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정록

 

1. 신숙주의 북정록(北征錄, 1468)
1.1. 개요
1.2. 내용
1.3. 바깥고리
2. 신유의 북정록(北征錄, 1658)
3. 이필익의 유배일기 북정록(北征錄, 1674)
4. 김지남의 북정록(北征錄, 1712)


1. 신숙주의 북정록(北征錄, 1468)


[image]
[image]

1.1. 개요


조선 세조 7년, 1461년에 왕의 명으로 육진 지역의 여진족들을 소탕한 후, 그 과정에 있었던 모든 일들을 일기체의 형식으로 기록하여 남기라는 세조의 명에 따라 신숙주(申叔舟), 이극감(李克堪) 등이 1468년 완성한 조선 전쟁 기록서. 총 6권이며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2. 내용


1468년 세조의 명에 따라 북방 지역의 모련위 여진족을 정벌하는 과정에서 있었던 모든 내용들을 일기의 형태로 남긴 기록물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북방 정벌기 중 그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1400년대 당시 한국의 주요 대신이 직접 전쟁을 경험하며 그 과정에 있었던 일들을 모두 기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북방 지역의 상황과 여진족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이역 정벌기로 훗날 만들어지는 여러 군종기록 작성 문화와 그 형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북정록이 소장되어 있으며, 1984년에 고령신씨문헌간행위원회의 주도 하에 신숙주의 13권 3책의 '보한재전서(保閑齋全書)' 문집을 번역 간행할 때 하권에 해동제국기와 함께 번역 수록되었다. 한국고전번역서 : 보한재전서(하 : 해동제국기ㆍ북정록)
그 외에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에 조선 전기의 신숙주 저 북정록 해외유출본이 소장되어 있다. 해외한국학자료센터 : 신숙주(申叔舟) 북정록(北征錄)

1.3. 바깥고리



2. 신유의 북정록(北征錄, 1658)


북정일기 항목을 참조.

3. 이필익의 유배일기 북정록(北征錄, 1674)


[image]
조선 중기에 오늘날 논산 일대인 충청도 이산에 거주하던 선비인 이필익이 숙종 원년(1674) 함경도 안변으로 유배를 떠나 3년간의 귀양살이를 마치고 숙종 5년(1679) 돌아오기까지의 기록을 담은 일기.

4. 김지남의 북정록(北征錄, 1712)


[image]
조선 숙종 38년인 1712년에 청나라와 조선이 백두산에서 양국의 국경선을 확립하고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울 당시, 그 조사과정에서 역관으로 참여, 활약한 김지남이 기록한 일기.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북정록 항목을 참조.

5. 갑진북정록


갑진북정록 항목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