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슬러그 어택/유닛/모덴군/EXTRA OPS
1. 개요
2. 유닛
2.1. 주피터킹 EXTRA OPS
2.1.1. 마크스넬 5편대
2.2. PIRATES ATTACK
2.3. GOLDEN SOLDIER
2.4. BLACK FUTURE
2.5. METAL SLUG ALICE
2.6. BOY MEMORIES
2.7. HALLOWEEN TRAIN
2.7.1. 전철
2.8. AGENT SALLY
2.9. OPERATION IKARI
2.10. SANTA TRAP
2.11. CRAZY DRIVE!
2.12. Power of new versions
2.13. Tough & Cool
2.14. SNATCH WARS
2.15. Rider's High
2.16. MAXIMUM EVOLUTION
2.17. SNATCH WARS SEASON3
2.18. CLASH OF THE WORLD
2.18.1. 레벨 워커
2.19. DOUBLE FACE
2.20. LAST RESORT
2.21. RISING IRON
2.22. SNATCH WARS SEASON6
2.23. BLOOD RUNAWAY
2.23.1. 슈&칸 MK II
2.24. ROYAL IDENTITY
2.25. Out of Control
2.26. SAME DIRECTION
2.27. TIME COLLISION
2.28. UNITED FRONT
3. EXTRA OPS-2018년
1. 개요
메탈슬러그 어택의 모덴군 유닛들중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들을 서술하는 문서. 아무래도 문서가 길어지는 만큼 2016-2017때 출시된 유닛과 그 이후를 분리하기로 했다. 아무래도 보스수가 많은 모덴군인 만큼 수많은 보스유닛이 있으나 현 문서에 있는 유닛들은 말 그대로 파워인플레에 밀려 거의 망한 상태다. 지금 꺼내도 괜찮은 유닛이 아예 없는것은 아니지만, 카운터가 많아 제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
2. 유닛
2.1. 주피터킹 EXTRA OPS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마즈상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2.1.1. 마크스넬 5편대
종합보상 엑옵의 첫 전리품 유닛이다.
전작처럼 한꺼번에 발사하지 않고 맨 앞에 있는 붉은 마크스넬만 발사한다. 전작처럼 느끼고 싶다면 특수 공격을 해줘야 한다. 이상하게도 4성 패시브를 안 열어도 특수 공격을 하면 이후부터 원거리 공격도 특수 공격이 된다. 이전에는 자체적인 딜링이 괜찮아 쓰이던 편이었으나,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완전히 묻힌 상태다.
여담으로 액션뷰에서 일반공격 특수공격 중립을 번가락하면 빨간 마크스넬만 있은 경우가 생긴다. 근데 '''실전에서도 이게 가능하다!'''[3][4]
2.2. PIRATES ATTACK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프톨레마이크군의 어나더 스토리 스크랩 라이프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2.1. 빅 셰이
게임 내에서는 모든 주포가 한방향으로 되어있다. 또한 아래쪽 짤려진 부분이 복구되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주포를 한꺼번에 발사한다. 각각의 데미지는 약하나 넓은 범위를 커버칠 수 있어 당시엔 보병덱에겐 공포의 대상이었다. 특수기 또한 전작보다 상향먹게 되어, 바닥에 터질때 커다란 파도모양이 생기며 추가 데미지를 준다. 각각의 데미지도 위협적이었고, 당시엔 특수기 데미지 1위를 먹던 유닛이었다. 그러나 너무 낮은 체력[5] 및 파워인플레에 밀리기 시작하고 상위호환인 고스트 셰이, 빅셰이 MK2가 나오게 되면서 지금은 묻혀버린 비운의 유닛이 되었다.
2.3. GOLDEN SOLDIER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들의 경우 아랍 병사와 애시네로는 정규군의 어나더 스토리 모래의 왕국과 금색의 영웅에서 획득이 가능하나 아불아바스는 어나더 샵에서만 구매해야 한다. 아랍 돌격병은 획득 방법이 아예 없는 상태.
2.3.1. 아랍 병사
특수기의 경우 2성을 해금하면 5개의 칼을 던지고 4성을 해금하면 그걸 두번 던지게 된다. 당시에는 대공으로써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기가 어려워진 유닛이다.
2.3.2. 아랍 돌격병
전작보다 스펙이 크게 증가했으며 3성 특유의 부활까지 이용해 당시 스펙이 좋은 편이었다. 아불 아바스와 함께 초반 압박의 대명사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파워인플레가 심해져 묻히기도 했고, 상위호환인 엘리트 아라비아 돌격병이 출시된 상태다.
2.3.3. 아불 아바스
특수기의 경우 3톤 트럭을 소환하게 된다. 아랍 돌격병의 스펙이 전작보다 상향을 먹게 되어 그 돌격병을 꾸준히 뽑아주는 3톤 트럭과 함께 초반 압박의 대명사로 사용되던 유닛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인해 묻힌 상태.
2.3.4. 애시 - 네로
생산하면 바로 나오지 않고 레이더에만 잡힌 상태로 움직이다가 적을 감지하면[6] 전자수속포를 쏘면 등장한다. 여기서 특수기를 쓰면 전자수속포를 다시 쏘게 되나, 아무래도 맞출 유닛이 없기 때문에 여기에 커다란 돌덩이 하나를 전방으로 날린다. 당시에는 특수기의 강력한 데미지 덕분에 쓰이던 유닛이었으나, 지금은 상위호환인 MK2가 나와 완전히 사장되었다.
2.4. BLACK FUTURE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외계인의 어나더 스토리인 '너를 위해'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4.1. 미래병
특수기시 바운드 탄을 발사하는데, 4성을 해금하면 3발을 동시에 쏘게 된다. 근접 공격시 스턴도 있어 당시에는 길드레이드에서 스턴용으로 사용되거나, 온라인에서 초반 주력딜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의외로 바운드탄 자체는 지금기준에서도 그렇게 약한 데미지는 아닌편. 그러나 너무 낮은 체력과 이것보다 더 좋은 초반유닛이 많아짐에 따라 묻히게 되었다.
2.4.2. 미래 마크스넬
당시에는 특수 공격시 스턴이라는 특성과 4성 해금시 여러 방향으로 쏴되다 보니 스턴용으로 자주 사용되던 유닛이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완전히 묻힌 상태다.
2.4.3. 크라켄
원거리 공격으로 새틀라이트 탄을 날리며, 이는 탄막 상쇄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수기는 전작과 똑같이 용암탄을 떨구는 공격인데, 전작의 악명을 생각해서인지 일정 사거리를 전진하면 바로 되돌아온다. 또한 넉백을 당할 경우 그대로 물러나는게 아니라 전방으로 주포를 쏜다. 당시에는 괜찮은 성능덕분에 2대2의 최종 병기로 쓰이기도 했었던 유닛이나, 지금은 상위 호환인 MK2가 나오기도 했고 파워인플레에 밀려 묻힌 유닛이다.
2.5. METAL SLUG ALICE
크랩롭스는 프톨레마이크군의 어나더 스토리인 천재 정비사의 꿈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5.1. 크랩롭스
실제 게임에서는 허리 부분이 살짝 길다.
디펜스 시절보다 AP량이 대폭 늘었으나, 특수기의 경우 사거리 무한이 아니라는 큰 너프를 받았다. 결국 당시에 그렇게 자주 쓰이진 않던 유닛이고, 지금 쓸려해도 파워인플레 때문에 쓰기 어려운 유닛이다.
2.6. BOY MEMORIES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정규군의 어나더스토리 빠지지 않는 등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6.1. 포워
출시 당시에는 넉백시 오히려 공격을 한다는 점과 특수기시 적군에게 빠른 접근이 가능했기 때문에 스코샤 아문센의 대항마로 쓰이기도 했었다. 지금은 파워 인플래에 밀려 사용되지 않는 상태다.
2.6.2. 카브라칸
'''모덴군의 이동속도 어시스트 스킬'''
출시 당시에는 2000AP라는 부담스러운 가격때문에 사용이 애매했지만 특수기를 파괴를 초래한다는 병기답게 제값을 하던 유닛이었다. 특이하게도 넉백을 당하면 포드를 소환하는데, 해당 포드가 쏘는 레이저의 데미지도 좋아 당시에는 잘 쓰이던 유닛이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잘 사용되지 않는 유닛중 하나.
그러나 해당 유닛에게 이동속도 어시스트 스킬이 있기 때문에, 모덴덱을 쓴다면 자신의 덱을 고려해 채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7. HALLOWEEN TRAIN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외계인의 어나더 스토리 '내가 나이기 위해 필요한 것'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7.1. 전철
소환하면 다른 공격없이 돌격만 한다. 4성 해금 이후 격파될 경우 공중으로 붕 뜨더니 터지면서 데미지를 준다. 당시엔 데미지가 괜찮은 편이라 각종 버프를 받고 사용되기도 했으나 지금은 파워인플래에 밀려 완전히 묻힌 상태다.
2.7.2. 이멘 마하 #s-2
아래쪽 짤린 부분이 복구되었다.
1성을 해금할 경우 초록색 마하가 격파되도 붉은색 마하가 빠른속도로 달려와 서포트하게 된다. 당시에는 꽤 높은 체력을 이용해 모덴덱에서 각종 버프를 준 후, 서포트로 회복을 이용하면 죽지 않고 끈질기게 버틸 수 있는 유닛이었다. 지금은 상위호환은 드라하 마하나 티거 마하가 나오기도 했고, 파워인플레때문에 쓰기 어려운 유닛이다.
2.8. AGENT SALLY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무소속의 어나더 스토리 클레오파트라의 만유기에게 획득이 가능하다.
2.8.1. 고철 포대
디펜스에는 없던 어택에서 나온 유닛 중 하나로 광부가 출격하여 곡괭이를 한 번 반을 내려치면 건설한다. 모든 공격으로 디-코카의 탄을 발사하는데 특수기로 3번을, 4성을 찍으면 6번 발사한다. 1성 특성인 넉백과 3성으로 인한 긴 사거리덕분에 당시에는 최강의 넉백 기계로 사용되던 유닛이었다. 다만 크레이지 랄프라는 제대로 된 카운터가 나오자 급격히 몰락하기 시작하면서 망했다.
여담으로 원작에서는 모덴군 병사 1명이 발로 찼어야 발사가 가능했었으나 여기서는 혼자서도 잘만 발사가 가능하다.
2.8.2. 유니언
어택에서만 나온 유닛 중 하나로 초창기 요일 보스로 cpu 전용이였다가 출시된지 8개월 반만에 플레이어블 유닛으로 만들어졌다.
1성과 2성, 3성이 각각 1호기(정면전차)와 2호(상부 공중), 3호기(하부전차)의 능력이다. 유닛을 인식하기 전까진 넉백과 경직이 면역이면서 '''무적 처리가 된다.''' 유닛을 인식한 순간 합체되어 있던 전차가 1,2,3호기로 분리되면서 비로소 판정이 적용된다. 체력은 3개의 전차를 합친 체력이라 각각의 전차가 체력을 공유한다. 분리된 전차는 따로따로 피격판정을 받으며 공격도 전차마다 천차만별이다.
분리된 전차의 공격패턴을 살펴보면 1호기는 근접 공격을 밀기(다단히트)와 특수기로 미사일 2발을 전면에, 다른 한 발을 위로 발사한다. 2호기는 근접 공격을 에너지 탄 발사를, 특수기로 발칸탄을 부채꼴로 발사한다. 참고로 2호기는 지상판정이다. 3호기는 근접 공격을 밀기(다단히트)와 원거리 공격을 에너지 탄 발사를[9] , 특수기로 하이도가 쓰던 로켓탄을 10발 발사한다.[10] 파괴되면 기체는 회색으로 변하면서 자폭을 한다. 1호기와 3호기는 그냥 적에게 달려들고, 2호기는 적에게 추락하며 자폭한다.
출시 당시에는 2000AP치곤 꽤 괜찮은 유닛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지금은 파워인플래에 밀려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닛이다.
2.9. OPERATION IKARI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정규군의 어나더 스토리 싸우는 이유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9.1. 엘리트 아라비안 병사
아불 아바스를 팔레트 스왑했다.
겉모습만 본다면 디펜스 시절처럼 근거리 딜러인거 같은데 실상은 자기의 분신을 소환해 전방으로 날린다는 어디선가 많이 본 공격을 한다. 일반 공격이 분신 하나로 공격하는 것이고 특수 공격시 분신이 3명으로 나뉘어 공격한다. 4성 개방시 분신이 3기에서 6기로 늘어난다. 당시에는 괜찮은 성능과 2성해금시 버프덕분에 아랍덱의 핵심이었지만 지금은 파워인플래에 밀려 버려진 유닛이다.
2.9.2. 아이언 노카나 MK.II
기본 공격은 기존의 아이언노카나랑 동일하며, 특수기의 경우 처음에는 미사일만 여러번 발사하고, 2성 패시브를 해금하면 특수기가 미사일 4발을 쏘면서 화염을 발사한다. 4성 패시브를 해금하면 특수기(화염)의 발사 수가 5발에서 20발로 증가하며, 미사일 수를 4발에서 10발로 증가시킨다. 기존의 아이언 노카나보다 화염의 길이가 짧지만 화염 지속 시간이 기존보다 긴 것이 특징이다. 지금은 파워인플래에 완전히 밀리게 되어 어나더 스토리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는걸 빼면 볼 일은 거의 없어졌다.
2.10. SANTA TRAP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프톨레마이크군의 어나더 스토리인 어둠의 장막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0.1. 설원 보병
디펜스 때와는 다르게 특수 공격이 생겼는데 굴리던 눈덩이를 전방으로 밀어버린 후 하늘에서 새로운 눈덩이가 떨어지는데[12] 다시 그 눈덩이를 굴리며 전진한다. 설원 보병에게서 분리된 눈덩이는 HP가 있는 유닛 판정에 본체와 똑같은 공격 판정을 가지고 있다.
스턴과 강제넉백에 면역이라는 희소성 덕분에 당시에는 탱커겸 날빌 방지용으로 사용되었던 유닛이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난 상태.
2.10.2. 타니 - 오
플레이어블 유닛이 되기 전까진 요일 보스로 나왔으나 그 당시엔 디펜스때 처럼 원작 도트 그대로였다. 그것 때문인지 플레이어블로 활약할 수 있게 포탑이 전면을 향하게 도트를 새로 찍어 새로운 느낌의 타니-오가 탄생했다.
출시당시에는 특수기인 안드로 캐논의 화력이 강력한 덕분에 괜찮은 유닛으로 평가받았었으나, 지금은 MK2의 출시와 더불어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이지 않는 유닛이다.
파괴될 때의 도트는 새로 찍은 도트에 맞춘 반파 모습을 만들질 않은지라 원작에서의 반파 모습으로 파괴된다.[13]
공체강화대상이며 상당히 살벌하게 상향되엇지만 요즘 메타에 안맞아 묻혀버렸다...
2.11. CRAZY DRIVE!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외계인의 어나더 스토리 우린 마.피 전대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1.1. 이카-B
미사일을 쏘고 다시 되돌아오는 특성과 더불어 우주여행을 떠나지 않는다는 점 덕분에 쌓으면 괜찮은 유닛이었으나 지금은 파워인플래에 밀려 완전히 묻힌 유닛이다.
2.11.2. 아이언 캡
특수기의 경우 사거리가 무한이며 가까이 있을수록 데미지가 강해진다는 특성이 있다. 멀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기지에 큰 데미지를 기대하긴 어렵지만 오히려 이를 이용해 판정승을 기대해 볼 수 있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사용되지 않는 유닛이다.
2.12. Power of new versions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정규군의 어나더 스토리인 나의 영웅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2.1. 펄스 트럭
전작과 달리 곡괭이질 두 번만에 설치된다. 4성까지 해금하면 전작과는 차원이 다른 공격수와 데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당시에는 공중유닛들의 하드 카운터였지만, 그때는 베아트리스같은 원거리 유닛이 더 판치는때였던 지라 자주 사용되지 못하고 묻혔던 유닛이다. 지금은 쓸려해도 파워인플레 때문에 힘들다.
2.12.2. 붉은 악마 모덴
모덴이 탑승한 차량의 색깔만 붉게 바뀌었다.
번역 오류가 존재하는데 원거리 공격인 바주카공격을 개틀링이라고 써놨다.
기본 공격이었던 바주카는 기존보다 3발씩 쏘게 되었다.[14] 특수공격도 하이도 폭격에서 다수의 미사일을 소환해 공격하는것으로 바뀌었는데,[15] 이 미사일은 아군 기지부터 시작해 적 기지 너머까지 날라가며, 위 아래 퍼져 공격한다. 전체적으로 아래쪽에 좀 더 미사일이 몰린 특성이 있다. 3성을 해금하면 더 많은 미사일을 소환하게 된다. 당시에는 기지 체력이 3만밖에 안되 빠르게 뽑아 기지를 터뜨리는 요행수로 사용되곤 했지만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사용되지 않는 유닛이다.
여담으로 최초 등장시 4성을 찍은 후 특수공격을 할 시, "아 핫핫핫!" 하고 웃는 음성이 2번 있었는데, 업데이트로 "이얏!" 하는 경례소리를 낸 후에 웃는소리가 1번 나는 걸로 바뀌었다. 이후 또다시 업데이트로 경례소리만 나고 웃는소리는 사라졌다. 표정은 찡그리고 있는데, 웃는 소리를 내니 많이 어색해서 수정한듯.
2.13. Tough & Cool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프톨레마이크군의 어나더 스토리인 스크랩 메모리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3.1. 발로르
소환하면 기지에서 생산되는게 아니라 최전방 전선에서 소환된다. 기본공격은 미사일을 두번 날리고 특수기로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여러발 쏜다. 4성을 해금하면 두배로 쏘개된다.
기지의 체력이 3만밖에 되지 않던 시절에는 미라개를 이용해 미라개로 전선을 기지로 고정시켜 두고 발로를 이용해 기지를 순식간에 터뜨리는 미로르란 전략이 유행했었다. 그러나 기지 체력이 상향되는 패치와 초반부터 빠르게 전진하는 유닛들이 출시되면서 묻힌 유닛이다.
2.13.2. 서전트 드릴
원판에 불도저가 없어지고 페이즈 2형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색깔을 바뀌었다. 그리고 알렌 오닐이 탑승해 있다.
유닛의 명칭이 '교관'이라 작성되어있으나, 이는 번역 오류로서 원문 명칭은 '''서전트 드릴'''이다. 전작 MSD에서 거너 유닛을 저격수라고 한 것과 동급의 발번역을 내놨으나 3.0.0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서 정상적으로 서전트 드릴로 수정되었다.
출시 초반에는 자체적인 성능보단 발로르의 AP감소 셔틀로 쓰이던 비운의 유닛. 발로를 이용한 날빌이 실패했을때 발악용으로 사용하던 유닛이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이마저도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다.
2.14. SNATCH WARS
해당 엑스트라 옵스에서 출시된 유닛은 마즈 샵에서 조각 구매가 가능하다.
2.14.1. 아이언 이소 II
아이언 이소의 파란색 버전. 전방에 샌드백을 설치에 생존성을 어느정도 확보했다. 공격력과 공격수가 늘어나 원판보다는 쓸만 하나, 이것 또한 지금은 파워 인플레에 밀려 쓰기 어려운 상황이다.
2.14.2. 레벨 기간트 MKII
레벨 기간트의 빡렌 재탕이다.
근거리 공격이 돌진이 되었고, 특수기론 지뢰를 3발씩 꺼내 적에게 날린다. 3성과 함께 괜찮은 데미지로 당시에는 훌륭한 성능이었으나 문제는 출시 당시 최초의 길드 옵스였던 만큼 혼란을 겪어 획득 방법을 모르던 유저가 많았으며 난이도도 너무 높아 플테를 단 유저는 거의 없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기 어려운 유닛이다.
처음 나왔을땐 근접공격중 넉백당하면 굳어버리는 버그가 있었으나, 지금은 수정되었다.
2.15. Rider's High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외계인의 어나더 스토리 Fall of Disaster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5.1. 다라링 다라다라
특수기의 경우 자재를 내리면서 그 자리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자재를 부셔야 다시 특수기등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당시에는 친위대 방패병의 하위호환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라 잘 쓰이지 않았고, 지금은 파워인플레때문에 쓰레기가 되어버린 비운의 유닛이다.
2.15.2. 아이언 버밀리온[17]
아무래도 양산형인 만큼 스펙이 원판 아이언 센티넬보다 좋지 않다. 전 공격또한 느릿느릿하게 나가고 원판의 특징인 2형태마저 없어 당시에 세미 탱커로 잠깐 이용되다가 묻힌 유닛이다.
여담으로 버밀리온이 처음나왔을땐 아이언 센티넬을 이기기도 했었다. 지금은 센티넬이 상향을 먹은지라 말 그대로 양산형이 되어버린 상태.
2.16. MAXIMUM EVOLUTION
해당 엑스트라 옵스에서 출시된 유닛은 정규군의 어나더 스토리 나의 영웅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6.1. 플라잉 타라+
'''최초로 등장한 좌표를 지정하여 공격하는 유닛'''[18]
생산시 바로 나오지 않고 Tap Screen이란 영어가 나오며, 원하는 자리를 터치할경우 플라잉 타라 3대가 나와 해당 자리에 폭탄을 떨구고 간다. 나름 후방 유닛을 저격해볼 용도로 사용해볼 수도 있었겠지만 자체 성능이 너무나도 약해서 쓸 수가 없는 상태다.
여담으로 좌표타격형 유닛들중 유일하게 기지타격이 가능하다.(오토로 설정했을때만...)
2.16.2. 호즈미+
짤린 부분을 억지로 복구한지라 조금 형태가 어정쩡하다. 공격의 경우 원거리나 특수기나 특유의 선딜이 심각해 사용이 어려우며, 지금은 파워인플레때문에 쓰기가 어려운 유닛.
여담으로 당시에 나온 플라잉 타라나 호즈미나 대마왕 마르코나 다 성능이 안 좋은 편이라 자체가 좋은 취급을 못 받는다.
2.17. SNATCH WARS SEASON3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마즈 상점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17.1. 미래 기리다
모든 공격에 스턴이 있어 스턴을 괜찮게 걸어주는 편이나, 자체적인 스펙이 낮고 당시에는 박격포병(분노)를 쓰느라 이 유닛을 쓰는 유저는 거의 없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기 어려운 유닛.
2.17.2. 크랩롭스 Type-F
기본 공격시 탄막상쇄가 가능한 통을 전방에 소환해 두더지 모양 로켓을 발사하며 특수기는 눈에서 레이저[19] 를 여러발 쏜다. 2성 특유의 스턴과 4성해금시 증가하는 공격수 덕분에 당시에는 클레오파트라나 박사의 카운터로 채용되기도 했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기 어려운 유닛이다.
2.18. CLASH OF THE WORLD
2.18.1. 레벨 워커
CLASH OF THE WORLD 엑스트라 옵스에서 조각을 드롭하거나 일정 스코어 달성으로 조각을 얻을 수 있었다.
특수기의 경우 4성을 해금하면 3개가 동시에 나와 여러발 쏴주는 덕분에 전작보다 상향을 받았지만... 원거리 공격중엔 특수게이지 안차는것과 더불어 특수공격을 못하는건 여전하기 때문에 성능이 반토막난 유닛. 거기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와 이유닛의 상위호환인 MK2가 나오면서 관짝으로 들어갔다.
2.19. DOUBLE FACE
2.19.1. 소총병(분노)
소총병의 빡렌 재탕이다.
기본 공격으로 두발, 특수기로 5발을 쏘고 승리모션을 취한다. 4성을 해금하면 10발을 쏜다. 자체적인 성능은 둘째치고 이들을 소환해 주는 모덴 버스가 있어 직접적으론 쓰지 않는편이다.
2.19.2. 바주카병(분노)
바주카병의 빡랜 재탕이다.
원판보다는 데미지가 크게 오른 편이나, 이것 또한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 유닛이다.
2.19.3. 방패병(분노)
방패병의 빡랜 재탕이다.
친위대 방패병특유의 방어보다는 공격쪽에 치중된 유닛. 그러나 이것보다 더 좋은 게릴라병 대장(방패)라는 유닛에 밀려서 사장되었다.
2.19.4. 드라하 마하
이멘 마하에서 색깔만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원판과는 다르게 단일 개체다. 특수기시 돌격이나 스킬 구성이나 탱커로 쓰게끔 구성되었으며, 당시에는 모든 버프를 받는다는 가정하에는 체력 이 가장 높은 유닛이었다. 여기에 서포트로 회복까지 두르면 쉽사리 죽지 않던 유닛이었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버려진 유닛이다.
2.20. LAST RESORT
2.20.1. 모덴 버스
전작에서는 일반 보병을 소환했지만, 여기선 분노병들을 소환해준다. 아마 파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그렇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소환되는 유닛은 일반 보병, 방패병, 소총병, 바주카병중 하나. 스킬 특유의 높은 퍼센티지와 더불어 당시에는 박격포병(분노)와 함께 농사메타라고 불리며 쓰이던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완전히 묻힌 상태.
여담으로 1성의 경우 공격 위력뿐만 아니라 사거리도 늘어나는 탓에 여기서 소환되는 소총병은 최고의 사거리를 지닌 유닛중 하나다.
2.20.2. 티거 마하
이멘 마하에서 색깔만 검은색으로 바뀌었다.
딜러형 마하. 드라하 마하의 3성 스킬이나 이 유닛의 3성스킬을 보면 알듯이 같이 쓰라고 만든 유닛이다. 애초에 팀 보너스가 있기도 하다. 공격은 그냥 쏘는 포 수가 엄청나게 증가했다. 지금은 드라하 마하와 함께 파워인플레에 밀려 묻혔다.
2.21. RISING IRON
2.21.1. 패트롤 로봇+
자체적인 공격능력은 원판보다 뛰어나고, 일정수가 모였다고 가정하면 지금 기준에서도 상당히 위협적이다. 문제는 현 상황에선 전방에 벽을 소환한다던가 등을 통해 탄막을 막는 유닛이 많아 제 화력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체력이 낮아 조금만 받으면 터지는지라 현재는 쓰기가 힘들다.
2.21.2. 드래곤 노스케+
게임상에선 드래곤 노스케의 다리 길이를 줄였다.그리고 아래쪽 바퀴부분을 약간 개조되었다.
특수기시 쏘는 파이어 캐논이나 근접공격은 괜찮은 편이나, 원거리 공격의 낭비가 심한 편이고 파워인플레가 금세 가속되어 얼마 쓰이지 못하고 묻힌 유닛이다.
2.22. SNATCH WARS SEASON6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통해 출시된 유닛은 마즈 상점에서 획득이 가능하다.
2.22.1. 엘리트 아라비아 돌격병
특수기의 돌진 거리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본 스펙 상향도 이루어져 당시에는 초반 유닛으로 자주 쓰였다.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기 어려운 유닛이다.
2.22.2. 엘리트 아라비아 낙타 기수병
특수기의 개수가 증가하고 딜량도 증가한 덕분에 당시에는 강력한 한방을 꽂아 넣을수 있었지만,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쓰이지 않는 유닛이다.
2.22.3. 애시 - 네로 MK II
한때 OP로써 달마뉴2랑 같이 쓰이던 유닛. 첫 등장은 일반 에시네로랑 동일하나, 특수기를 쓸 경우 땅으로 다시 들어가 적이 포착되면 다시 전자수속포를 쏘면서 등장한다. 특유의 돌 던짐을 그대로이며 데미지도 더 강력하다. 이 유닛이 쓰인 다른 이유중 하나는 들어갔다 나왔다 할때 무적이면서 탄막 상쇄판정이 된다는것. 이것 때문에 당시엔 너나 나나 이 유닛을 애용했었다. 지금 쓴다고 해도 큰 문제는 없을 정도이긴 하나, 문제는 블루 링레이저 메카나 헤메트같은 훌륭한 스턴 유닛들이 많아짐에 따라 지금은 나오자마자 스턴먹고 바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지금은 거의 안쓰이는 편.
2.23. BLOOD RUNAWAY
2.23.1. 슈&칸 MK II
양측 다 스펙이 상승하고 공격 수가 크게 증가했으나, 현 메타에는 비교적 낮은 체력인건 여전한것과 탄막상쇄에 약한것도 동일해 안쓰이는 유닛이다.
2.24. ROYAL IDENTITY
2.24.1. 카브라칸 포드 (독립형)
카브라칸에서 나온 포드가 별개로 출연되었으며 색깔만 바뀌었다.
특수기로 여러방향으로 레이저를 쏘기 때문에 대공이 가능했었던 유닛. 지금은 파워인플레에 밀려 사용하기 어려워진 상태다.
2.24.2. 카브라칸 MK II
일반 공격의 경우 쏘는 레이저 수가 증가했으며, 특수기의 레이저는 동일하나 4성 해금시 아예 최전방의 적 앞에 냅다 등장해 레이저를 쏘고 돌아온다. 자체적인 딜링은 여전히 강력하나 당시엔 에시네로MK2에게 제대로 카운터 당하는 지라 안쓰였던 유닛이다. 지금은 파워인플레때문에 전혀 안쓰이는 유닛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당시 일일 랭킹 엑옵 적으로 나올 당시 판정이 막 바꾸었다. 일반공격시 지상 판정있었다가 특수기 쓸시 공중판정갔다 한다.
2.25. Out of Control
2.25.1. 디-코카 MKII
디코카에서 색깔만 바뀌었다. 해당 컬러링은 SNK가 2007년에 만든 메탈슬러그 모바일3이라는 외전에서 등장한 모습이다.
원판보다 스펙이 상향되고 공격수도 증가했다. 디코카 특유의 파괴시 무적 잔해가 남는다는것도 동일하다. 그러나 상위호환인 골든 디코카가 나옴에 따라 관짝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2.25.2. 타니오 MK2
스펙 상향및 원거리 공격수가 증가했다는것을 빼면 별 다를게 없다. 당시엔 카운터인 시몬도 같이 출시되어 안쓰였던 유닛이고, 지금은 파워인플레 때문에 버려진 비운의 유닛.
2.26. SAME DIRECTION
2.26.1. 포워+
기존의 포워보다 체력이 빵빵하게 올라간 덕분에 당시에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탱커로 채용했던 유닛이다. 공격능력은 비교적 떨어지나, 넉백시 공격과 더불어 전선 유지용으로 쓰던 유닛. 지금은 파워 인플레가 가속되어 잘 쓰이지 않는다.
2.26.2. 더 키시 Ⅲ+
등장 당시에는 박격포병(분노)때문에 처음부터 쓰레기 취급받았고, 지금은 파워인플레때문에 사장된 비운의 유닛이다. 오히려 포워+플테를 얻을려다가 덩달아 이 유닛도 플테를 달아버린 경우가 더 많았다.
2.27. TIME COLLISION
2.27.1. 미래 바주카병 [21]
전작에 비해 공격 수나 공격력이나 크게 먹어 당시에 모든 유저들이 어떻게든 대공을 준비하게끔 만들었던 유닛이다. 여러명 모여서 특수기를 쏘면 유닛들이 지나가지도 못하고 펑펑 터져나갈 정도. 그러나 비행 유닛인 만큼 체력은 약해 대공이 조금만 갖춰져 있더라면 그렇게 위험한 유닛은 되지 않게 된다. 지금은 파워 인플레가 심해지기도 했고, 무적으로 전선을 유지하는 유닛들이 많다보니 고인이 되었다.
2.27.2. 크라켄 MKII
원판보다 스펙이 상향되었고 특수기의 용암탄은 버리고 아예 주포를 3발을 쏘게된다. 4성 해금시 5발을 쏜다. 2성의 높은 크리티컬 확률덕분에 골든 노스케나 골든 모덴을 카운터 치는데 잠깐 이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헤메트가 출시된 이후 급격하게 몰락하기 시작해 지금은 묻힌 유닛이다.
2.28. UNITED FRONT
2.28.1. 골든 바이커
4성 해금시 주행 사격은 동일하며, 이전보다 스펙이 많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파워인플레 때문에 사실상 안쓰이는 유닛이다.
2.28.2. 골든 모덴
'''최초의 골든옵스 유닛'''
출시 당시 특수기를 쓰는 족족 전부 초토화시키는 엄청난 극딜러로 주목받으며 부상했으나 연이은 파워 인플레로 인해 전선에서 살아남기 어렵게 되어 퇴역해버린 최초의 골드시리즈다. 사실 현재 기준으로도 데미지만 놓고 보면 쓸만하지만 원본과 마찬가지로 목숨부지가 매우 어려워 졌기 때문에 채용될 여지가 거의 없다. 구동강화가 달려있지만 되려 올리면 생존성이 떨어져서 찍지 않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스페이스 탱크가 공중 부양하는 도트가 메탈슬러그6 엔당에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았다.
3. EXTRA OPS-2018년
문서가 너무 길어져 분리되었다. 해당 항목을 참고.
[1] 버밀리온은 약간 황색을 띤 밝고 진한 색조의 적색. 일반적으로 주홍색을 가리킨다.[2] 취소선은 원래 있어야될 이름이다.[3] 붉은 마크스넬만 스턴에 걸어놓고 나머진 공격하게 놨두면 실제로 붉은 마크스넬만 남은경우가 생긴다.[4] 그외에도 중간에 있는 마크스넬이 스턴에 걸리면 대열이 꼬인다.[5] 다른 유닛들과는 다르게 테두리를 올려도 HP가 증가하지 않는다.[6] 공중유닛이나 컴뱃스쿨의 포로등등 적 판정이면 다 된다.[7] 참고로 원거리공격이 아닌 넉백시의 공격이다. [8] 미래 모덴군 병기로 알고 있어 설정 붕괴라고 하지만, 메탈슬러그7 제작 당시, 유니언을 정말로 미래 모덴군 병기 컨셉으로 했는지 알 수 없다. 해당항목 참조 [9] 단 2호기가 파괴된 후에 특수기를 제외한 공격이 가능해진다.[10] 하지만 도널드 모덴의 특수기는 아니기에 스턴은 없다.[11] 한국어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A] 한국어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12] 이때 잠깐이지만 피격판정이 병사에만 있다.[13] 또한 요일보스로 나오는 타니 오한테만 나오는 안드로 캐논에 스턴이 있다. 초반부터 빨리 깨는지라 보지못할뿐.[14] 쏘는 모습이 기존과 다르게 도트도 달라졌는데 살짝 어색함이 느껴진다.[15] 이 미사일은 메탈슬러그 2 파이널 미션에서 공중을 향해 날라가던 그것과 같다.[16] 한국판에선 흙부대라고 오역돼있다. [17] 버밀리온은 약간 황색을 띤 밝고 진한 색조의 적색. 일반적으로 주홍색을 가리킨다.[18] 과거 분노 박격포병과 광부 유닛들의 하드카운터라고 돼있었는데, 실제로 운용하면 박격포병 잡으러 왔는데 오히려 박격포병한테 터지는게 다반사며, 광부 잡을라고 해도 이미 설치하고 도망간게 대다수인지라 전혀 카운터라고 볼 수 없다.(...)[19] 미래 바주카병이 쏘는 탄이랑 동일하다.[20] 한국어에선 카브라칸 포드의 설명으로 오역되었다.[21] 취소선은 원래 있어야될 이름이다.[22] 게임상에선 미래 바주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오역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