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라더 다메요
[image]
자막 테러의 일종.
최초 출처는 디시인사이드 해외 연예 갤러리라고 한다. 사실은 해연갤의 모체였던 꿀벌 대소동 갤러리 시절 있었던 병자막 축제에서 만들어진 것. 해외연예갤러리의 유서 깊은 전통이다.
어벤져스의 한 장면으로서 등장인물 토르가 로키에게 낚여 유리감옥에 갇히자 감옥 유리를 부수고 나가려하지만 감옥이 낙하할까봐 멈칫한 장면이다.[1] 이 영상의 2분 13초부터 나오는 걸 보면 알겠지만, 원래 토르가 망치로 유리를 후려치고 주위를 둘러보는 부분은 둘 다 아무 대사가 없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그저 토르의 다혈질성과 약하게 조절은 했다만[2] '''묠니르를 버텨내는''' 인간의 기술력, 그리고 로키의 졸개스러운 표정을 보여주는 장면일 뿐이었지만 토르의 격앙된 반응, 그것을 지켜보는 로키의 비굴한 표정과 그 직후 묠니르가 튕겨나자 짓는 표정의 갭, 그리고 인상적인 자막과 가만히 서 있는 토르의 뒷모습이 묘한 병맛 분위기를 자아내, 호라! 모 젠젠 멀쩡하자나? 이후로 유행하던 피진계열 자막중에서도 제작자의 노력에 상응하는 신성급 인기를 끌게 되었다. 놀랍게도 3개 국어 혼용의 피진이다. Brother ダメよ! 콰쾅ㅇ쾅콰오.
이후 전개는 로키가 "인간들은 우리가 불멸이라고 생각하지. '''한 번 시험해볼까?'''" 하는 도중 디스트로이어건을 들고 저지하러 온 필 콜슨 요원이 오자 항복하는 '척' 하면서 환영분신으로 뒷치기 한 뒤 감옥을 분리, 추락 레버를 내려버리는 것이다. 물론 영화 내내 굴욕을 당하는 로키는 죽어가는 콜슨 요원에게 신랄한 디스를 당하다 한 방 얻어맞고 함 구석에 처박힌다.
일단 각국의 언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위 해석문에서는 첫 번째 장면의 대사를 토르가 로키에게 지르는 소리로 해석했지만, 실제로는 세 대사 모두 토르가, 또는 로키가 했다고 해도 얼추 들어맞는 기묘한 구성을 가졌다. 영화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첫 대사만 토르가 한 쪽에 가깝고 후술할 SNL 코리아의 패러디에서도 토르 쪽으로 해석했지만, 파생작들에서도 누가 했는지에 대한 해석이 각기 다르다.
보해양조에서 출시한 부라더\#소다와 잎새주 부라더, 부라더 하이볼 등의 주류에서 '부라더'가 붙는 걸 보고 이걸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여담으로 국내에 출시된 어벤져스 UHD 블루레이에는 일본어 더빙과 자막 선택이 가능하지만, 당연히 이 대사는 나오지 않는다.
[image]
SNL 코리아에서
실제로 로키 역을 맡았던 영국 배우 톰 히들스턴이 내한했을 때. 토르 역할은 김민교.[7]
대부분 공격을 당할 때 비명으로 '''XXX 다메요!!'''를 외치고 나서 공격을 탱크나 쉴드 등 다른 무언가로 튕겨낸 후 "XX노 XX와 튼튼데스넼ㅋㅋㅋㅋㅋㅋ"를 외치는 내용으로 패러디되고 간혹 짧게 관용구처럼 '부라더 다메요!!'나 'XX노 XX와 XX데스네'만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2번째 컷 역시 '시발' 뒤에 ㄹ이 붙은 것을 대개 그대로 패러디한다.
추가로 유리가 너무 약해서 부서지는 짤방은 '쿠크다스네'라고 말하는 변형도 존재한다. 과자처럼 얇고 약하다는 것. 애당초 저 과자가 약한 것들의 대명사 격이다.
1. 개요
자막 테러의 일종.
최초 출처는 디시인사이드 해외 연예 갤러리라고 한다. 사실은 해연갤의 모체였던 꿀벌 대소동 갤러리 시절 있었던 병자막 축제에서 만들어진 것. 해외연예갤러리의 유서 깊은 전통이다.
어벤져스의 한 장면으로서 등장인물 토르가 로키에게 낚여 유리감옥에 갇히자 감옥 유리를 부수고 나가려하지만 감옥이 낙하할까봐 멈칫한 장면이다.[1] 이 영상의 2분 13초부터 나오는 걸 보면 알겠지만, 원래 토르가 망치로 유리를 후려치고 주위를 둘러보는 부분은 둘 다 아무 대사가 없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그저 토르의 다혈질성과 약하게 조절은 했다만[2] '''묠니르를 버텨내는''' 인간의 기술력, 그리고 로키의 졸개스러운 표정을 보여주는 장면일 뿐이었지만 토르의 격앙된 반응, 그것을 지켜보는 로키의 비굴한 표정과 그 직후 묠니르가 튕겨나자 짓는 표정의 갭, 그리고 인상적인 자막과 가만히 서 있는 토르의 뒷모습이 묘한 병맛 분위기를 자아내, 호라! 모 젠젠 멀쩡하자나? 이후로 유행하던 피진계열 자막중에서도 제작자의 노력에 상응하는 신성급 인기를 끌게 되었다. 놀랍게도 3개 국어 혼용의 피진이다. Brother ダメよ! 콰쾅ㅇ쾅콰오.
이후 전개는 로키가 "인간들은 우리가 불멸이라고 생각하지. '''한 번 시험해볼까?'''" 하는 도중 디스트로이어건을 들고 저지하러 온 필 콜슨 요원이 오자 항복하는 '척' 하면서 환영분신으로 뒷치기 한 뒤 감옥을 분리, 추락 레버를 내려버리는 것이다. 물론 영화 내내 굴욕을 당하는 로키는 죽어가는 콜슨 요원에게 신랄한 디스를 당하다 한 방 얻어맞고 함 구석에 처박힌다.
일단 각국의 언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각국의 언어로만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Brother, ダメよ! 콰쾅ㅇ쾅콰오
오 시발ㄹ 깜짝 놀랐다です
엌ㅋㅋㅋㅋ 人間の유리は 튼튼ですねㅋㅋㅋㅋㅋㅋ
위 해석문에서는 첫 번째 장면의 대사를 토르가 로키에게 지르는 소리로 해석했지만, 실제로는 세 대사 모두 토르가, 또는 로키가 했다고 해도 얼추 들어맞는 기묘한 구성을 가졌다. 영화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첫 대사만 토르가 한 쪽에 가깝고 후술할 SNL 코리아의 패러디에서도 토르 쪽으로 해석했지만, 파생작들에서도 누가 했는지에 대한 해석이 각기 다르다.
보해양조에서 출시한 부라더\#소다와 잎새주 부라더, 부라더 하이볼 등의 주류에서 '부라더'가 붙는 걸 보고 이걸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여담으로 국내에 출시된 어벤져스 UHD 블루레이에는 일본어 더빙과 자막 선택이 가능하지만, 당연히 이 대사는 나오지 않는다.
2. 패러디
[image]
SNL 코리아에서
실제로 로키 역을 맡았던 영국 배우 톰 히들스턴이 내한했을 때. 토르 역할은 김민교.[7]
대부분 공격을 당할 때 비명으로 '''XXX 다메요!!'''를 외치고 나서 공격을 탱크나 쉴드 등 다른 무언가로 튕겨낸 후 "XX노 XX와 튼튼데스넼ㅋㅋㅋㅋㅋㅋ"를 외치는 내용으로 패러디되고 간혹 짧게 관용구처럼 '부라더 다메요!!'나 'XX노 XX와 XX데스네'만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2번째 컷 역시 '시발' 뒤에 ㄹ이 붙은 것을 대개 그대로 패러디한다.
추가로 유리가 너무 약해서 부서지는 짤방은 '쿠크다스네'라고 말하는 변형도 존재한다. 과자처럼 얇고 약하다는 것. 애당초 저 과자가 약한 것들의 대명사 격이다.
- 걸즈 앤 판처 - 본격전차예능 무한궤도
- 경기딸 - 조선노 짱돌와 단단데스네
- 본격 Air Power 시리즈 - 엌ㅋㅋ 아메리카노 전투기와 뚱뚱데스넼ㅋ
- 네이버 영화의 토르: 다크 월드 예고편 홍보 멘트 - 브라더에게 도움 요청 여전히 로키는 튼튼유리 속
- 드래곤네스트 - 클레노 실드와 튼튼데스네
- 로이킴 표절 논란에 대해 작곡가 인터뷰 - 닝겐노 표절와 똑같데스네
- 리그 오브 레전드 - 올라프 vs 쉔, 모르가나 vs 케일
- 마비노기 - 닝겐와 네츄럴 마스터리 튼튼데스네
- 메이플스토리 - 검ㅁ마 다메요
-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스포일러]
- 싸우자 귀신아 시즌 2 - 닝겐노 몸와 튼튼데스네
- 아오오니 - 닝겐노 철창와 튼튼데스네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닝겐노 주먹와 튼튼데스네
- 역전! 야매요리 - 닝겐노 이빨와 튼튼데스네
- 원본의 업그레이드 버전 - 아버지 슬슬 왕위를...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판다리아의 안개 - 가로쉬방노 옥상와 튼튼하데스네
- 제페토 - 제페토노 안드로이드와 튼튼데스네[8]
- 한국산 다메요
[1] 깨질 정도의 충격을 주면 낙하하는 구조이기에 토르가 때린 직후, 감옥이 덜컹 움직이자 토르가 긴장한 상태로 주위를 둘러보는게 그 증거. 실제로 감옥이 낙하하던 도중 여기저기 부딪히던 토르가 정신을 차리고 탈출을 시도하자 몸통박치기 한 번에 간단히 깨진다.[2] 후속작에서 드러나지만 번개를 담아 전력으로 내려쳤다면 닝겐노 유리 따위가 문제가 아니라 헬리캐리어도 박살난다.[3] Brother는 보통 형 혹은 동생을 뜻하는 단어이지만, 상황에 따라 형제여라는 표현으로도 쓰이기도 한다.[4] 사실 상황을 생각하면 단순히 '안 된다!'는 의미의 ダメよ!보단 황급히 '멈춰!'라고 하는 やめろ(야메로)!가 좀 더 자연스럽다.[5] 끝의 したんです를 しました로 바꿔도 의미상 차이는 없다. 단지 원문(?)처럼 끝에 です(데스)가 들어가냐마냐의 차이뿐.[6] 琉璃나 瑠璃의 일본식 독음 るり(루리)가 '''아니다.''' 유리 문서에도 기술되어있다시피, 이 한자어는 본디 청금석을 뜻하다가 한국 한정으로 琉璃가 석영유리를 뜻하게 된 것이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저 한자어가 청금석을 의미하며, 석영유리는 ガラス(가라스)로 칭한다.[7] 이때 실제로 저 대사를 톰 히들스턴이 똑같이 읊었다. 물론 저 혼종 문장을 그대로 읽은 건 아니고 멀쩡한 영어인 'human-made glass is very strong, I'm impressed.'으로 번역해서.(...) 김민교 역시 멀쩡한 영어로 'Brother, No!'라고 읊었다.[스포일러] 악당이 잡히는 장면에서... 해당 문서 참조.[8] 유료 회차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