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마후라

 


1. 빨간색 머플러
2. 대한민국 공군 파일럿의 상징
4. 영화 '빨간 마후라'
5. 미성년자 음란물 사건
6. 온라인 게임
7. 같이보기


1. 빨간색 머플러



2. 대한민국 공군 파일럿의 상징



참고로 군가의 경우 각 절마다 마후라의 색깔과 병과가 다르다. 황색 마후라의 경우는 전차병, 혹은 장갑차병.
공군 웹진 <공감>에 실린 김정렬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의 부인 이희재 여사의 회고에 따르면, 1951년 강릉기지에서 김영환 장군이 형수의 새 치마 색깔이 예뻐서 자투리 천을 얻어다가 머플러로 둘렀다는 것이 통설이다. 당시 치마 색깔은 짙은 자주색이었지만 김영환이 근무하던 강릉시의 시장에서 단체로 맞추던 과정에서 빨간색이 되었다고.
혹은 전 공군참모총장인 장지량 장군에 의하면, 조종사 구출시 시인성 증대를 위해 자신이 김영환 장군에게 건의해서 채택한 것이라고 한다.
그 외에 민간 기원설에는 어떤 조종사의 아내가 남편이 목에 두르고 갈 것이 없어서, 급한 김에 자신의 마후라를 메준 것에서 시작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공군용 머플러 자체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부터 사용되었는데, 적기를 발견하기 위해 사방으로 목을 돌려대야 하는 파일럿의 특성상, 튼튼한 군용 칼라에 피부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른 것이 시초이다. 물론 색깔은...
공군만의 전유물은 아니고, 해군과 육군의 조종사들도 빨간색 머플러를 쓴다. 공군용의 그것과는 약간 생김새가 다르지만 말이다.
현재는 머플러를 두르고 탑승하지는 않지만 붉은색 조종복 내피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비행복은 입지만 따로 머플러를 두르거나 특정 색상의 내피를 입지 않는 부사관 승무원과는 달리 공중급유기에 동승하는 급유통제사는 조종사들과 비슷하게 검정색 내피를 입고 그 위에 비행복을 입는다.
수송기 / 공중급유기 승무원, 정비사 등 비행복은 입는데 조종사가 아닌 공중근무자들은 빨간 머플러를 하지 않는다. 이들은 아무것도 두르지 않거나, 혹한기에는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사제 머플러를 두른다. 링크된 영상을 보면 누가 조종사인지, 누가 동승근무자인지 빨간색 유무로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단, 위에서 언급한 급유통제사는 예외.
드라마 창공에서 고등 비행훈련을 수료한 조종사들에게 수료식 때 매주는 장면을 볼 수 있다.

3. 대한민국 공군공군 군가



빨간 마후라는 하늘의 사나이
하늘의 사나이는 빨간 마후라
빨간 마후라를 목에 두르고
구름따라 흐른다 나도 흐른다
아가씨야 내 마음 믿지 말아라
번개처럼 지나갈 청춘이란다
빨간 마후라는 하늘의 사나이
하늘의 사나이는 빨간 마후라
석양을 등에지고 하늘끝까지
폭음따라 흐른다 나도 흐른다
그까짓 부귀영화 무엇에 쓰랴
사나이 일생을 하늘에 건다
빨간 마후라는 하늘의 사나이
하늘의 사나이는 빨간 마후라
빨간 마후라를 목에 두르고
유성처럼 흐른다 나도 흐른다
부르지 말아다오 내이름 석자
하늘에 피고지는 사나이란다
본래 4번 항목의 주제가였으나, 후에 정식 군가로 인정받았다. 작사가는 4번 항목의 시나리오 작가였던 한운사.
재밌게도 2절은 원래 ‘폭음이’였으나 현재는 ‘폭음따라’로 부른다. 반면 원가수 자니브라더스의 가요로서 부를때는 ‘폭음이’가 아직도 맞다.
후반부에 고음구간이 꽤 많아서 공군 군가들 중에서는 음이탈이 제일 잦은 군가이기도 하다.
공군사관학교등의 대한민국 공군관련 기관에서 행사 때 제창한다.

4. 영화 '빨간 마후라'


빨간 마후라(영화) 문서로. 1964년 최고 흥행 영화.

5. 미성년자 음란물 사건




6. 온라인 게임


넷마블에서 서비스했던 온라인 비행기 게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비행기에 만화풍 캐릭터, 포트리스를 연상케 한 아이템 등 이것저것 짜깁기한 느낌이 강했던 일관성 없는 내용의 게임.
2006년쯤에 망해서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현재는 후속작에 해당하는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라는 게임이 개발되었다. 프리스타일을 만든 JC에서 서비스하며 2009년 9월 오베까지 종료되었다.
그런데 이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마저도 2011년에는 완전히 고사(枯死)되어가고 있다... 지못미.

7.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