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연
1. 競演
개인이나 단체가 모여 예술, 기능 따위의 실력을 겨룸.
단순히 자신의 실력을 선보이는 수준으로 끝나기도 하지만, 각 개인 및 단체 간의 경쟁을 통해 실력의 우열을 가리는 행사를 한다.
2. 經筵
고려ㆍ조선시대에, 임금이 유학의 경서를 강론ㆍ연마하고 더불어 신하들과 국정을 협의하던 행사. 쉽게 말하면 임금이 신하들이랑 유학 내용 토론하는 행사이며, 경전(經典)을 공부하는 자리라는 뜻이다. 고려시대에는 서연(書筵)이라고 칭했으나 공양왕 때 경연으로 명칭이 바뀌고 이것이 조선시대에 계승되었다. 서연이란 이름은 세자를 교육하는 자리의 이름이 된다. 담당하는 관리들은 시강원으로 불렀다.
경연의 유래는 전한 선제가 유학자들에게 유교 경전(오경)을 강의하게 한 것에서 유래한다. 이후 송 태종 때 경연이라는 개념이 확립되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원나라 이후 형식적인 행사로 그친 반면 한국의 고려-조선에서는 유교의 이상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중요한 학술 행사이자 정치 행사로 자리잡았다.
경연의 기능은 크게 둘로 나뉘는데, 유교 학문/교육의 기능과 정치적 기능이다. 본래 목적은 학문/교육의 기능으로 군주와 신하들이 함께 유교 경전을 연구함으로서 국정 운영의 기초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각종 유학 서적의 편찬 및 보급도 병행되었다.
정치적 기능은 본래는 부수적인 형태였으나, 점점 경연 자체의 목적이 되었는데, 바로 신권과 왕권의 조화이다. 경연은 그 특성상 대부분이 신하가 군주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치는' 형태로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군주의 실책이나 이후의 정책 계획에 대한 비판이 가해졌다. 군주로서는 경연 자체의 가치를 무시할 수 없었으므로 이 비판을 가급적 수용해야 했고, 이를 통해 왕권을 제한하고 신권을 유지하는 견제 효과가 일어났다.
그래서인지 실록을 보면 경연을 둘러싸고 임금과 신하 간의 다툼이 정말 많이 일어난다. 경연하는 동안의 분쟁은 당연한 것이고, 경연에 참석하기 싫다는 군주와 참석해야 한다는 신하들의 실랑이가 수 없이 기록되어 있다. 경연을 싫어한 왕은 대표적으로 태조, 태종, 세조, 연산군, 광해군이 있다. 대개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한 왕들이 경연을 열심히 안했다. 조선 최고의 왕권을 호령했고 과거에 급제한 경력이 있으며, 임금을 가르쳐야 할 경연관들이 쩔쩔 맬 정도의 유교 엘리트라 할 수 있는 태종 역시 경연이 부담스러워 억지로 신하들을 찍어누른 채 경연에서 빠진 적이 많았다. 세조와 연산군은 경연을 아예 정지했고 광해군은 했던 횟수가 14회 그러니까 1년에 한번도 하지 않은 셈이다. 그나마 연산군의 경우 재위 10년 경까지는 좀 했다가 갑자사화 이후 폐지한 케이스다. 태조의 경우 경연을 안하려다가 역관광을 맞고 다시 했고, 세조의 경우는 술자리 중에 경연을 여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1]
반면 경연을 좋아한 왕도 있었는데 세종과 정조가 대표적. 세종은 즉위기간 동안 경연 횟수가 600회가 넘었을 정도로 경연을 아예 즐겼다. 게다가 가르치는 입장인 대간들이 오히려 쩔쩔 멜 정도로 학식이 넘사벽이였다. 세종 다음으로 경연을 좋아했던 왕은 정조인데, 정조의 경우는 신하들에게 공부 좀 하라고 할 정도였다. 나중에는 '''경연을 폐지하고 자신이 직접 중하급 관리를 가르쳐 발굴하는 초계문신제를 펼쳤다.''' 그 외에 성종과 중종, 효종 그리고 영조 역시 경연을 열심히 했다. 이들의 공통점을 보면 대체적으로 정통성이 부족한 왕들이 유학자들에게 충실한 왕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열심히 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평소에 공부를 즐겨한데다가 성격도 괄괄하고 나이가 들어서 연륜까지 갖춘 영조는 경연관들조차 압도하는 실력을 선보였다.
경연시간에 사용한 책은 성리대전(性理大全), 근사록(近思錄), 소학, 심경, 대학연의(大學衍義), 정관정요(貞觀政要), 국조보감(國朝寶鑑), 자치통감(資治通鑑) 이었다. 주로 중국의 유교 성현들이 남긴 가르침을 외웠다.
종종 경연은 정치적인 대 사건의 포문을 여는 무대가 되기도 했다. 한 예로 폐비 윤씨의 사사는 경연 도중 '''윤씨가 폐비라지만 그래도 전 국모니 최소한의 예우는 갖춰주자'''는 말이 나온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때 이 발언을 한게 권경우고 그에 동조한게 채수였는데 덕분에 채수는 갑자사화 때 목숨을 구하게 된다.
오늘날로 치면 대통령의 정책 자문위원회와 비슷한 면모가 있다 대통령이 잘 모르는 비전문적인 정책이나 왕의 학식과 교양을 학습하는 것이 비슷한 면이 있다. 다만 정치적 기능 면에서는 경연에 비해 그 중요도가 떨어진다.
또한 국정감사와도 닮아있는 구석이 있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국회의원들에 의해 행정부의 정책이 비판받는 과정은 성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사대부에 의해 국왕의 정책이 비판받는 과정과 닿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