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면리 대폐합
1. 개요
북한이 1952년 12월 단행한 행정구역 개편이다. 이 개편으로 98개 군이 168개로 늘었고, 10,120개의 리가 3,658개로 병합·개편되었다.
2. 의도
3. 방향
기존의 특별시/직할시/도 - 시/군/구역 - 읍/면 - 리로 구성된 4단계 행정 체제를 개편해 도/직할시, 시/군/구역/지구, 동/읍/리/로동자구의 '''3단계 재편'''이 핵심이다. 이로 인해 면은 폐지됐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현 대한민국에서 리를 폐지하고 면을 좀 더 잘게 쪼갠 모양새 같다.
3.1. 긍정적 요소
그 악명 높은 부군면 통폐합의 흔적을 '상당히' 걷어냈다는 사실은 칭찬받을 만 하다. 또한 분단된 지역들을 기존의 시·군으로 편입하였다.
3.2. 부정적 요소
대체 무슨 기준으로 개편한 건지 알 수 없다. 이북의 생활권 변동을 반영하지 않았을까 싶어도 '''고작 2년 뒤인 1954년부터''' 자잘한 조정이 있었던 걸로 보아 설득력은 그다지 없다. 그 이후로도 도대체 왜 개편했는지 의문을 품게 하는 차후 조정도 많았다.
더군다나 부군면 통폐합의 흔적을 완전히 지운 것도 아니다. 실제로 평양시 - 대동군, 의주군 - 신의주시, 황주군 - 송림시, 함흥시 - 함주군, 해주시 - 벽성군, 사리원시 - 봉산군 등 아직도 부군면 통폐합(도농분리)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4. 개편현황
4.1. 황해도
4.2. 평안남도
4.3. 평안북도
4.4. 자강도
4.5. 함경남도
4.6. 함경북도
4.7. 강원도
[1] 벽성군의 영천면, 화양면, 동운면, 금산면의 6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연백군 소속[2]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재령군 소속[3]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4] 연백군의 래성면, 청룡면, 일신면과 추화면의 7개리 한정. 나머지는 구 벽성군 소속[5] 금천군 외류면·합탄면·구이면·서천면·토산면·좌면[6]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7] 해안면, 대구면 전역 및 룡연면 일부 (13개 리)[8] 구 장연군의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과 벽성군의 대차면, 운산면의 6개 리. 옹진군 가천면부터로도 3개리를 합병.[9] 송화군의 봉래면, 도원면, 장양면과 련방면의 2개 리, 문무면의 8개 리. 나머지는 지역은 구 신천군 지역[10] 신천군 궁흥면의 12개 리, 초리면의 9개 리, 문화면의 5개 리. 나머지는 구 송화군 지역[11] 재령군의 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률면의 3개 리와 구 벽성군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로 구성[12] 서흥군 목감면 4개 리, 황주군 도치면 성동리, 상산리 일부 편입.[13] 서종면, 초와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과 령천면의 2개리, 문정면의 1개 리, 재령군 삼강면의 4개 리, 은룡면의 4개 리[14] 신막면, 매양면, 룡평면, 률리면, 서흥면과 목감면의 6개 리, 구포면의 5개 리.[15] 도소면, 수구면, 연암면, 공포면과 대오면의 6개 리, 곡산군 서촌면의 1개 리를 합병[16] 구 곡산군의 12개 면 중 4개 면(곡산, 청계, 운중, 도화)과 서촌면의 3개리로만 구성. 나머지는 신계군에서 가져왔다.[17] 곡산군의 상도면, 하도면, 멱미면, 이령면, 화촌면과 봉명면의 동천리, 동촌면의 오륜리[18]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과 강동군 풍동면 및 강동면의 일부. 황주군의 천주면 일부 포함.[19] 맹산군의 옥천면·봉인면·학천면, 덕천군의 잠도면·잠상면[20] 양덕군의 쌍룡면, 화촌면, 오강면, 성천군의 대구면[21] 성천군 숭인면, 대곡면, 릉중면과 구룡면의 일부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의 일부[22] 대대면, 신녕면, 금곡면, 귀성면, 서화면, 룡월면, 해운면[23] 함종면, 신정면, 증산면, 적송면, 성대면과 반석면의 9개 리를 합병해 증산군[24] 용화면·대리면·입석면·연호면[25]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의 5개리, 덕화면의 3개리[26] 의주군의 피현면·월화면·위원면 전역과 룡천군의 동산면 전역, 고관면의 일부, 신의주시의 일부, 철산군 일부[27] 구 룡천군 외하면·외상면·내중면 전역과 부라면의 대부분[28] 곽산면·림포면·안흥면·관주면과 옥천면의 14리, 남서면의 1리[29] 박천군 박천면·동남면·덕안면·양가면의 전역, 청룡면·가산면의 일부, 녕변군의 독산면,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의 일부[30] 녕변군 룡산면, 백령면, 남신현면, 오리면의 일부, 고성면의 일부[31] 녕변군의 북신현면·태평면·남송면 일부[32] 일부는 의주군에서 편입.[33]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과 벽동면의 일부[34] 삭주군 남서면·외남면·량산면 및 수풍면의 일부[35] 단, 광평면, 가산면, 옥상면은 본래 의주군 소속[36] 구 만포군 시중면[37] 희천군의 신풍면, 동창면, 장동면과 동면의 일부[38] 구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 벽동면[39]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리 합병[40] 1949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41] 단, 부지리는 구 장강군 소속.[42]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리 합병[43] 퇴조면, 덕산면, 동천면, 홍원군 삼호면[44] 구 함주군 하조양면, 상기천면, 하기천면, 주북면, 기곡면[45] 구 북청군의 덕성면의 일부 및 상차서면, 하차서면, 니곡면, 성대면[46] 단천군 이중면, 광천면, 남두일면, 북두일면(8개 리)[47] 구 단천군 수하면[48] 신흥군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 및 장진군 동하면[49] 장진군 동하면[50] 장진군 북면, 동하면과 상남면의 1개 리, 자강도의 장강군 동문면[51] 웅이면 전역과 풍산면 일부.[52] 신파면, 자서면, 삼서면 전체와 호인면 일부[53] 갑산면·회린면·동인면·진동면의 전역과 산남면의 대부분을 통합해 갑산군을 재편성하였다(29리)[54] 운흥면, 별동면 편입.[55] 구 혜산군 보천면, 대진면.[56] 경성군의 어대진읍, 어랑면, 주남면, 주북면[57] 어랑면 3개리 한정. 명간군의 다른 지역은 구 명천군의 일부였다.[58] 명천군 하고면·하가면의 전부와 상고면 10리, 상가면 1히[59] 명천군의 북면, 하우면, 서면 전체. 더불어 동면 11개 리, 남면 10개 리로 구성. 경성군 어랑면 3개 리도 편입했다.[60] 양사면 서부는 삼사군에 이관[61] 동해면[62] 양사면 한정. 삼사면은 구 무산군 소속[63] 삼사면 한정. 양사면은 구 길주군 소속.[64] 풍해면 라진시 이관[65] 천내면·명귀면·운림면[66] 문천군의 풍상·풍하면 전역과 운림면의 1리(마쟁리), 이천군의 웅탄면 통합해 신설[67] 고성군 장전읍, 외금강면, 고성면의 13개리, 서면의 12개 리, 수동면의 3개리에 통천군 림남면을 통합해서 재구성[68] 기존 김화군의 창도·원북·금성·통구·임남·근북면과 양구군 수입면 일부 분리 통합.[69] 통천군 흡곡면 일부 편입[70] 신고산면, 석왕사면의 대부분. 신고산면 남부인 삼방 지역은 세포군으로 편입.[71] 이천군 판교면·락양면·방장면과 산내면·룡포면의 일부,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 일부[72] 북한 잔여 철원군, 이천군 동·안협면과 서면 일부, 평강군 서면 일부 , 연천군삭령면·서남면 잔여지역 통합. 황해도 금천군 토산면 일부도 포함시켰다.[73] 평강군 세포면, 유진면과 회양군 란곡면 일부, 안변군 신고산면 일부를 통합[74] 구 회양군의 내금강면 전역, 사동면·안풍면 대부분, 인제·양구군의 잔여지역을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