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송리식 토기

 

평북 의주 미송리에서 발견된 토기.
1. 개요
2. 내용

[clearfix]

1. 개요


美松里式土器
청동기시대 한반도 북부 지방에서 사용되던 민무늬 토기의 일종. 1959년 평안북도 의주군 미송리[1]에서 발견된 새로운 형태의 토기라서 '미송리식 토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북한 학계에서는 '미송리형 단지'라고 부른다. 주류 사학계에서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영역을 가늠하는 고고학적 유물의 하나로 꼽힌다.
기원전 6~5세기경 청천강 유역에 살던 주민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며, 비단 청천강 주변 뿐 만 아니라 요령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평안북도 용천군 신암리, 압록강 상류의 자강도 중강군 장성리 및 토성리, 청천강 유역의 세죽리 및 구룡리, 대동강·재령강 유역에서도 발견되고 있고, 심지어 요동 지방과 요서에서도 출토된다.
그리고 평북의주 동굴에서 최초로 발굴되었다. 특별한게 있다면 밑이 납작한 항아리 양쪽 옆으로 손잡이가 하나씩 달리고 목이넓은게 특징이다.

2. 내용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송리식 토기는 밑바닥이 평평하고 몸은 뚱뚱하고 목 부분이 V자로 들어가 있으며 손잡이가 2개 달린 모양이다.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영역을 가늠해주는 유물 중 하나라고 교과서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고대 국가가 영역 국가도 아닐 뿐더러) 단순히 미송리식 토기의 '영역'은 동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의미가 없고, 이것 자체가 표지 유물이 되는 것은 고조선으로 부르는 요녕성 일대의 많은 작은 문화권 중 일부인 이도하자 유적 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뿐이라서 이런 식으로 언급하기에는 굉장히 애매한 유물이다. 즉 비파형동검이나 미송리식 토기를 고조선이 발명한 고유의 유물이라고 하기보다는 이런 유물들을 생산한 수많은 소국 중에 하나가 고조선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1]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수진면 송천리와 미산리를 병합하여 신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