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티베트 망명 정부 관계

 




[image]
[image]
'''몽골'''
'''티베트'''
1. 개요
2. 상세
3. 역사적, 문화적 관계
4. 관련 문서


1. 개요


몽골과 티베트 망명 정부 간의 관계를 정리한 문서다. 티베트와 몽골은 문화적으로 관계가 매우 깊다.

2. 상세


오늘날에도 상당수의 몽골인들이 티베트 불교를 믿고 있고, 몽골에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겸해서 많은 몽골인들이 티베트 독립운동에 대해 상당히 호의적인 편이다. 다른 한편에서 중화주의자들의 반티베트 감정은 중국 내 반몽골 감정과 엮여있다. 다시 말해서 한족 자신들은 제국주의, 식민주의 가해자가 아니며 과거 원나라, 청나라 때의 복수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은연 중에 박혀 있다.
일단 몽골의 대중적인 여론과 다르게 정치외교적 측면에서 보면 몽골과 티베트 망명 정부 간의 관계는 상당히 냉혹한 현실을 많이 반영하는 편이다. 달라이 라마 14세는 몽골을 자주 방문했었다. # 역시나 이에 중국은 항의하며 몽골이 자꾸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허용하면 보복조치를 한다며 협박하여 결국 몽골은 어쩔수 없이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금지했다. # 몽골에서 중국인의 출입국 심사를 엄격히 해도 잘 항의하지 않던 중국에서 달라이 라마 14세의 몽골 방문만큼은 강력하게 항의한다.
몽골 정부 입장에서도 몽골 내 할하 몽골인 외에도 서부 지역에 카자흐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이나 투바인 같은 소수민족들의 자치권 확대 요구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내몽골 내 민족주의자들과 티베트 망명정부가 친하다는 이유로'''[1] 티베트 망명 정부와 일정수준 거리를 두고 있다.[2]
물론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인 교류가 적다는 것 뿐이지 몽골 불교계와 티베트 망명정부 간에는 비공식적으로 우호적인 교류가 많이 진행되는 편이다. 티베트 불교가 몽골에서 주요 종교인 이유로 상술한 달라이 라마 14세와 몽골인들과의 친교 관계도 그렇고, 오늘날에도 많은 몽골인 승려들이 티베트 망명 정부가 위치한 인도 다람살라와 연계된 인도 내 티베트 불교 사원에서 유학하고 있다.
티베트와 몽골 공화국 간의 지리적 거리로 인해서 몽골 내 체류하는 티베트 난민은 극소수이다.

3. 역사적, 문화적 관계


후술된 내용은 티베트 망명정부와 몽골간의 직접적인 정치외교 관계는 아니지만 양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참고하는 수준으로 읽으면 된다.
비공식적으로서의 접촉은 몽골계의 선비족이 토번 동부 칭하이 호 일대에 피난하여 세운 토욕혼, 그리고 거란의 야율아보기가 티베트를 침략하여 티베트 인근의 티베트계 민족들을 복속시킨 것, 칭하이에서 기원한 강족의 일파인 탕구트를 포함한 티베트계 민족들이 북상하여 내몽골 서부에 걸친 서하를 세워 요나라와 협력하여 송을 견제하고 한 편으로는 싸우기도 했었고, 몽골이 강해져서 몽골 제국에게 처음엔 조공을 받쳤으나 배신으로 몽골에게 멸망하고 일부 서하인들이 몽골의 신하가 된 것 등이 전부였다.
본격적으로 몽골과 티베트(몽골인과 티베트인)의 첫 조우는 1236년인데, 당시 소규모 부족의 족장이 몽골에게 투항하고 금에게 대항하는 것으로 기록이 시작된다. 1240년, 몽골 제국은 티베트를 제압하기 위해 항복한 탕구트 계열 장군에게 30,000명의 군사를 준 뒤 티베트를 치게 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인 까담빠 종파의 절 2개가 불에 타고 승려들이 학살당하는 등, 잔인한 결과가 많이 뒤를 따랐다. 하지만 세력 하나하나가 작아서 그런지 몽골의 다른 전쟁들보다는 훨씬 덜 피 튀기는 싸움이었다. 티베트를 완전히 흡수한 뒤 종교 지도자를 대리 통치인으로 선택해 티베트 불교 샤꺄파(홍모파)의 쌰꺄틴진을 식민 정책의 동반자로 삼았다. 홍모파의 승려 팍빠는 몽골의 파스파 문자를 만들기도 하였으며 샤머니즘, 경교, 이슬람 등 온갖 종교가 각축을 벌이던 몽골에 티베트 불교를 전파하였다. 또한 고려와 같이 티베트는 원의 속국이긴 하였지만 자치를 하는 등 많은 혜택이 주어졌다.
몽골 제국 시절 티베트 불교는 몽골인 지배층에게 인기를 끌던 종교였으나 제국이 쇠퇴하면서 몽골 내 티베트 불교도 쇠퇴하였다. 알탄 칸 대부터 다시 몽골인들의 종교가 되었다. 티베트어로 된 경전으로 학습하고 승려의 복식도 티베트 승려와 동일할 정도로 몽골과 티베트의 불교는 거의 차이가 없다. 여담이지만 달라이 라마라는 명칭도 몽골이 지어준 것이다. 몽골 승려들의 수준은 예전부터 우수하였는데, 제 13대 달라이 라마가 몽골을 방문한 후 그 곳 학승들의 능숙한 논쟁 모습을 보고 큰 감명을 받은 일이 지금과 같은 길고 철저한 게쉬 학위 제도를 정립하게 된 계기가 될 정도였다. 안병남, 《티베트 불교의 사원 교육제도》
현재 몽골 인구의 약 60%가 불교도로 대부분 티베트 불교(주로 겔룩빠)를 믿으며, 간단 사원이 몽골 티베트 불교의 중심적인 사원이다. 소련이 붕괴된 1990년대 이후 몽골과 칼미키아 공화국, 부랴티아 공화국, 투바 공화국의 승려들이 남인도의 티베트 불교 사원인 고망(Gomang) 사원으로 유학을 오기 시작하여 현재는 2000여 명의 몽골, 러시아 연방 출신 승려들이 고망 사원에서 정진 중이다. 그 중에는 게쉬 학위를 취득한 승려나 사원의 방장(方丈) 등 고위직에 오른 승려도 상당 수 배출될 정도로 몽골 승려들의 자질은 우수하다. #

4. 관련 문서


[1] 몽골 공화국의 할하 몽골인들은 내몽골인들과 사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2] 다만 시진핑의 내몽골인 탄압이 심해지면서부터는 몽골 공화국과 내몽골의 관계가 개선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