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 GP

 


 '''브런 ''GP'' 포뮬러 1 팀''' 
 '''Brawn''' '''''GP'' Formula 1 Team''' 
 [image] 
<colbgcolor=#C6F43D> '''본사''' 
Brawn GP Limited
 '''타이틀 스폰서''' 
-
 '''국적''' 
 '''(영국)'''
 '''본부''' 
영국 블랙클리
 '''팀 수장''' 
로스 브런
 '''드라이버''' 
22.   젠슨 버튼 
 23. [image] 루벤스 바리첼로
'''역사'''
티렐 레이싱 (1968~1998)
브리티시 아메리칸 레이싱[BAR] (1999)
럭키 스크라이크 BAR 혼다 (2000~2005)
혼다 레이싱 F1 팀 (2006~2008)
'''브런 GP 포뮬러 1 팀 (2009)'''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 (2010~)
 '''섀시''' 
BGP 001
 '''엔진''' 
메르세데스 FO108W 2.4L V8
 '''우승 기록''' 
 '''드라이버 챔피언'''
'''(V1)''' 
2009
 '''컨스트럭터 챔피언'''
'''(V1)''' 
2009
1. 소개
2. 상세
2.1. 적절히 맞아 떨어진 기술 삼박자
3. 이후


1. 소개


[image]
모나코 GP에서 폴 투 윈으로 우승한 젠슨 버튼의 모습. 젠슨의 뒤에 있는 차가 '''BGP-001'''이라는 섀시명을 가진 팀의 경주차이다. 당시에는 스폰서가 없어서[1] 누가 보면 마치 테스트카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저 당시 F1에서 가장 빠른 차였다. 일부에선 덕지덕지 붙은 광고판이 없어서 F1카들중 그나마 깔끔하고 보기 좋은 차라고 평가한다.
철수팀의 섀시를 인수해 스폰서 없이 출전했으나, 데뷔 시즌인 2009년 시즌에 더블 타이틀(포뮬러 원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포뮬러 원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을 모두 따내고 유유히 사라진 희대의 레전드 팀으로 이후 메르세데스 GP로 인수되었다.

2. 상세


사실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BAR(British American Racing) 혼다 팀에서 출발한다. F1에서는 그 축적된 기술과 인력이 매우 중요하고 단기간에 이를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새 팀이 생기더라도 밑바닥부터 시작하기보다는 돈이 많은 스폰서가 기존에 존재하던 팀을 사들여 이름을 바꾸고 완전히 새로운 팀으로 재창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런 GP의 전신인 혼다 레이싱 역시 BAR[2]을 당시 엔진 컨스트럭터였던 혼다에서 인수해 창단한 팀이다. 때문에 브런 GP는 어느날 홀연히 나타나서는 맥라렌, 페라리 등을 압도하며 F1을 정복하고 떠난 그런 팀은 결코 아니다. 80년대 터보엔진 시절을 지배했던 '기술의 혼다'가 터보 금지 규정과 함께 F1을 떠난 후, 이번에는 F1 워크스 팀으로 다시 돌아온 것이 저 혼다 레이싱의 정체이다.
그러나 2006년 젠슨 버튼의 1승 이후 변변찮은 성적으로 일관해오다가, 07-08시즌에는 친환경 캠페인이랍시고 2007년에는 새파랗게 도색한 차량에다가, 2008년에는 새하얀 차체에 지구마크를 뒤덮는 해괴한 경주차를 들고와서 스폰서가 다 떨어져 나갔다.[3] 차라리 요즘에 와서야 저런 리버리를 한다면 혹시 모르겠다. 실린더 개수를 줄이는 다운사이징 추세로 가려고 하는 FIA의 정책과도 연관이 깊고, 세계적으로도 환경문제에 관련된것에 관심이 많아지니 이는 곧 팀의 위상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혼다 레이싱의 기술감독이 바로 로스 브런이었다.
로스 브런은 2000년대 초중반에 F1을 지배한 페라리 군단[4] 라인업의 핵심 멤버였으며, 슈마허가 은퇴한 후 혼다가 적극적으로 영입한 인재였다. 다만 그의 손길로 인해 팀이 발전하는 것은 중장기적인 목표였고, 특히 규정이 크게 바뀌는 2009년에 맞추어 대비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경영 악화를 이유로 혼다는 2008년을 마지막으로 F1을 떠날 수밖에 없었고, 적당한 매입자를 찾지 못한 채 로스 브런에게 단돈 1파운드(£)에 넘기게 된다.[5] 그리고 그의 이름을 따서 브런GP(브라운GP)가 창설 되었다.
팀의 구색은 갖추었지만 자칫 잘못하면 2009년 시즌 참여 자체도 엎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섀시는 이전부터 쓰던 녀석을 개량해 진작에 완성했지만 정작 섀시에 얹을 엔진을 구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팀의 참가를 위해 FIA에서 배려를 한 덕분에 메르세데스 엔진을 사용하는 특혜를 얻었다.[6] 당시까지도 이렇게 급하게 훌렁 창단된 신생팀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혼다 때부터 드라이버 라인업을 지키던 젠슨 버튼루벤스 바리첼로 역시 당시까진 평가가 신통찮았다. 둘 다 풍부한 경험을 가졌으나, 버튼은 2006년 1승 이후 크게 두드러진 활약이 없었고, 바리첼로는 베테랑이며 페라리에서 슈마허와 함께한 전적이 있었으나, 언제나 슈마허한테 눌리는 2인자라는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한 드라이버인 동시에 당시 최고령이기도 했다.
그러나 드라이버들은 팀에 끝까지 남아 신의를 다했고, 그렇게 시즌은 개막을 했다.

2.1. 적절히 맞아 떨어진 기술 삼박자


[image]
브런 GP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크게 세가지 요인이 있다. 첫번째는 더블덱 디퓨져, 두번째는 KERS를 달지 않은 것, 세번째는 FIA로부터 메르세데스 엔진을 장착할 수 있도록 배려 받은 것이다.
로스 브런이 팀을 인수했을 시기는 시즌 개막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라 팀은 당장 섀시에 얹을 엔진도 구하지 못한 상태였다. 여기서 FIA는 팀의 딱한 사정을 보고 배려를 해서, 기존 엔진 공급 규정을 예외로 하는 것으로 하고 팀에게 메르세데스 엔진을 구매 할수 있게 해준다.[7] 더블 덱 디퓨저는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가운데에 큰 디퓨저를 하나 더 넣어 두 겹으로 만든 것이다. 그 원리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한데, 디퓨저로 빠져나가는 공기를 두 겹으로 만들어 코너에서의 다운포스를 늘리는 것이다.[8]
이미 시즌 시작 전에 더블덱 디퓨저가 등장할 거란 예고가 있었으며 이미 몇몇팀들은 FIA에 적법성 확인까지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여기서 KERS를 다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있었는데, 브런 GP는 KERS를 달지 않았고[9] 시즌이 개막하자마자 KERS를 달고 나오는 것이 패착이었다는 게 드러났을 땐[10] 이미 서킷에서는 BGP-001이 제일 빠른 차였다. 사실 이미 프리시즌 테스트때부터 KERS가 기록 향상에 별로 도움이 되질 않는 것 같다는 얘기들이 종종 터져나왔고, 때문인지 누가 봐도 KERS를 달지 않은 브론GP의 랩타임이 심상치 않았다는 건 이미 유명하곤 했었다. 테스트중에는 젠슨과 바리첼로의 얼굴에서 입가에 미소가 떠나질 않았다고 하니...
그렇게 시즌은 개막했고 이 팀은 시즌 전반기를 연승 행진으로 완전히 장악했다. 다만 후반기부터 브런 GP는 자금 부족 때문인지 업데이트를 제때 하지 못해 다른 팀들보다 느려지고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버튼은 심지어 같은 팀메이트인 바리첼로에게 포인트 추격을 당했고 레드불페텔웨버 등에게 조금씩 따라잡히기도 했다. 하지만 버튼이 초반에 벌어놓은 포인트가 너무나도 압도적이어서 벨기에GP의 리타이어 빼면 모든 레이스에서 최소 1포인트 이상씩을 계속 적립하였기에 마지막까지 무난히 F1 더블 타이틀을 사수할 수 있었다.
사실 2009년은 대내외적으로 F1의 기술규정이 격변하는 시기였다. 낮은 리어윙과 작고 휘어있는 프론트윙, 그리고 자잘한 카나드 윙들이 사라지고 프론트윙은 낮고 쭉 뻗고 넓은 형태로, 리어윙은 좁고 높게 변했다. 엔진도 전통적인 자연흡기 V8엔진에서 KERS라는 회생 시스템이 하나 추가되었다. 당시 팀들은 이 KERS를 다느냐 마느냐의 차이가 있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적어도 시즌 전반기까지 F1카의 출력에 KERS를 일정 부분 의존하는 것은 패착이었다는 게 드러났고, 높고 좁아진 리어윙을 고려할 때 (리어윙 플랩은 하나밖에 달 수 없었다...) 디퓨저에 무언가 해야 하는 것은 자명했다. 브런 GP는 겉에서 볼 땐 겨우겨우 시즌에 엔트리하는, 간신히 완주해도 다행인 오합지졸 팀처럼 보였으나 그 시즌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술적 요점들을 모조리 가지고 있었고 결정적으로 당시에 가장 강력한 메르세데스 엔진 또한 얻을 수 있었다. FIA도 이 팀이 그렇게까지 좋은 섀시를 가졌을 거라곤 상상조차 못하였기에 메르세데스 엔진 공급을 허락해줬을 지도 모른다.
[image]
그리고 브런 GP의 압도적인 성능 우위는 어디까지나 시즌 전반까지만 유효했다고 할 수 있다. 이후부턴 레드불이 브런GP의 뒤를 무섭게 추격해왔으며, 시즌 말미 즈음에는 당시 F1에서 가장 빠른 차가 브런GP가 아니고 레드불의 RB5가 되었다. 시즌이 점점 지날수록 스폰서가 하나 둘 붙기 시작하더니, 후반부 부터는 버진 갤럭틱, 방코 도 브라질, 이타이파바, 마프레, 캐논 등등의 굵직한 업체가 잠깐 후원을 해주기도 하였다.

3. 이후


그러나 대반전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바로 맥라렌과의 관계에 조금씩 뒤틀림이 보이던 엔진 제공업체였던 메르세데스-벤츠가 오랜 구상이었던 독자적 워크스팀 창설의 일환으로, 높은 차체 개발기술을 지니고 자사의 엔진과의 좋은 궁합으로 시즌을 제패한 브런 GP의 지분을 대부분 인수함으로서 상술했듯, 메르세데스 GP라는 이름의 대형팀으로서 재탄생했다.
게다가 영국태생으로만 팀을 꾸린 맥라렌에 대응해서인지는 몰라도 독일 태생으로만 팀을 꾸리려던 메르세데스는 각각 맥라렌과 윌리엄스로 간 버튼과 바리첼로 두 드라이버를 대체할 초대 메르세데스 드라이버로 일찌감치 니코 로즈버그를 영입해놓았으며 그의 파트너로는 F1에 복귀한 왕중의 왕, 미하엘 슈마허가 팀 메이트가 되었다[11].
노련한 7회 F1 챔피언과 실력을 인정받는 베테랑의 매우 안정 된 드라이버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후에 이 팀은 메르세데스 GP로 재탄생한 후 2013년까지 꾸준히 팀 경쟁력을 키워오다 2014년 기술 규정 변경에 맞춰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렸다. 2014부터 2020년까지 F1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을 계속 석권하고 있으니 예전의 BAR 혼다 시절을 생각하면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일이 아닐수 없다.
[1] 이후에 스폰서가 점점 붙어서 프런트/리어윙에 브리지스톤, 소니 픽처스 같은 광고가 붙기 시작했다.[2] British American Racing, 이 팀을 포기한 이유는 F1에서 담배광고가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팀의 모기업은 바로 던힐로 유명한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로, 1999년 티렐팀을 인수하여 재창단했다.[3] 이는 취지만 좋았지 실로 터무니없는 정책이다. F1과 더불어 모든 모터스포츠에서 스폰서의 광고판은 바로 차량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4] 미하엘 슈마허, 장 토드, 로스 브런, 로리 번.[5] 단, 각종 자금적 지원은 계속된 것으로 보인다. 상식적으로 아무리 로스 브런이 부유하다고 해도, 무슨 재벌이라도 되지 않는 이상 변변한 스폰서도 없이 F1팀을 운영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6] 당시 규정상 엔진 제조사는 최대 2개 팀에게까지만 엔진을 판매할 수 있었고, 메르세데스 엔진은 이미 맥라렌과 포스 인디아가 구매한 상황이었다.[7] 상술했듯이 당시까지만 해도 메르세데스는 정해진 규정의 최대 공급수를 다 채운 상태였다.[8] 더 간단히 말하면, 디퓨저 사이에 조그만 리어윙을 하나 더 단 것이다.[9] 사실 자금이 부족해서 못 달았던 이유가 크다(...)[10] 이 기술은 도입하는것 자체가 당시엔 처음이라서 만들어내는 출력에 비해 무게가 지나치게 무겁고 다루는것 또한 힘들었다. 차라리 없는게 있는것보다 더 나을 정도였다고 한다.[11] 근데 마치 브런GP의 두 드라이버가 떠나버려서 메르세데스가 드라이버를 구한 것처럼 서술되어 있지만, 상술했듯이 메르세데스는 팀을 명실상부한 독일 대표팀으로 만들려고 했다. 버튼은 맥라렌에서 계약제의를 받아 맥라렌으로 갔지만 바리첼로는 이렇다 할 계약이 없었고 메르세데스가 로즈버그와 슈마허와 계약을 해버리면서 사실상 팀에서 방출되어 윌리엄스와 계약을 하게 된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