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스로이스 고스트
[image]
[image]
'''Rolls-Royce Ghost'''[1]
기함인 팬텀보다 사이즈가 작은, 속칭 베이비 롤스로이스다. 그러나 풀 사이즈 고급 대형 세단인 7시리즈보다 큰 자이언트 베이비며, '다른 회사라면 플래그쉽의 위치에 올라가도 이상하지 않은 덩치'[2] 인 명실상부한 하이엔드 수공 세단이다.
롤스로이스 실버 셰라프의 후속 모델로 2009년 상하이 모터쇼에서 200EX 컨셉트카 버전이 공개되었으며, 실제 프로덕션 모델은 200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롤스로이스가 초고가 세단 시장을 장악하게 만든 1등 공신이다.[3] 기함인 팬텀은 지나치게 비싸다. 차량 자체 가치도 물론 높긴 하지만, 그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큰 차다. 따라서 팬텀의 가격이라도 고민없이 지불할 수 있는 수준인 재벌이 아니면 구매하기가 꺼려질 수밖에 없었다. 벤틀리가 독일 3대 프리미엄 브랜드의 플래그십과 롤스로이스 사이에서 고민하는 타겟들을 위해 플라잉스퍼로 니치마켓을 공략한 것도 그렇다. 이런 상황에서 엔트리 라인으로 세련된 디자인에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을 가진 고스트가 출시됨으로써, 롤스로이스를 원하지만 여러 이유로 구매를 망설이던 부유층들이 모두 고스트를 통해 롤스로이스를 접하게 된 것이다.
[image]
BMW의 F01 7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4] 7시리즈에서 따 온 부분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은 BMW 고유 i-Drive 시스템이다. 엔진은 N74형 570마력 V12 6.6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이 달린다.변속기는 ZF PRNDL트로닉 자동변속기를 사용하고, 0~60mph (0~97km/h) 가속 시간은 4.7초, 최고 속도는 155mph(250km/h)에서 제한된다. 고성능 버전인 V-Spec 트림에는 V12 6.6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593마력으로 세팅된다. 팬텀보다 오너 드리븐 성격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강한 편이지만, 운전기사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팬텀처럼 EWB(Extended WheelBase)형도 나온다. 이 7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 때문에 영국산이 아니라 독일차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표적인 게 탑기어. N74형 V12 6.6리터 가솔린 트읜터보 엔진은 형식을 살짝 달리하여 M760Li Xdrive에도 장착되며, 출력은 593마력에서 610마력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신형 팬텀에 달리는 563마력 V12 6.7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은 고스트용 엔진의 배기량을 늘린 것이다.
[image]
팬텀처럼 섀시는 BMW 공장에서 알루미늄을 용접해서 제작하고, 나머지는 전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BMW i-Drive 시스템을 사용한다. 시스템 내 엠블럼들만 롤스로이스로 바뀌었고 나머지는 완벽히 똑같다. 심지어는 컨트롤 버튼들도 똑같다. 필기인식이 가능한 센서, 그리고 대부분인 버튼들이 똑같다.
팬텀과 다르게 롤스로이스의 엠블럼인 환희의 여신상은 차내에서 조종이 가능하다. 팬텀의 엠블럼은 사고 나면 들어가고, 만지면 들어가지만, 사실 아날로그식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디자이너는 Andreas Thurner와 Helmut Riedl, 팬텀의 디자이너이기도 하다. 디자인 프로세스 도중에 고스트의 코드네임은 RR04, 처음 디자인할 때부터 팬텀보다 싼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했다고 한다.
그리고 2019년 50대의 한정판을 마지막으로 단종됐다.
[image]
오너드리븐 성격이 강한 이 차를, 쇼퍼드리븐 성향인 차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늘린 차랑이다. 뒷자리 쪽만 더 길어졌다. 가격은 4억 8,000만 원. 하지만 옵션을 많이 고르면 팬텀보다 비싸게 만들 수도 있다.
[image]
2020년 9월 1일 대한민국 시각 오후 9시경에 2세대 외관이 공개되었다. 디자인은 가시적인 변화를 꾀하지는 않았으며, 롤스로이스 특유 절제미를 통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라디에이터 그릴 상단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아래쪽 그릴을 은은하게 비추는 것이 특징. 큰 변화는 없지만, 8세대 팬텀부터 도입된 롤스로이스 자체 플랫폼인 '럭셔리 아키텍쳐'가 적용되어 이전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팬텀의 V12 6.7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적용하여 최고출력 571마력에 최대토크 86.7kg.m을 발휘한다. 이외에도 롤스로이스 세단 최초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자동 개폐형 도어,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100kg 가량인 흡음재 등 다양한 편의사양을 적용했다.
국내에는 2020년 12월에 출시했으며 국내 출시가는 4억 7,100만원(숏바디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롱바디 모델은 5억원 초반대부터 시작하는데 롤스로이스 특성 상 옵션을 이것저것 추가하다보면 실구매 가격은 6~7억대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image]
'''Rolls-Royce Ghost'''[1]
1. 개요
영국의 최고급 차량 제조사 롤스로이스에서 생산하는 대형 세단.'''그 어느 부분도 타협하지 않은 Ghost만의 혁신적인 기술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엔지니어링으로 직관적이면서도 여유로운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합니다. 단순함 속에서 시간을 초월하는 우아함과 순수함을 추구하는 Ghost는 급변하는 세상에서 귀하만을 위한 여유로운 길을 열어드립니다.'''
'''- 롤스로이스 모터카 서울 홈페이지의 소개글.'''
기함인 팬텀보다 사이즈가 작은, 속칭 베이비 롤스로이스다. 그러나 풀 사이즈 고급 대형 세단인 7시리즈보다 큰 자이언트 베이비며, '다른 회사라면 플래그쉽의 위치에 올라가도 이상하지 않은 덩치'[2] 인 명실상부한 하이엔드 수공 세단이다.
롤스로이스 실버 셰라프의 후속 모델로 2009년 상하이 모터쇼에서 200EX 컨셉트카 버전이 공개되었으며, 실제 프로덕션 모델은 200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롤스로이스가 초고가 세단 시장을 장악하게 만든 1등 공신이다.[3] 기함인 팬텀은 지나치게 비싸다. 차량 자체 가치도 물론 높긴 하지만, 그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큰 차다. 따라서 팬텀의 가격이라도 고민없이 지불할 수 있는 수준인 재벌이 아니면 구매하기가 꺼려질 수밖에 없었다. 벤틀리가 독일 3대 프리미엄 브랜드의 플래그십과 롤스로이스 사이에서 고민하는 타겟들을 위해 플라잉스퍼로 니치마켓을 공략한 것도 그렇다. 이런 상황에서 엔트리 라인으로 세련된 디자인에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을 가진 고스트가 출시됨으로써, 롤스로이스를 원하지만 여러 이유로 구매를 망설이던 부유층들이 모두 고스트를 통해 롤스로이스를 접하게 된 것이다.
2. 상세
2.1. 1세대 (2009~2019)
[image]
BMW의 F01 7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4] 7시리즈에서 따 온 부분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은 BMW 고유 i-Drive 시스템이다. 엔진은 N74형 570마력 V12 6.6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이 달린다.변속기는 ZF PRNDL트로닉 자동변속기를 사용하고, 0~60mph (0~97km/h) 가속 시간은 4.7초, 최고 속도는 155mph(250km/h)에서 제한된다. 고성능 버전인 V-Spec 트림에는 V12 6.6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593마력으로 세팅된다. 팬텀보다 오너 드리븐 성격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강한 편이지만, 운전기사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팬텀처럼 EWB(Extended WheelBase)형도 나온다. 이 7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 때문에 영국산이 아니라 독일차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표적인 게 탑기어. N74형 V12 6.6리터 가솔린 트읜터보 엔진은 형식을 살짝 달리하여 M760Li Xdrive에도 장착되며, 출력은 593마력에서 610마력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신형 팬텀에 달리는 563마력 V12 6.7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은 고스트용 엔진의 배기량을 늘린 것이다.
[image]
팬텀처럼 섀시는 BMW 공장에서 알루미늄을 용접해서 제작하고, 나머지는 전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BMW i-Drive 시스템을 사용한다. 시스템 내 엠블럼들만 롤스로이스로 바뀌었고 나머지는 완벽히 똑같다. 심지어는 컨트롤 버튼들도 똑같다. 필기인식이 가능한 센서, 그리고 대부분인 버튼들이 똑같다.
팬텀과 다르게 롤스로이스의 엠블럼인 환희의 여신상은 차내에서 조종이 가능하다. 팬텀의 엠블럼은 사고 나면 들어가고, 만지면 들어가지만, 사실 아날로그식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디자이너는 Andreas Thurner와 Helmut Riedl, 팬텀의 디자이너이기도 하다. 디자인 프로세스 도중에 고스트의 코드네임은 RR04, 처음 디자인할 때부터 팬텀보다 싼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했다고 한다.
그리고 2019년 50대의 한정판을 마지막으로 단종됐다.
2.1.1. 고스트 EWB(Extended Wheel Base)
[image]
오너드리븐 성격이 강한 이 차를, 쇼퍼드리븐 성향인 차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늘린 차랑이다. 뒷자리 쪽만 더 길어졌다. 가격은 4억 8,000만 원. 하지만 옵션을 많이 고르면 팬텀보다 비싸게 만들 수도 있다.
2.2. 2세대 (2020~)
[image]
2020년 9월 1일 대한민국 시각 오후 9시경에 2세대 외관이 공개되었다. 디자인은 가시적인 변화를 꾀하지는 않았으며, 롤스로이스 특유 절제미를 통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라디에이터 그릴 상단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아래쪽 그릴을 은은하게 비추는 것이 특징. 큰 변화는 없지만, 8세대 팬텀부터 도입된 롤스로이스 자체 플랫폼인 '럭셔리 아키텍쳐'가 적용되어 이전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팬텀의 V12 6.7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을 적용하여 최고출력 571마력에 최대토크 86.7kg.m을 발휘한다. 이외에도 롤스로이스 세단 최초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자동 개폐형 도어,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100kg 가량인 흡음재 등 다양한 편의사양을 적용했다.
국내에는 2020년 12월에 출시했으며 국내 출시가는 4억 7,100만원(숏바디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롱바디 모델은 5억원 초반대부터 시작하는데 롤스로이스 특성 상 옵션을 이것저것 추가하다보면 실구매 가격은 6~7억대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3. 경쟁 차량
4. 둘러보기
[1] 차명은 과거에 생산했던 '실버 고스트'에서 유래했다.[2] EWB가 아닌 일반모델의 전장이 5457mm, 전폭 1948mm, 전고 1550mm으로 독일 3사 플래그쉽 모델들보다 크다.[3] 벤틀리 뮬산이 후속모델 없이 단종되어 더더욱 입지가 높아질 예정.[4] 참고로 팬텀은 자체 제작한 섀시를 사용한다. 그리고 2017년 등장한 8세대 팬텀에 새롭게 적용된 '럭셔리 아키텍쳐' 플랫폼을 향후 롤스로이스 전 차종에 적용할 계획(2018년 출시된 컬리넌 역시 이 플랫폼 기반)이라고 하니 차세대 고스트부터는 플랫폼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5] W12 한정 [6] S650 한정. 역시 가격은 고스트가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