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전
1. 개요
1. 개요
삼신전이란 말 그대로 2003년부터 2년간 스타판을 압도하던 '''최연성'''의 4번째 우승한 EVER 스타리그 2004 이후 주춤하자 2004년 말부터 2005년 초까지 압도적인 포스를 풍기며 전성기를 맞은 선수들중 별명이 신인 선수들을 말하는데 이때 멤버는 투'''신''' 박성준, 머'''신''' 이윤열, 운영의 '''신''' 박태민을 말한다. 당시 이 시기와 겹친 대회는 제2회 KT-KTF 프리미어 리그, 당신은 골프왕 MSL, IOPS 스타리그 04~05 이 세 대회였고, 이 세 대회에서 세 선수가 두 대회 이상 4강에 진출하거나 결승 진출 혹은 우승을 하였는데 그 세 선수가 바로 박성준, 이윤열, 박태민이다. 공교롭게도 이 시기는 최연성이 EVER 스타리그 2004를 우승한 이후 개인리그에서 잠깐동안 부진에 빠져 버린 시기와 겹치면서 세 선수가 동시에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최연성이 이윤열과 박태민의 천적이었고, 박성준에게도 호각인 선수였기 때문에 이 세 선수의 기량 발휘는 더욱 쉽게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
다만 삼신전이라는 호칭은 좀 끼워맞춘 느낌도 없지 않다. 제대로 신의 의미를 가진 별명은 박성준의 투신 뿐이었고, 이윤열의 별명인 머신은 기계 같은 플레이라고 해서 machine이라고 불린 거지, 神과는 아무 관계 없으며 머신 자체도 다양한 플레이 스타일을 구사하는 임요환에 대비하여 까는 멸칭에 가까운 별명이었다. 박태민의 별명은 원래 운영의 마술사였지, 운영의 신이라는 별명은 딱히 쓰인 적이 없다. 팬덤에서 투신, 머신에 끼워 맞추다 보니 이 시기에 잠시 운신이라고 불렸을 뿐. 정확히는 삼신전이라는 표현이 있기 전부터, 당시 스갤 등지에서 테란 본좌 3인방인 임이최를 묶어부르는 말 중 '''머씨형제'''라는 표현이 있었는데, 그 내용인즉 임요환('''머리'''), 이윤열('''머신'''), 최연성('''머슴''')이었다. (머머전의 유래가 바로 이것이다.) 임요환은 머리가 크다고 놀리는 스갤의 문화가 있어서 머리였지만, 최연성은 듣고보면 머슴같은 이미지(또는 머슴처럼 팀단위리그에서 구르는 이미지)가 있었을 뿐 딱히 단독으로 머슴이라고 불리지는 않았다.[1] 여기에 또 '머'자 돌림으로 끼워맞추기 위해 천재테란 정도로 불리던 이윤열을 기계처럼 잘한다고 하여 '머신'으로 집어넣어 머씨형제로 부르다가, 마침 박성준의 별명이 '투신'으로 잡히자 머씨형제를 언급할 때나 쓰이던 이윤열의 '머신'을 가져다 붙인 후, 박태민의 별명인 '운영의 마술사'를 슬쩍 '운영의 신'으로 바꿔넣어 삼신전이라는 표현을 만들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때 박성준은 제2회 KT-KTF 프리미어 리그 우승, IOPS 스타리그 04~05 준우승을 수상하였고, 이윤열은 제2회 KT-KTF 프리미어 리그 3위, 당신은 골프왕 MSL 준우승, IOPS 스타리그 04~05 우승을 수상하였고, 박태민은 제2회 KT-KTF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 당신은 골프왕 MSL 우승, IOPS 스타리그 04~05 3위를 수상하면서 당시 세 대회에서 박성준의 당신은 골프왕 MSL 4위 입상 실패를 제외하면 세 선수의 이름을 각종 대회 4위 이내에서 찾아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무엇보다 이 세 선수의 당시 이 시기에 보여준 기량과 포스는 많은 팬들을 열광시키기에 충분했다. 그 중에서도 이윤열과 박태민은 이 시기 당신은 골프왕 MSL 승자결승, 결승전, IOPS 스타리그 04~05 4강 등 여러 상위 라운드에서 서로 자주 만나면서 명승부를 펼쳤고 이들의 매치업은 팀달록이라는 단어가 새로 탄생할정도로 임진록 이후 최고의 테저전 라이벌 매치로 인식되었다. 또한 이 시기 박성준과 박태민 두 저그들의 엄청난 활약과 포스는 많은 저그팬들을 열광시켰고 이후 이 두 명을 묶어 '양박저그'라는 단어를 만들어낸다. 동시에 변태준으로 이 두 선수와 같이 묶이던 변은종은 그 존재감이 약해지고 만다. 거기에 팀단위대회에서도 이윤열이 소속된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가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파이널 준우승, MBC무비스 팀리그 준우승을 기록하고, 박태민이 소속된 GO도 MBC무비스 팀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팀단위대회에서도 두 선수는 큰 존재감을 드러냈다.[2]
그러나 안타깝게도 세 선수가 정복하던 시기는 우주닷컴 MSL을 기점으로 하여 너무 일찍 끝나버리고 만다. 세 선수는 이 대회에서 패자조 8강 1차 광탈, 소위 1라운드 광탈을 하게 되면서 당시 1라운드 광탈을 하면 바로 하부리그인 서바이버리그로 강등되는 시스템에 따라 순식간에 서바이버리그로 세 선수가 모두 강등되는 결과가 나오면서 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다. 박성준은 이재훈에게 0:2로 패하면서 광탈당하고 서바이버리그로 강등, 이윤열은 홍진호에게 1:2로 패하면서 광탈당하고 서바이버리그로 강등, 박태민은 박용욱에게 0:2로 패하면서 광탈당하고 서바이버리그로 강등된다. 무엇보다 박태민과 이윤열은 지난 대회인 당신은 골프왕 MSL에서 각각 우승자와 준우승자였고, 박성준도 반대편 IOPS 스타리그 04~05의 준우승자여서 이 사건은 팬들에게 더욱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다행히 박성준은 EVER 스타리그 2005 우승,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준우승, 비공식전인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3위를 차지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개인리그에서 EVER 스타리그 2008 우승 전까지 큰 부진을 겪게 되고, 이윤열은 비공식전인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준우승 이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우승, 프링글스 MSL 시즌2 16강 진출 전까지 양대 리그 본선에 오랫동안 복귀하지 못하게 될 정도로 마찬가지로개인리그에서 큰 부진을 겪게 되고, 박태민도 EVER 스타리그 2005 4위 이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프링글스 MSL 시즌1 전까지 양대 리그 본선 무대에 복귀하지 못하고, 복귀를 해도 곰TV MSL 시즌2 4강 진출 전까지 개인리그에서 큰 부진을 겪게 되면서 삼신전은 그 기간이 오래가지 못하게 된다.
비록 짧았지만 이 시기가 아직도 수많은 e스포츠 팬들에게 회자가 되고 있는 이유는 스타1의 리즈시절이었던 2004년부터 2006년까지의 시기였고, 그 중에서 각기 다른 스타일을 보여주고 동시기 세 대회에서 서로 우승을 나눠먹었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냈기 때문에 아직도 팬들에게 회자가 되는 것이다.
[1] 초창기 최연성이 갖고있던 별명은 주로 괴물, 치터, 헐크 등이었다. 이중이, 죄연성, 버스기사 같은 별명은 데뷔이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 실적과 사건이 생긴 후의 별명이다.[2] 박성준이 소속된 POS는 팀 전체적으로는 약팀에 가까워서 대부분의 프로리그나 팀리그 본선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심지어 예선에서도 탈락한 적이 많았다. POS가 본격적으로 강팀으로 올라선 시기는 MBC GAME HERO로 재창단 된 시기로 2006년에는 프로리그 전기리그 준우승, 후기리그, 통합챔피언전 우승을 기록한다. 반면에 이윤열이 속한 팬택은 2005년 프로리그부터 2006년 전기리그까지는 그래도 중위권을 유지했지만 위메이드 폭스로 재창단하기 전까지의 팬택은 2006 프로리그 후기리그와 2007 프로리그 전기리그 모두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박태민은 이후 SK텔레콤 T1으로 이적하면서 전설적인 오버트리플크라운에 2005 프로리그 전기리그 결승전 MVP를 차지하지만 그 이후 기량은 많이 쇠퇴해버리면서 T1은 2006 프로리그 후기리그부터 2007 프로리그까지 최하위를 기록한다. 거기에 박태민은 개인리그마저도 곰TV MSL 시즌2 전까지 4강에 오르지 못하는 등 부진에 빠지고 만다. 반면 박태민의 전 소속팀인 GO는 박태민 없이도 2005 프로리그 전기리그 3위, 후기리그 4위, 그랜드파이널 3위, 이후 CJ 엔투스로 재창단 된 2006 프로리그 전기리그 3위, 후기리그 준우승, 2007 프로리그 후기리그 준우승 등의 뛰어난 성적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