 섬광 스킬 쿨타임 감소 효과는 1.5초로 적용)
마스터
기능 강화
뱀의 먹이 - 맹독니 공격이 반드시 백어택 판정을 적용 받고, 피격 대상의 HP 가 50% 이하일 때 피해량이 30% 증가한다.
연타로 최대 4번 공격 가능하다. EX 스킬치고는 강화된게 사정거리, 대미지정도 밖에 없다. 대신 기존 독니 꽂기에 비해 쿨타임도 짧고, 마지막 타격시 용의 의지 버프가 발동되기 때문에 용의 의지 버프를 무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쿨감 40% 기준으로 4.2초마다 갱신 가능하다. 여담으로 다른 EX 스킬들은 대부분 쿨타임이 대폭 늘어나는 특징을 보이는데 독니 꽂기는 특이하게 오히려 쿨타임이 줄어드는 케이스다. 사정거리가 13m로 표기되어 있는데 실제로 써 보면 화면 끝까지 닿을 만큼 긴 거리다. 하지만 공중에서 시전하면 무조건 밑으로 내려쏘기 때문에 무의미해지는 장점. 아직도 방향키로 시전방향 조절이 안 된다는 구시대적 결점이 매우 아쉬워지는 스킬.
스킬 큐브의 효과로 위상력 개방 시마다 아포피스 스택을 12개 획득하며, 독니 꽂기 연타시 스택을 1개씩 소모해 독니 꽂기의 위력을 약 1.4배 증가시킬 수 있다. 레비아의 위상력 개방 주기를 생각하면 사실상 항상 강화를 적용받는 셈. 그러나 아무리 딜량이 좋아졌더라도 근본적으로 쿨 4초짜리 스킬이 풀타 기준 1.5초 남짓한 채널링이라는 설계 자체에 문제가 있는 스킬이기 때문에 실전에서는 도저히 표기 상 DPS를 유지할 수가 없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EX 독니 꽂기의 역할은 주력기인 뱀의 연무와 고통의 섬광의 쿨타임 감소이다. 쿨감효과는 스킬을 누르는 순간 발동되는데다 상기하였듯 실전 효율이 떨어져서 풀타를 다 쓰는 경우는 많지 않다. 2~3타까지만 적당히 쓰고 끊는 식으로라도 활용해 볼 여지가 있긴 하지만, 독니를 누른 순간 이미 쿨이 돌아와 있을 연무와 고섬의 딜로스도 감안해야 한다. 원체 손도 바쁘고 스킬들 쿨타임도 짧은 레비아에게 독니 활용을 위한 기회비용은 유독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은 표기 계수를 온전히 활용할 수는 없다는게 현실이고 오죽하면 아예 6레벨까지만 찍는 유저들까지 있을 지경으로 평가가 떨어졌다. 심지어 그냥 버려진 스킬도 아니고 특수대원 출시 이래 가장 빈번하게 패치를 받고 거듭해서 개선 시도가 이루어진 스킬임에도 불구하고 수년째 쿨감 버튼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레비아의 고질적인 아쉬움으로 꼽힌다.

7.4. EX 차원 특이점


'''EX 차원 특이점'''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레비아가 잠재된 힘의 일부를 제어해 직경 4m범위에 지속적인 마법 피해를 입히는 특대 차원특이점을 생성한다.
차원특이점은 5초 동안 유지된 후 폭발하며, 폭발과 동시에 MP를 15%(+스킬 레벨 당 2%) 회복한다.

스킬 사용 시 특이점 폭주[29] 버프를 획득한다.
효과
레벨 1
특이점 지속: 마법 공격력의 6004%
특이점 폭발: 마법 공격력의 3003%
MP 301 소모, 쿨타임 20초
레벨 10
특이점 지속: 마법 공격력의 12484%
특이점 폭발: 마법 공격력의 6245%
MP 372 소모, 쿨타임 20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능력치 강화 및 기능 강화
방어 교란 - 휘말린 적의 마법 치명타 저항력을 20% 감소시킨다.
마법 치명타 피해량 20%
익스퍼트
기능 강화
고통의 일섬 - 스킬 사용 시 고통의 일섬 스택을 얻게 되고, 스택을 소모하며 고통의 섬광 스킬 사용 시 공격력이 강화된 단타 스킬로 변하며 HP 80% 이상인 대상에게 130%의 피해를 입히게 된다. 고통의 일섬 스택은 최대 5개까지 쌓을 수 있다. 위상력 개방 시전 시, 고통의 일섬 스택을 2개 획득한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발동하지 않는다.)
마스터
기능 강화
차원 휘젓기 - 스킬 [꼬리 휘젓기]가 강화된다.
스킬 [꼬리 휘젓기] 시전 시, [잡히지 않는 적]을 공격해도 [잡기 성공] 시퀀스로 넘어가며, 피해량이 증가한다. [추가타]는 발동하지 않는다.

[무적] 효과를 적용받으며 항상 [선한 의지]가 발동한다.

[떨어져!] 공격은 [고정 피해]로 적중하며 [에어리얼] / [백어택 / [체이스] / [슈퍼아머 크래시 레벨3]이 적용된다.

이 공격은 스킬 [꼬리 휘젓기]의 스킬 레벨에 영향을 받는다. (유니온 아레나에서 발동하지 않는다.)
기존 차원 특이점에 비해 피해량, 크기, 흡입 범위, 쿨타임, 마나소모, 마나회복량 등 모든게 강화되었다. 특징적으로 일반 차원특이점에 비해 선딜과 후딜이 거의 없다시피하게 사라진다. 일반 특이점은 구체가 나오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구체가 나온 뒤에도 잠시 공중에 머무르지만 EX 특이점은 위치 지정 기능이 사라졌고 시전 후에도 곧장 떨어진다. 체공에는 다소 불리해졌으나 선딜이 줄어든 것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더 이득이다.
스킬 설명에는 직경 4m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중앙의 메인 구체만의 크기가 그 정도고 옆에 작은 구체와 스파크가 더 붙어있으므로 실질적인 범위는 훨씬 넓다. 결전기 구원의 용과 마찬가지로 직경이 아닌 반경 4m로 계산하면 대략 맞다.
EX 뿔 휘두르기와 같이 익스퍼트 큐브 효과는 특정스킬의 기능 변경인데 채널링/도트딜이라는 고통의 섬광의 최대 결점을 단타화로 지워주는 우수한 효과다.
오브젝트 판정이라 타겟 뒤쪽에 깔아주면 백어택 판정이 뜨지만 지속형 스킬이라서 백어택을 유지시키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애당초 백어택은 고사하고 5초에 걸친 풀딜을 다 맞추는 것부터가 어렵다. 그렇다고 계수가 대단히 높은 것도 아니라서 사실상 유틸용 스킬에 가깝다.

7.5. 결전기 구원의 용


'''결전기 구원의 용'''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려는 레비아의 의지가 실체화되어 주변의 대상들을 끌어모은 후, 강력한 폭발을 일으켜 직경 15m범위에 마법 피해를 입힌다.
스킬 시전 중 무적 효과를 받는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끌어모으는 판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3'''
해방된 용의 힘: 마법 공격력의 11115%
MP ??? 소모, 쿨타임 115초
레벨 7
'''슈퍼아머 크래시 Lv.4'''
해방된 용의 힘: 마법 공격력의 21118%
MP ??? 소모, 쿨타임 115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위상 충전 - 스킬 사용 이후 30초간 초당 위상력을 5% 회복한다.
익스퍼트
기능 강화
위상력 흡수 - 모든 공격이 반드시 백어택, 체이스 판정을 받게된다.

폭발과 동시에 주변 일대의 위상력을 다시 끌어모아 위상력을 50% 회복한다.
마스터
기능 강화
용왕의 영애 - 모든 위상력 소모 스킬의 쿨타임을 즉시 초기화한다.
대상 스킬: [뱀의 인장] / [고통의 섬광] / [뱀의 연무]
또한, [구원의 용] 버프[30]를 획득한다. [구원의 용] 버프는 30초 동안 지속된다.

슈퍼아머 크래시 레벨이 1 상승한다.
위상력 개방 시 대미지 증가 20%
'''즉발 설치형 흡입 무적 광범위 에체백 단타기'''라는 환상적인 구성을 자랑하며 거기에 준수한 자버프와 주력기 쿨초기화까지 종합선물세트처럼 딸려오는 레비아의 완소스킬이다. 특히 범위는 광역기가 부실한 레비아에게 있어 유일하게 전후좌우 전방위를 초광역으로 커버해주기에 잡몹들 한가운데에서 질러주면 쾌감이 쏠쏠하다.[31]
시전시간이 상당히 길고 그 모션이 다 끝나야 데미지가 들어가는 방식이지만 '''즉발 설치기'''라는 특성 상 시전 직후 캔슬해도 정상적으로 발동한다.[32] 데미지가 늦게 들어가는 점도 어떤 면에선 장점인 게, 마찬가지로 지연시간이 있는 정식 결전기 심판하는 별과 동시에 데미지가 들어가도록 타이밍을 재고 그 사이에 다른 주력기들을 더 얹음으로써 레비아의 장점 중 하나인 폭딜 콤보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
게다가 자체 데미지를 제쳐두더라도 유틸성부터가 탄탄한데, 특히 레비아의 주력기 쌍두마차인 연무/고섬을 동시에 재충전해주는 효과가 진국이다. 이 쿨초기화는 구용을 누르자마자 발동하므로 연무-고섬-구용-연무-고섬 콤보를 한 호흡에 우겨넣을 수가 있다. 즉, 실질적으로는 연무+고섬 분량의 3.6만% 계수가 더해진 도합 5.7만%짜리 스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더해 큐브효과로 시전 시 위상력 50% 즉시 회복 +초당 위상력 5% 회복 버프 효과가 추가된다. 위개방을 수시로 터뜨려야 하는 레비아에게는 이 역시도 완소옵션. 위상력 회복 50% 효과는 데미지가 들어간 직후 발동하므로 위상력이 이미 가득 차있을 때 시전했다면 지연시간 내에 위개방 등으로 게이지를 빠르게 소모시켜서 회복량이 낭비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본래는 데미지 감소 80%만 붙어있었으나 상향을 받아 무적기로 변경되었다. 캔슬하지 않고 사용하면 긴 시전시간 전체에 통무적이 덮이므로 위기 상황을 손쉽게 넘길 수 있게 해준다. 쿨타임 초기화 효과는 또 다른 무적기인 뱀의 인장에도 적용되므로 급할 때는 무적기를 10초 이상 이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33]
워낙 팔방미인인 스킬이고 단점으로는 특수 결전기라 쿨타임이 매우 길다는 점 정도가 고작이다. 여담으로 처음 나왔을 때에는 계수가 현재의 반토막에다 확정 조건부도 없었고 무적도 없었고 자버프도 없었고 중간에 캔슬해버리면 위상력 50% 회복도 받을 수 없었으며 흡입이 달렸다는 이유로 범위가 고작 3m로 근접기 수준이었다. 현재의 위용은 정말 꾸준하고도 수많은 상향을 거친 결과라 할 수 있다.

8. 태스크포스



8.1. 굿펠라스 : 레비아


'''굿펠라스 : 레비아'''
[image]
패시브
설명
몽환 세계에서의 사건 대응을 위해 소마와 레비아, 미스틸테인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 : 굿펠라스가 결성되었다. 특수요원으로서의 경험과 권한을 바탕으로, 각자의 특기 분야에 맞춰 구성된 굿펠라스는 긴급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스킬 '굿펠라스 포메이션 : C'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EX 업그레이드를 통해 빠르게 적을 타격하는 '굿펠라스 포메이션 : C-긴급투입'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전장에서 두 가지 형태로 굿펠라스 유닛을 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훈련 결전기를 사용할 때마다 스킬 '굿펠라스 포메이션 : C-긴급투입'의 스킬 레벨에 따라 강화되는 '굿펠라스 임팩트' 공격이 발생한다.

8.2. 굿펠라스 포메이션 : C


'''굿펠라스 포메이션 : C'''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굿펠라스 포메이션 C는 근접과 원거리 공격을 통해 아군의 공격 루트를 확보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각자의 역할에 걸맞게 배치된 이 포지션은 견고한 방어진도 효과적으로 무력화할 것이다.

이 공격은 에어리얼, 체이스, 백어택 판정을 받고 반드시 치명타로 적중한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3'''
굿펠라스 포메이션 C: 마법 공격력의 18000%
MP 546 소모, 쿨타임 100초
레벨 2
'''슈퍼아머 크래시 Lv.3'''
굿펠라스 포메이션 C: 마법 공격력의 25200%
MP 561 소모, 쿨타임 100초
시전시 캐릭터가 공중으로 이동하며 보라색 구체를 소환하고 수직으로 내리꽃는다. 바닥에 구체가 닿고 터질 시 피해가 들어가며 공중에 있을 때는 피해가 들어가지 않는다. 구체의 하강 속도는 빠르지 않고, 내려오는 도중에 다른 스킬로 캔슬하여 장판기처럼 쓸 수 있었다. 그래서 레비아는 EX 긴급 투입으로 바꿀 필요성이 적었다. 하지만 패치로 인해 구체가 공중에 있을 시 캔슬하게 되면 즉시 폭발하며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게 패치되었다. 결국 장판기로써의 메리트가 없어진 탓에 EX스킬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추천한다.

8.3. 굿펠라스 포메이션 : C-긴급투입


'''굿펠라스 포메이션 : C-긴급투입'''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굿펠라스에 소속된 동료들을 긴급히 투입하여 신속한 전장진압을 해낼 수 있다.

이 공격은 에어리얼, 체이스, 백어택 판정을 받고 반드시 치명타로 적중한다.
효과
레벨 1
'''슈퍼아머 크래시 Lv.3'''
어택 서포트 : 소마: 마법 공격력의 12600%
어택 서포트 : 미스틸테인: 마법 공격력의 12600%
MP 546 소모, 쿨타임 100초
레벨 2
'''슈퍼아머 크래시 Lv.3'''
어택 서포트 : 소마: 마법 공격력의 16380%
어택 서포트 : 미스틸테인: 마법 공격력의 16380%
MP 561 소모, 쿨타임 100초

9. 스킬 티켓


행운의 위상토큰 30개나 유니온 스토어에서 4900캐시에 구입한 가능 한 스킬.

9.1. 지옥덫


'''지옥덫'''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목표를 지정해 공격하고 붙잡아 구속하며 폭발시킨다. 스킬 키 입력 유지 시간동안 목표를 정할 수 있다.

방향키를 아래로 입력하며 사용 시 단타 스킬로 사용하게 된다.

지상에서 스킬 사용 시에도 에어리얼 판정을 적용받고, 스킬 시전 중에는 80%의 피해 감소 효과를 받는다.

유니온 아레나에서는 고정 피해가 적용되지 않는다.
효과
레벨 1
독니 소환: 마법 공격력의 450%
지옥덫 구속: 마법 공격력의 1125%
지옥덫 처형: 마법 공격력의 675%
지옥덫(방향키 아래): 마법 공격력의 2250%
독니 소환(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1350%
지옥덫 구속(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2250%
지옥덫 처형(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2250%
지옥덫(특수대원 전직 시)(방향키 아래):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4500%
MP 200 소모, 쿨타임 18초
레벨 15
독니 소환: 마법 공격력의 1620%
지옥덫 구속: 마법 공격력의 3780%
지옥덫 처형: 마법 공격력의 2700%
지옥덫(방향키 아래): 마법 공격력의 8100%
독니 소환(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3240%
지옥덫 구속(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5400%
지옥덫 처형(특수대원 전직 시):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5400%
지옥덫(특수대원 전직 시)(방향키 아래): '''고정 피해''', 마법 공격력의 10800%
MP 398 소모, 쿨타임 18초
스킬 큐브
어드밴스
기능 강화
지옥덫의 피해량이 증가한다.
익스퍼트
능력치 강화
에어리얼 시 피해량 증가 10%
마스터
기능 강화
제물 삼키기 - 스킬 발동 시 위상력을 15% 회복한다.
첫타는 특유의 날카로운 소리와 함께 레드 마커 비슷한 모양으로 땅에서 붉은 에너지를 뽑아올리고, 2타는 그 자리에 폭발을 일으킨다. 보기보다 판정이 엄청나게 널널하고 Z축(높이) 판정이 거의 무한이라 하늘 높이높이 뜬 적에게도 대미지가 다 들어간다. 또한 땅에서 스킬 시전 시 시전 위치 약간 위 공중으로 순간이동 하기 때문에 점프하지 않고도 에어리얼을 확보할 수 있다. 덕분에 무조건 땅에 떨어지는 스킬인 뱀의 연무를 쓴 다음 바로 연계할 수 있지만 에어리얼 보너스를 포기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대신 오브젝트 판정이므로 적의 뒤쪽에 터뜨려주면 백어택을 쉽게 받을 수 있다.
과거에는 5300%정도의 계수에 쿨 25.5초, 스킬큐브로는 3체인 이상에서 시전시 쿨 10초 감소, 10초 안에 재사용시 단타화 기믹을 가진 스킬[34]이었으나 밸런스 패치를 거치며 전면개조되었다. 컨트롤이 훨씬 간소화되고 위상력 회복까지 붙었는데 구버젼의 최소 쿨타임(5.3초)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쿨타임 탓에 DPS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다만 체인이 끊기면 처음부터 다시 쌓아야 하고 약 5초마다 꼬박꼬박 써줘야 했던 불편함과 그로 인한 딜로스를 감안하면 마냥 손해라고 볼 수만은 없다.
게다가 마스터 큐브의 위상력 회복 효과가 상당한 도움이 되는데 이 효과의 추가로 레비아는 던젼 돌입하자마자 구용+사역마+지옥덫으로 위상력 85%를 채우고 시작하며 2초 안에 나머지 15%를 채워 위상력 개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약 8초마다 15% 회복이라는 걸출한 회복량 덕에 이후 위상력 운용도 훨씬 쉬워진다.
한편 아레나에서는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스킬이다. 이유는 '''강제기상과 잡기판정'''이 동시에 달려있기 때문. 첫번째 타격에 강제기상이 있고, 추가타에 잡기 판정이 붙어있는데, 이게 아레나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실제로 아레나에서 잡기 스킬로 활용하기엔 선딜이 길기 때문에 보통은 강제기상용으로 사용한다.

9.1.1. 지옥덫 - 불굴의 의지


'''지옥덫 - 불굴의 의지'''
[image]
액티브
마스터 레벨
15
설명
[스킬 각성] 불굴의 의지

지옥덫이 항상 단타 공격으로 발동되며, 스킬 발동 시 위상력을 15% 회복하고 지상에서 사용해도 에어리얼 판정을 받는다.

지옥덫을 사용하면 강한 의지의 영향을 받아 다음에 사용하는 제물 지정 - 연쇄 폭발의 피해량이 50% 증가한다.
각성된 스킬은 용의 의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각성한 스킬은 옵션큐브의 효과만 적용된다.
효과
레벨 1
지옥덫: 마법 공격력의 7694%
MP 200 소모, 쿨타임 14초
레벨 15
지옥덫: 마법 공격력의 18468%
MP 398 소모, 쿨타임 14초
대정화작전정화된 흉조 세트 착용 시 각성.
전방에 구체를 생성하여 대미지를 준다. #
출시 당시에는 DPS가 일반 지옥덫에도 한참 못 미치는 기적의 다운그레이드를 보여주었지만 이어진 밸런스 조정 패치를 거듭하면서 환골탈태한 스킬. 현재의 지옥덫은 레비아의 일반기술 중 원탑의 계수를 자랑하며 심지어 결전기인 발푸르기스 만렙 계수에 육박하기까지 한다. 쿨타임까지 8초대로 줄일 수 있으므로 레비아의 2티어 주력기 정도의 위치는 너끈히 확보한다.
지옥덫 개편 전에는 일반 지옥덫이 5초대의 짧은 쿨타임을 자랑하던 탓에 각성 전후의 DPS가 그리 차이나지 않았지만, 개편 후에는 각성 쪽이 쿨도 짧고 계수도 높아 상당한 업그레이드 효율을 보여주게 되었다. 오브젝트 판정이라 대상 뒤쪽에 깔아서 백어택을 챙길 수 있는 이점도 유지된다. 다만 위치 선정 컨트롤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확정 백어택이 붙은 주력기들에 밀리는 감이 있다.

[1] 이슬비와 나타의 공중 대시 평타 막타에도 적을 띄우는 기능이 있으나 막타인데다가 이슬비의 경우 사지로 달려드는 꼴이 될 수 있다.[2] 동작이 끝나고 자세를 잡는 데까지 포함된다. 공중 시전시엔 착지할 때까지 무적이다.[3] 실험 결과는 만렙 기준으로 폭발당 무려 53% 정도의 회복량을 보여준다.[4] 초당 위상력 회복 +2%, 총 마법공격력 +5%(+스킬 레벨당 0.4%), 이동속도 +20%[5] 굿펠라스 포메이션 : C 레벨 1 기준[6] 마법 공격력 400(+스택 당 40), 최대 10스택[7] 스킬명은 그대로지만 '제물지정'이라는 명칭이 의미하던 매커니즘이 완전히 사라졌기에 독사떼의 경우처럼 이름 또한 바뀌는 편이 자연스러우나, 새 작명이 귀찮은 것인지 그냥 기존 것을 쓰고 있다.[8] 마법 공격력 400(+스택 당 40), 최대 10스택[9] 정식대원 스킬까지 포함시켜도 살무사 늪 추가가 끝이다. 사기캐로 군림하던 시절조차도 Y축 스킬의 빈약함은 레비아의 아킬레스건이었을 정도.[10] 3초 이상의 채널링 시간을 다 채우고도 만렙 기준 최대 계수가 3천대라는 우주쓰레기급 위력이었다. 심지어 특수대원 패치 이후로 이 독사떼에 강화 효과를 덕지덕지 달아줬는데, 그 덕에 데미지를 무려 3배 가까이 증폭시켜 쓸 수 있게 되었음에도 여전히 버림받았을 지경이니 말 다했다.[11] 다른 스킬 사용이 불가하며 스킬 취소도 할 수 없다.[12] 확정 체이스는 특수대원 패시브 효과[13] 마법/에어리얼/백어택/체이스 시 치명타 피해량 12%(+스택 당 2%), 최대 10스택[14] 지속시간 10초, 마법 치명타 피해량 15%, 공격속도 5%[15] 더군다나 레비아는 쉴 새 없이 스킬쿨을 돌려야 하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느릿느릿 연타를 치고 있는 시간이 전부 딜로스로 이어진다. 기본 모드에 특별히 활용성이 있는 것도 아니므로 실전에서는 항상 단타 스킬로 사용하게 된다.[16] 기본 20% 소모. 2레벨 부터 3레벨 간격으로 1%씩 감소한다.[17] 확정 체이스는 특수대원 패시브 효과[18] 등급 및 종류에 따라 특정 스킬의 쿨타임을 일정량 줄여준다. 고통의 섬광의 경우 "응축된 위치 리시버 입실론(8)"이 쿨타임을 2초 줄여준다.[19] 여담이지만 해당 리시버의 경우 스킬의 기본 쿨타임을 기준으로 쿨감 수치가 책정되어 있다. 고섬은 기본 쿨타임이 20초로 긴 편에 속해 2초라는 최대수치가 주어졌는데, 이것이 레비아의 극단적인 쿨감 기믹과 맞물리면서 효율이 기형적으로 폭증한 것이다. 때문에 신지역 상위티어 리시버가 줄줄이 추가되었음에도 3년 전 퇴물 리시버를 코어템으로 쓰는 캐릭터는 레비아가 유일하다.[20] 사이클을 돌리다보면 사역마 쿨이 돌아온 시점에서 고섬 쿨이 5초 미만으로 애매하게 남게 된다. 이때 그냥 사역마를 쓰고 쿨감을 5초보다 덜 받거나, 아니면 사역마를 안 쓰고 기다려서 사역마 쿨을 손해봐야 하기에 어느 쪽이든 손해가 된다.[21] 평균적으로는 6%의 딜상승 효과이므로 20레벨 기준 계수는 21,545% 가량인 셈. 그리고 실제로는 1.3배 상태의 데미지로 20% 이상의 체력을 깎게 되므로 실전 성능은 더 높아진다.[22] 계수를 온전히 활용할 수 없는 EX독니를 제외한다면 DPS 3,000%/초를 넘기는 스킬은 저 3개 외에 없다. 심지어 그 다음으로 강한 것이 2천대 초반인 사역마 소환이니 3대 주력기의 위상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수준.[23] 지속시간 15초, 마법 피해량 7% 증가[24] 단, 특수대원 패시브에 의한 1/3배 추가데미지는 시전할 때 한꺼번에 적용된다.[25] 예를 들면 뿔후려치기로 후퇴한 후 심별을 던지고 다시 전진한다든가, 착지한 후 점프 혹은 에어리얼 시동기와 연계한다든가, 혹은 보스의 패턴이 끝나는 타이밍에 맞게 미리 던져두는 테크닉 등이 필요하다.[26] 툴팁이 누락되어 있으나 각성 꼬리 휘젓기와 각성 지옥덫으로도 발동한다.[27] 적용 여부 자체가 확인되지 않거나, 적용은 되더라도 데미지 계산 결과가 표기 수치와 맞지 않는 등.[28] 11레벨 기준 3379%씩 4타에 마지막 타격의 1.5배 적용까지 하면 약 15200%로 연무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EX스킬답게 성장 계수도 높아 12레벨만 되면 곧바로 연무와 동등해진다.[29] 지속시간 10초, 마법 피해량 15%[30] 마법 치명타 피해량 15%, 피해량 15%[31] 스킬 설명에는 직경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반경 15m'''로 적용된다.[32] 캔슬시 사라지는 것은 무적효과뿐이며 다른 효과들은 캔슬하더라도 전부 온존된다. 보이지 않는 더미가 스킬을 대신 시전하고 본체는 그냥 채널링 무적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33] 다만 무적무시 패턴이 남발되는 최신 던젼 환경에서 그런 극단적인 버티기를 써먹을 일이 딱히 없긴 하다.[34] 기본 쿨타임이 만쿨 기준으로도 15초라 단독으로는 절대 단타화 효과를 받지 못한다. 때문에 3체인을 상시 유지하며 쿨감을 받는 것이 기본 전제인 스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