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
1. 개요
정승(政丞)은 한국에서 고려시대 문하시중, 조선시대 의정부의 삼정승과 같이 재상, 총리에 해당하는 최고위직 또는 그 지위에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본래 고려 후기에 시중(侍中), 중찬(中贊)이 바뀌어 생긴 벼슬 이름인데 나중에는 집정(執政)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말이 되었다.
2. 삼정승(三政丞)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아울러 일컫는 말. 다른 관청에 있는 동급의 원임대신(原任大臣)들과 구분하여 시임대신(時任大臣)이라고도 한다.
2.1. 영의정(領議政)
- 영의정 문서 참조.
2.2. 좌의정(左議政)
조선시대 의정부의 관직으로 품계는 정1품이고 관원의 자급(資級)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이며 정원은 1인이다. 영경연사(領經筵事)와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를 겸한다. 좌상(左相)이라고도 하며 영의정, 우의정과 더불어 삼정승의 하나이다. 삼정승의 품계는 동일하지만 특배(特拜)가 아닐 경우 우의정 → 좌의정 → 영의정 순으로 승진한다.
유래는 고려 후기 원 간섭기에 문하시중이 둘로 나뉘어 변형된 첨의좌중찬(僉議左中贊)으로부터 조선 초기의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는 일련의 관직들이다. 조선 초기에는 사실상 수상으로서 고려시대에 수상이 하던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아 판이조사를 겸해 문관의 인사권을 담당하는 이조#s-7를 감독했다.
일반적으로 영의정의 권력이 대단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명예직에서 유래한 영의정보다 고려시대의 시중에서 유래한 좌의정이 실세로 여겨지기도 한다. 수상#s-1으로서의 영의정의 위상은 세종 연간(1418 ~ 1450)을 거치며 아주 천천히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만 해도 좌우 의정이 수상이었으며, 이는 하륜이 좌정승으로서 수문전대제학(修文殿大提學)을 겸한 것이나 좌우 의정이 영집현전사(領集賢殿事)를 겸한 것, 삼정승의 품계가 모두 동일한 것에서 알 수 있다.
굳이 따지자면 영의정과 좌의정의 관계는 고려 말 잠깐 나타났던 문하시중과 문하수시중의 관계와 그나마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다. 판이조사라 하지만 육조의 이조 호조 예조의 관리를 감독한다. 오늘날로 보자면 백관이라는 국회의원급 관료들을 통솔하고 장관 총리급 인사청문회를 주도하고 직권상정하는 국회의장이면서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1] 과 비슷히면서도 대통령제 국가에선 하원 의장 이원집정부제의 내각 총리겸 내무부 장관과 비슷하다.[2]
2.2.1. 역임 인물
- 맹사성: 3살 어렸던 황희보다 한 직급 아래로 유명한 재상.
- 최윤덕: 4군을 개척함, 무관으로 최정상에 오른 케이스.
- 김종서: 단종을 보필하다 계유정난으로 죽은 정승.
- 남지: 세종, 문종의 고명대신이자 남재의 장손자
- 한확: 수양대군의 사돈이자 인수대비의 아버지.
- 김질: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밀고해서 출세.
- 이사철: 세조 때의 공신.
- 홍달손: 계유정난에 무사로서 큰 공을 세웠다.
- 권람: 세조에게 한명회를 추천하고 계유정난을 모의.
- 정창손: 단종이 죽을 때 강력하게 사약을 주청함.
- 윤필상: 성종 때 폐비 윤씨 사사에 앞장섬.
- 박원형: 귀성군을 영의정 자리에서 끌어내릴때 적극적으로 동의함.
- 홍응: 훈구파이자 정희왕후의 측근.
- 어세겸: 무오사화 당시 실록청총재관.
- 한치형: 무오사화 때 좌의정으로서 사화를 주관.
- 이극균: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주요 타깃이 됨.
- 허침: 연산군에게 충언을 함.
- 정괄: 공신 정창손의 아들.
- 신수근: 연산군의 처남.
- 김응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거쳐서 좌의정에 오름.
- 안당: 중종 때 조광조를 추천함.
- 심정
- 이행
- 김안로: 조선사 최강의 권신 중 하나.
- 신용개: 신숙주의 손자로 공신들과 친했음.
- 유관: 인종 때 대윤의 핵심 3인방 중 하나.
- 성세창: 명종 초반기 공신 자제이자 대윤 계열 대신.
- 이기#s-6.1.1: 명종 때 을사사화를 주도한 3인방 중 하나.
- 김귀영: 김개의 할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임해군을 보호하지 못한 죄로 관직을 삭탈당했고 가토의 강요로 강화를 요구하러 행재소에 갔다가 사헌부,사간원의 추국을 받고 유배를 가던 도중에 배소에서 죽음.
- 정유길: 영의정 정광필의 손자로, 이량 일파였으며 이량이 실각한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좌의정까지 지냈고 서인임에도 동인 집권기에 좌의정까지 지냄.
- 정철
- 유홍: 임진왜란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운 인물임.
- 김응남: 임진왜란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웠지만, 이순신을 모함하기도 했음.
- 정탁: 임진왜란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일등공신이며, 누명을 쓴 이순신을 구명한 정승임.
- 이헌국: 임진왜란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일등공신임.
- 유영경: 좌의정 시절에 영의정 윤승훈을 탄핵했음.
- 허욱: 임진왜란 때 전쟁영웅이며, 선조의 고명대신임.
- 기자헌: 좌의정으로 있을 때 광해군을 강력하게 지지했음.
- 심희수: 임진왜란의 혼란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웠음. 광해군 때는 이이첨의 악행에 강하게 항거했음.
- 이항복: 광해군 때는 두 번이나 좌의정을 지냈고, 이이첨의 악행을 견제했음.
- 정인홍: 대북 핵심으로 좌의정일 때 정국을 주도함.
- 한효순: 광해군 때 폐모론을 주장함.
- 민몽룡: 역시 광해군 때 폐모론을 주장함.
- 박승종: 광해군 때 3창 중 하나로 허균의 처형을 주도함.
- 박홍구: 북인의 거물이자 영수이며 광해군 때의 마지막 좌의정이었음. 이괄의 난 때 사사됨.
- 심기원: 인조반정의 공신으로 권력을 누리다가 김자점의 모함으로 역모죄로 몰려 죽음.
- 김상헌: 척화파의 대표주자.
- 김자점: 인조 말기 민회빈 강씨의 사사를 강력히 주청할 당시 좌의정.
- 구인후: 인조반정 공신으로 무관 출신.
- 원두표: 인조반정 공신이자 서인의 거두.
- 허적: 서인이 영의정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 때 한 때 좌의정에 있었다.
- 송시열: 서인의 영수.
- 김수항: 남인의 허적이 영의정으로 있을 때 좌의정에 있었다.
- 정지화: 서인 계열.
- 정치화: 서인 계열. 영의정 정태화의 동생.
- 권대운: 남인 1차집권기에 좌의정으로 권력실세였고, 상평통보를 주조하는 데 공을 세움.
- 민정중: 숙종의 처숙부이자 인현왕후의 숙부.
- 이단하: 송시열의 수제자로, 강력하게 노론의 입장을 대변했음.
- 조사석: 장렬왕후의 친척이자 인조의 외척으로 희빈 장씨를 추천한 인물이기도 함.
- 박세채: 갑술환국 이후 좌의정이 되었는데, 남구만과 같은 서인 온건파였던 소론이었음에도 노론 의견에 동조해서 장희재와 남인들에게 중벌을 내릴 것을 주장한 인물임. 탕평책을 시행하기도 했음.
- 박숭질: 본관은 반남으로 연산군때의 좌의정
- 박은: 좌명공신
- 박종훈: 본관은 반남으로 서예와 시문에 뛰어났다고 한다.
- 박회수: 본관은 반남이며 기회 있을 때마다 무능한 관리를 제거하고 임금의 향락을 경계하였다.
- 이세백: 장희빈이 사사될 당시 강력하게 사약을 주청함.
- 서종태: 노론 대신이며, 당색이 옅지만 소론이 영의정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 때 좌의정에 있었다.
- 김창집: 노론 4대신이며 소론인 최석정이 영의정에 있을 때 좌의정 자리에 있었다.
- 이이명: 노론 4대신.
- 이건명: 노론 4대신.
- 유봉휘: 경종 때 소론의 거두.
- 최석항: 경종 때 소론의 거두.
- 정호: 이광좌가 아직 영의정으로 있던 시절에 좌의정에 있었다.
- 민진원: 영조 때 노론 영수. 인현왕후의 친척이며 숙종의 외척이기도 함.
- 이관명: 노론 선봉.
- 홍치중: 탕평책을 주선함.
- 이태좌: 소론 선봉.
- 정휘량: 화완옹주의 인척이다.
- 홍봉한: 좌의정일 때 정국을 주도함.
- 홍인한: 홍봉한의 동생.
- 김종수: 노론 벽파의 영수급으로 영의정 채제공과 대립했다.
- 채제공: 좌의정으로 있을 때 독상 체제로 정조를 보필하며 정국을 주도함.
- 홍낙순: 홍국영의 큰아버지로 홍국영이 권력을 독점할 때 좌의정이었다.
- 유언호: 정조 때의 노론 계열.
- 김이소: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시초.
2.3. 우의정(右議政)
조선시대 의정부의 관직으로 품계는 정1품이고 관원의 자급은 대광보국숭록대부이며 정원은 1인이다. 영경연사와 감춘추관사를 겸한다. 우상(右相)이라고도 하며 삼정승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유래는 고려 후기 원 간섭기에 문하시중이 둘로 나뉘어 변형된 첨의우중찬(僉議右中贊)으로부터 조선 초기의 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 우정승(右政丞)에 이르는 일련의 관직들이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에 수상 다음의 아상(亞相)이 하던 역할을 이어받아 판병조사로서 무관 인사와 병권을 담당한 병조#s-1 업무에 개입했다 판병조사라 하지만 병조 형조 공조의 업무에 대해 관리하고 감독한다. 오늘날로 보자면 대법원장의 위상을 가지면서 국회의 국방위원회의 위원장을 겸직한거라 볼 수 있으면서 이원집정부제 국가에선 내각 총리겸 국방부 장관 또는 법무부 장관을 겸직한거라 볼 수 있다.
왜 대법원장을 보냐면 삼정승은 정1품 총리급이다. 우리나라로 보자면 대표적인 총리급은 국무총리 국회의장 대법원장으로 볼 수 있는데 우의정은 판병조사를 겸직하고 있어 포도청이나 형조가 죄인을 추국하거나 체포하거나 전옥서의 감독 할 때 병조의 군사를 써야 하고 관리와 감독을 받아야한다. 이것을 현대로 보면 할경 대한민국 법무부가 영장 발행이나 구속기간 연장등 피의자의 신변을 다룰때 사법부의 발부요건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판병조사는 국회의 국방위원회와 비슷하다 하였는데 병조인 국방부를 감독하고 감시하는 역할과 고위 무관의 인사추천권과 장성급 인사청문회 주최와 보고 작성 검토와 질의를 보자면 국회의 국방위원회 위원장과 비슷하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우의정이 겸한 판병조사는 위에 같고 비변사 제조는 국가안보실장이라 할 수 있고 병조판서는 국방부 장관과 위상이 비슷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국회 국방위원장은 우참찬과도 비슷한 면이 있다 실제로 보면 우참찬은 국무조정실장겸 정무위원회 위원장과 비슷하기도 하고, 헌법재판소장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의 위상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2.3.1. 역임 인물
- 박규수: 개화파의 아버지
- 박종악: 본관은 반남으로 노비법의 폐단을 지적하고 노비법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 오명항
- 원인손
- 윤원형: 척신(戚臣)이며 소윤(小尹)의 영수로 나중에 영의정이 되었지만 정작 권력이 최강이던 시절에는 우의정이나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같은 자리에 있었다.
- 윤필상
- 이완#s-2.4
- 정분#s-2
- 조태채
- 허조
3. 5인 이상의 정승을 배출한 가문
4. 관련 문서
[1] 왜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과 비슷하다면 조선시대 백관이 관료과 유사하여 선출 절차와 관리 감독 파면 해임의 관한 건의 인사권도 이조라고 볼 수 있는 행정안전부를 감독 감시하고 보고와 질의와 행안부 인사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주최하기 때문에 왕에게 백관에 관한 선출과 해임에 대한 결정권을 왕에게 주청하고 이조를 감독하는 위상을 갖는다.[2] 또한 국회 행안위원장은 좌참찬과도 비슷한 면이 있다 그러나 실제 일을 보면 좌참찬은 국회사무총장겸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