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좌평
1. 개요
'''上佐平'''
5세기~7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백제시대의 '''최고관직'''. 의미는 기존에 존재하던 백제의 고위귀족직 좌평들 중에서도 그들의 대표격으로 상좌평직을 전지왕 재위 3년인 408년에 설치한 것이다. 이후 백제 멸망기까지 운용되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서만 등장하며, 일본서기의 대좌평=상좌평 설로 보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 상좌평 직위에 확인되는 인물들의 성씨는 국성인 부여씨, 대성팔족에 해당되는 해씨, 사택씨가 있다.
2. 역임자
- 부여신: 전지왕의 형제로 아신왕의 서자. 처음으로 상좌평 직위에 오른 인물로 408년에 임명되어 429년 10월 사망할 때까지 상좌평을 역임했다.
- 해수: 406년 내법좌평으로 임명된 인물. 기록상 부여신이 사망한 이후인 429년 상좌평에 올랐다고 한다. 고위직에 임명된 것을 보면 전지왕을 옹립하거나 지지한 것으로 추정되며, 455년 이전에 정계에서 물러났거나 사망한 걸로 여겨진다.
- 부여문주: 개로왕의 아들 혹은 동생으로 후일 문주왕으로 즉위한다. 문주왕 즉위시기의 기록으로 보면 개로왕의 즉위(455년)와 함께 상좌평에 임명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좌평직을 언제 그만두었는지는 불분명하나 계속 재임했더라도 475년 9월 장수왕이 백제 수도인 한성을 함락시키면서 개로왕이 문주왕에게 백제 왕위를 승계시키면서 물러났을 가능성이 높다.
- 사택기루: 성왕(백제) 시기의 인물. 관직은 일본서기에 따르면 상좌평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같이 나온 중좌평 목례마나, 하좌평 목윤귀와 함께 등장하고 있어서 위의 상좌평들과 동일 관직이 아니라 삼좌평제를 운용했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무령왕 시기부터 좌평 앞의 수식어가 사라지므로 이 시기에 6좌평 체제에서 상중하좌평 체제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 의자왕 대의 상좌평(가칭): 이름미상. 659년 여우 떼가 궁중에 들어왔는데 흰 여우가 상좌평의 책상에 올라 앉았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후 660년 백제멸망전 당시 상좌평이 제사에 쓸 가축과 음식들을 당나라 장군 소정방에게 많이 보냈다가 거절당했다는 기록이 끝이다. 상좌평=대좌평설을 신뢰할 경우 사택천복과 동일인일 가능성이 있다.
3. 대좌평
이들은 상좌평이 아닌 '''대좌평大佐平'''으로 기록되는 인물들이다. 상좌평과 동일한 관직으로 추정하는 경우가 많다.
- 사택지적: 일본서기의 기록상 대좌평으로 기록되어 있다.
- 사택천복: 의자왕 시기의 인물. 660년 백제가 멸망한 후에 당나라로 끌려갔다. <삼국사기>에는 대좌평으로 기록되어 있다. 항목 참조.
- 사택소명: 일본으로 망명한 백제 유민. 673년 음력 6월 사망했고 텐무 덴노가 그에게 대좌평 관위를 추증해준 점을 보면 고위 귀족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 기타
신채호가 저술한 조선상고사에서는 성충이 상좌평을 역임한 것으로 나오는데 삼국사기는 그냥 좌평으로 기술되어 있어 상좌평이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삼국의 다른 최고 관직들인 고구려의 막리지, 신라의 상대등(이벌찬)에 비하면 인지도가 가장 적다.
5. 참조문헌
- <노중국,4-5世紀 百濟의 政治運營;近肖古王代-阿莘王代를 중심으로(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