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1995년/6월/28일

 

'''6.28(수), 경기시간 : 18:30 ~ 22:46 (4시간 16분),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롯데'''
3
'''6'''
0
2
0
0
'''11(B)'''
0
2
'''24'''
20
3
12
'''삼성'''
1
0
0
0
'''9'''
4
0
0
0
'''14'''
15
2
5
▲ 승리투수: 김상현
▲ 패전투수: 김태한
▲ 세이브: 없음
▲홈런: 임수혁 11호(2회, 롯데), 김성현 5호(6회, 삼성)


[1]
1. 개요
2. 경기 이후
3. 여담


1. 개요


1995년 6월 28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벌어진 롯데 자이언츠삼성 라이온즈막장매치.
대략적인 스코어 변화만 살펴봐도 '''11:1 → 11:14 → 24:14'''로 엄청난 막장성을 간접체험해볼 수 있다.(…) 2009년 5월 15일 경기 전까지 '''역대 한경기 최다득점 기록'''인 38득점을 갖고 있었던 경기이며, 2003년 이 경기를 능가하는 '''역대 최다점수차 역전'''승이 '''될 뻔한''' 경기이기도 하다. 무려 10점차 역전.[2][3] 물론 역전하고 바로 전광판에 '''B'''를 찍으며...[4] 결국 경기가 끝난 후 아래 짤방처럼 삼성 구단은 전광판에 사과문까지 띄워야 했다.
[image]
당시 신문기사에 언급된 내용만 보면
  • 프로통산 경기 최다 득점 : 38득점-36타점 (종전 32타점-32득점)
  • 프로통산 팀 최다 득점 : 24득점-23타점 (종전 23득점-22타점)
  • 프로통산 한경기 최다타석 (9이닝 기준) : 109타석 (종전 103타석)
  • 프로통산 한경기 최다타수 (9이닝 기준) : 91타수 (종전 90타수)
  • 프로통산 한경기 최다 2루타 : 12개 (종전 10개)
  • 프로통산 한경기 팀 최다 2루타 : 롯데 9개 (종전 8개)
  • 프로통산 팀 최다투구 (9이닝 기준) : 삼성 236구 (종전 226구)
  • 프로통산 한경기 최다 만루홈런 : 2개 (종전 92년 6월 5일 빙그레VS삼성)
한 경기에 만루홈런이 2개나 나오기도 했는데, 첫번째는 2회초 임수혁이 최한림을 상대로, 두번째는 6회말 김성현김상현을 상대로 기록했다.

2. 경기 이후


이 해 롯데는 소총타선과 발야구를 앞세워 시즌 3위를 기록 후 플레이오프에서[5] LG를 누르고 한국시리즈까지 나가서 OB와 명승부를 펼쳤다. 반면 삼성은 1994~1996년 556으로 대변되는 '''당시''' 구단 역사상 '''최악'''[6]의 암흑기(?)를 지나던 중. 어찌보면 삼성의 암흑기 시절을 상징하는 경기라 할 수 있었던 경기.
삼성 라이온즈는 이날 이후 2001년 한국시리즈/4차전에서 한이닝 12점 C성을 보여주는 개망신을 당하기도 했으며, 2008년 6월 1일 SK를 상대로 8회에 11실점하며 또 한번의 B성을 보여줬다. 또한 그날 경기에서 18:0으로 패배하며 '''무득점 최다 점수차 패배'''라는 불명예 기록을 안았다.[7]약 18년 후 현충일에 넥센을 상대로 점수가 아닌 볼넷 개수로 B성을 보여주었다. 2014년 5월 25일에는 홈에서 넥센 히어로즈를 상대로 '''실점이 아닌 득점으로''' B성을 보여주면서 완승을 거두었다.

3. 여담




[1] 굳이 미식축구 점수방식으로 따지자면, 롯데는 터치다운+컨버전 3개에 드롭골 1개, 삼성은 터치다운+컨버전 2개다(…).[2] 2013년 5월 8일, SK 와이번스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508 대첩을 만들어내며 '''10점차 역전승'''에 성공하였다.[3] 그리고, 2017년 7월 5일, 11점차를 역전하고도 진 경기가 나왔다.[4] 스코어보드에 한자리 수 밖에 표시할 수 없는 구형 전광판(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무등 야구장, 목동 야구장 등)의 경우, 10점부터는 알파벳으로 표기한다. 2009년 6월 11일 지바롯데가 히로시마를 상대로 한 이닝 최다인 15득점을 기록했을 때는 '15'라고 표기한 것과 비교된다.[5] 이 해는 3, 4위간 승차가 3.5게임 이상 날 경우 준플레이오프를 생략하는 규정이 있어 4위 해태는 포스트시즌에 나가지도 못했다.[6] 삼성이 '''5위 이하'''의 성적을 기록한 해는 1994~96년, 2009년뿐이었지만, 이젠 '''더 큰 비극이 생겨버리고 말았다.'''[7] 여담으로 프로야구 경기 전체를 통틀어 최다 점수차 경기는 1997년에 삼성이 LG를 27:5, 22점차로 이긴 경기이다. 어째 계속 삼성과 엮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