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715
1. 노선 정보
2. 개요
중부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30.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09년 6월 20일에 서부면허시험장 대신 월드컵파크5단지 경유로, 회차구간이 월드컵경기장 서측 우선 경유에서 월드컵파크2단지 우선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26일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와 동시에 640번에서 2대가 증차되었다.
- 2016년 12월 26일에 신월동 첫차가 5시에서 4시 40분으로 앞당겨졌다.
- 2018년 10월 1일부터 일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4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0대, 저상버스 10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사실상 신월동/신정동/목동에서 상암동으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571번은 편도인 목동서/동로 경유라 혼잡하고, 성산대교 경유라 소요시간이 훨씬 길다. 특히 출퇴근시간대는 차이가 더 크다. 그리고 상암동을 스쳐간 후 서울월드컵경기장으로 가는 571번과 달리, 디지털미디어시티 내부로 들어온다.
- 목동과 상암동에서 가양역으로 가는 수요가 가장 많다. 그 외에는 디지털미디어시티 출퇴근 수요가 나름대로 있으며 '신월동 - 등촌역' 구간은 602번과 수요를 분담한다.
- 방송국을 많이 경유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CJ E&M 센터, MBC 상암동 신사옥, SBS 등촌동 사옥[2] , YTN, tvN, JTBC, 채널A 상암동 사옥 이렇게 총 7개 방송국을 경유한다.
- 상암동 회차구간의 선형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간다면 월드컵경기장북측 정류소에서 하차해서 걸어가는 것을 추천한다.[3]
- 673번과 함께 가양대교를 건너는 노선이며, 가양대교와 상암동을 오갈 때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을 아주 살짝 지난다. 다만 해당 구간에 정류장이 없기 때문에, 고양시 경유 노선으로 볼 수는 없다.
- 강서고, 대일고, 영일고, 경복여고, 마포고, 상암고 등 많은 고등학교를 지나기 때문에 아침저녁으로 학생들의 이용이 많은데, 출퇴근하는 직장인들까지 자꾸 몸을 밀어넣다보니 승객들의 고통이 상당하다.
- 가양대교를 건너 마포중고등학교 정류장으로 올 때 안내기에는 곧 도착이라고 뜨지만, 수시로 정체가 걸리기 때문에 다른 노선의 버스가 먼저 도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 다른 신월동발 중부운수 노선들과 같이 전산상 '중부운수앞' 정류소는 사라졌지만 승차가 가능하다.
- 중부운수 노선들 중에서 배차도 좋은 편이면서[4] 빗자루질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막히는 구간이 많아서 벌어지는 경우도 있다. 2008년부터 640번에서 차를 빼와서 증차를 많이 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신정역, 목동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촌역, 가양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