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R-35/40
Renault R-35/40
[image]
[image]
현역시절의 R-35와 전시되어 있는 R-35
1933년 8월의 프랑스군의 신형 경전차 장비계획에 따라 개발되기 시작, 시제 차량은 1934년에 등장하였으며 호치키스 H35 경전차와의 경쟁에서 승리, 1935년부터 보병지원전차로서 야전에 배치되었다. 사실상 르노 FT-17의 직계 자손. 15년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성능은 진일보했지만, 두 명 밖에 안되는 탑승 인원, 수동 포탑, 단포신 보병포 등 개념에 있어서는 사실상 변함이 없었다. 여전히 협소한 포탑에서 사격과 장전, 조준을 동시에 해야 하는 전차장의 업무는 과도했으며 큐폴라조차도 전차장이 헬멧을 끼우고(...) 목 힘으로 돌려야 하는 등의 문제가 많았다.
초기형은 SA18 21구경장 37mm 포와 M1931 7.5mm 기관총을 장비했다. 보병전차이기 때문에 이 이상은 불필요하다 여겼지만 37mm 포는 단포신이라 관통력도 20mm에 불과했고 고폭탄의 화력도 40mm 유탄발사기 수준이었다. 이후 스페인 내전에서 독일군의 신예 대전차포인 Pak35/36 37mm 포가 위력을 떨치자 동급의 SA38 33구경장 37mm 포로 주포를 강화하였다. 라이벌 관계인 기병전차 H35도 같은 주포를 장비했다.
차체는 3분할된 주조제의 차체 상부를 압연강판제 차대에다 볼트로 고정시킨 형태로, 이러한 전차 생산방식은 당시의 대다수 프랑스 전차들이 쓰는 방법이었다. 강판을 분할하여 주조 방식으로 만듦으로써 생산이 보다 용이해져 생산효율이 증가하며, 방어력도 기존의 리벳 접합 방식보다 강화된다는 이점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실전에서는 피탄 충격에 의해 볼트가 '''휘거나 끊어져''' 차체가 그대로 분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그만한 충격량을 가진 대구경탄에 맞았을 경우의 이야기지만 그 대구경탄의 기준이 최소 37mm 이상이니 독일군이 가진 대전차포라면 시간만 들인다면 관통상을 입히지 못하더라도 연속탄을 날려서 충분히 장갑을 떨굴 수 있긴 했다.
폴란드군은 폴란드 침공 발발 시점에서 50대[1] 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부대 편성 미완과 소련군의 개입 등의 악재로 인해 극소수 전차만이 전투에 투입되었고 34대 분량은 루마니아로, 3대 분량은 헝가리로 탈출하였다. 루마니아로 탈출한 전차들은 루마니아군에 도입되어 독소전때 노획한 소련군 45mm 대전차포로 주포를 강화했다.
프랑스에 대한 전격전 당시 프랑스군은 1,500여대의 R35를 보유, 사실상의 주력전차였으나 그때까지도 업그레이드가 지지부진한 상태라 대전차 능력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고 보병전차 특유의 시원찮은 속도(20km/h)도 더해져 큰 위협이 되지 못했다.
독일군도 이 경전차를 접수하여 큐폴라를 독일식으로 개량하고 무전기를 장비, 주로 레지스탕스 소탕전용으로 사용했고 일부는 동맹국 이탈리아와 불가리아에도 넘겨주었다. 그러나 치안 용도로 쓰기에도 성능의 한계가 드러나자 대부분 포탑을 제거하여 훈련용, 견인차, 탄약운반차로 썼다. 그중 약 200여대는 체코제 대전차포를 싣고서 대전차 자주포로 재활용되었다.#
수출도 많이 된 전차라서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에 수십대를 구매하기도 했으며, 프랑스의 식민지에도 상당량의 전차가 치안유지용으로 뿌려졌다. 이 때문에 대전 후 살아남은 R35가 상당히 많았으며 1차 중동전쟁에서 시리아군이 10대 정도를 사용하기도 했다.
[image]
R35의 불편함은 이미 프랑스에서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불만이 신뢰성 부족, 저속임에도 불구하고 현가장치와 무한궤도가 쉽게 손상되고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R35의 신뢰성 강화판으로 새로운 차체가 1939년에 개발돼서 그냥 R35의 이름을 고수한 채로 계속 생산될 예정이었다.
문제는 폴란드 침공으로 인해 숫적으로는 전차부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존 R35의 부족한 대전차능력을 빨리 향상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 것이다. 그래서 대전차능력이 향상된 SA38 37mm 전차포를 탑재한 APX-R1 전차포탑을 장착하는 안이 도출되었고, 앞서 언급한 신형 차체에 이 포탑을 장착한 것이 R40으로 간이 제식화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침공이 발발하기 전까지 만들어진 R40은 잘해봐야 150대에 불과한데, 이는 포탑의 생산량 부족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그래서 130~145대의 신형 차체가 만들어졌지만 앞서 말한 포탑 부족사태 때문에 상당수가 포탑없이 방치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또한 신형차체도 예상보다 생산량이 적어서 절대다수의 R35는 개수받지 못한 상태로 전쟁에 참여했기 때문에 R40을 R35s라는 이름의 변종중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렇게 해서 워낙 수량이 적은 R40은 만들어진 거의 모든 수량이 전투에 참가하여 소모되었으며, 현재까지 살아남은 R40은 없다.
[image]
월드 오브 탱크에서 프랑스 2티어 경전차로 등장한다.
도미네이션즈에서 글로벌 시대의 첫 번째 프랑스 고유 유닛으로 등장한다.
1. 르노 R-35
[image]
[image]
현역시절의 R-35와 전시되어 있는 R-35
1.1. 제원
1.2. 개요
1933년 8월의 프랑스군의 신형 경전차 장비계획에 따라 개발되기 시작, 시제 차량은 1934년에 등장하였으며 호치키스 H35 경전차와의 경쟁에서 승리, 1935년부터 보병지원전차로서 야전에 배치되었다. 사실상 르노 FT-17의 직계 자손. 15년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성능은 진일보했지만, 두 명 밖에 안되는 탑승 인원, 수동 포탑, 단포신 보병포 등 개념에 있어서는 사실상 변함이 없었다. 여전히 협소한 포탑에서 사격과 장전, 조준을 동시에 해야 하는 전차장의 업무는 과도했으며 큐폴라조차도 전차장이 헬멧을 끼우고(...) 목 힘으로 돌려야 하는 등의 문제가 많았다.
초기형은 SA18 21구경장 37mm 포와 M1931 7.5mm 기관총을 장비했다. 보병전차이기 때문에 이 이상은 불필요하다 여겼지만 37mm 포는 단포신이라 관통력도 20mm에 불과했고 고폭탄의 화력도 40mm 유탄발사기 수준이었다. 이후 스페인 내전에서 독일군의 신예 대전차포인 Pak35/36 37mm 포가 위력을 떨치자 동급의 SA38 33구경장 37mm 포로 주포를 강화하였다. 라이벌 관계인 기병전차 H35도 같은 주포를 장비했다.
차체는 3분할된 주조제의 차체 상부를 압연강판제 차대에다 볼트로 고정시킨 형태로, 이러한 전차 생산방식은 당시의 대다수 프랑스 전차들이 쓰는 방법이었다. 강판을 분할하여 주조 방식으로 만듦으로써 생산이 보다 용이해져 생산효율이 증가하며, 방어력도 기존의 리벳 접합 방식보다 강화된다는 이점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실전에서는 피탄 충격에 의해 볼트가 '''휘거나 끊어져''' 차체가 그대로 분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그만한 충격량을 가진 대구경탄에 맞았을 경우의 이야기지만 그 대구경탄의 기준이 최소 37mm 이상이니 독일군이 가진 대전차포라면 시간만 들인다면 관통상을 입히지 못하더라도 연속탄을 날려서 충분히 장갑을 떨굴 수 있긴 했다.
폴란드군은 폴란드 침공 발발 시점에서 50대[1] 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부대 편성 미완과 소련군의 개입 등의 악재로 인해 극소수 전차만이 전투에 투입되었고 34대 분량은 루마니아로, 3대 분량은 헝가리로 탈출하였다. 루마니아로 탈출한 전차들은 루마니아군에 도입되어 독소전때 노획한 소련군 45mm 대전차포로 주포를 강화했다.
프랑스에 대한 전격전 당시 프랑스군은 1,500여대의 R35를 보유, 사실상의 주력전차였으나 그때까지도 업그레이드가 지지부진한 상태라 대전차 능력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고 보병전차 특유의 시원찮은 속도(20km/h)도 더해져 큰 위협이 되지 못했다.
독일군도 이 경전차를 접수하여 큐폴라를 독일식으로 개량하고 무전기를 장비, 주로 레지스탕스 소탕전용으로 사용했고 일부는 동맹국 이탈리아와 불가리아에도 넘겨주었다. 그러나 치안 용도로 쓰기에도 성능의 한계가 드러나자 대부분 포탑을 제거하여 훈련용, 견인차, 탄약운반차로 썼다. 그중 약 200여대는 체코제 대전차포를 싣고서 대전차 자주포로 재활용되었다.#
수출도 많이 된 전차라서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에 수십대를 구매하기도 했으며, 프랑스의 식민지에도 상당량의 전차가 치안유지용으로 뿌려졌다. 이 때문에 대전 후 살아남은 R35가 상당히 많았으며 1차 중동전쟁에서 시리아군이 10대 정도를 사용하기도 했다.
2. 르노 R-40
[image]
R35의 불편함은 이미 프랑스에서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불만이 신뢰성 부족, 저속임에도 불구하고 현가장치와 무한궤도가 쉽게 손상되고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R35의 신뢰성 강화판으로 새로운 차체가 1939년에 개발돼서 그냥 R35의 이름을 고수한 채로 계속 생산될 예정이었다.
문제는 폴란드 침공으로 인해 숫적으로는 전차부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존 R35의 부족한 대전차능력을 빨리 향상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 것이다. 그래서 대전차능력이 향상된 SA38 37mm 전차포를 탑재한 APX-R1 전차포탑을 장착하는 안이 도출되었고, 앞서 언급한 신형 차체에 이 포탑을 장착한 것이 R40으로 간이 제식화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침공이 발발하기 전까지 만들어진 R40은 잘해봐야 150대에 불과한데, 이는 포탑의 생산량 부족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그래서 130~145대의 신형 차체가 만들어졌지만 앞서 말한 포탑 부족사태 때문에 상당수가 포탑없이 방치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또한 신형차체도 예상보다 생산량이 적어서 절대다수의 R35는 개수받지 못한 상태로 전쟁에 참여했기 때문에 R40을 R35s라는 이름의 변종중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렇게 해서 워낙 수량이 적은 R40은 만들어진 거의 모든 수량이 전투에 참가하여 소모되었으며, 현재까지 살아남은 R40은 없다.
3. 미디어에서
[image]
월드 오브 탱크에서 프랑스 2티어 경전차로 등장한다.
도미네이션즈에서 글로벌 시대의 첫 번째 프랑스 고유 유닛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