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악병

 


진료과
소화기내과
관련증상
복통, 설사
관련질병
빈혈
'''Celiac Disease'''
1. 개요
2. 상세


1. 개요


소장에서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밀에 포함된 글루텐에 대한 감수성(hypersensitivity)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다고 추정되는 질환이다.[1]
관련 유전자는 HLA-DQ2.

2. 상세


갑론을박은 있지만,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원인은 밀가루 음식 속 글루텐이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채, 소장 점막에 남아 면역계를 자극하면서 복통, 설사, 복부팽만, 식욕부진 등 소화기 질환을 비롯한 자가면역 질환, 천식, 비염, 두통 등 을 유발한다고 알려져있다. 환자의 일촌간 유병률이 약 10% 정도 되는 유전병이다.
특히나 염증으로 인해 흡수 불량이 발생해, 지용성 비타민 결핍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비타민D 부족으로 인한 골다공증, 비타민K 부족으로 인한 응고장애, 비타민B12 결핍으로 인한 악성 빈혈이 발견될 수 있으며, 염증이 십이지장에 영향을 줄 경우 철분 부족으로 인해 만성 빈혈을 겪을 수도 있다. 특이한 증상으로, 글루텐 섭취시 포진성피부염(dermatitis herpetiformis)이 나타나기도 한다.
보통 생후 2주~1년 정도면 금방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성인이 되어서야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2] 혈액 내에 항근내막(anti-endomysial) 및 항글리아딘(anti-gliadin) 항체가 나타나게 되며, 정확한 진단은 조직검사를 해보면 소장 세포의 융모가 납작해진(flattened villi) 것을 발견하게 된다.
치료법은 딱히 없다. '''글루텐이 포함된 음식을 피하고, 부족한 비타민 등을 보충'''함으로서 치료해야 한다. 글루텐이 포함될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 등이 있다. 그냥 일반적인 밀가루 음식은 다 포함된다고 보면 될듯.[3] 다만 이런 음식들을 먹고 속이 더부룩해지는 경우는 일반인들도 종종 있을텐데, 사실 이건 글루텐보단 그냥 음식 자체가 가지는 수분 함량이 낮다보니 호화(糊化) 정도가 이나 보다 낮아서 소화하기 힘든 경우일 가능성이 더 높다. 아님 유당 불내증처럼 일종의 밀 불내증일 수도 있다.
국내에는 이 병을 가진 환자가 보고된 경우가 2016년 2월 기준으로 딱 '''1건''' 밖에 없고[4][5], 동양인과 흑인은 셀리악병과 관련된 유전자가 극히 드물다고 평가받는다. 반면 서구권에서는 3~40% 비율로 셀리악병과 연관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비율 자체는 미국의 경우 약 1% 정도라고 한다. 참고로 발병률은 미국의 경우 133명당 1명이다.
세계적 테니스 스타 노박 조코비치가 이 병 환자였다. 이 사실을 몰랐던 커리어 초기만 해도 경기전에 글루텐이 있는 음식을 먹으면 컨디션이 뚝 떨어져 뛰어난 기술에도 불구하고 장기전에 약점을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2010년 쯤에야 발견한 조코비치는 식단을 완전히 바꾸고, 식이요법을 통해 컨디션 관리를 하면서 2011년부터는 강철체력을 장착해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FC 바르셀로나의 축구선수 이반 라키티치가 셀리악병 환자로 알려져 있다. 이쪽은 2010년대 들어서야 식이요법으로 제법 효과를 봤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이 나타날 사람만 나타나는 병이고, 여태껏 글루텐이 첨가된 음식을 먹고 별다른 소화 장애가 없었다면 발병을 신경 쓸 필요가 없는 병이다. 다만 위에 말한 조코비치 사례처럼 몸 관리가 필수인 운동선수조차도 자기 증상을 모른채 살 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이 병을 이용한 공포 마케팅이 제법 흔하다. 월마트 식료품 코너에 가면 한 제품 걸러 하나 꼴로 GLUTEN-FREE라는 글씨를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다만 국내나 동아시아권이 아닌 서구권에서는 상술했듯 인구 대비 1/3 수준의 환자가 관련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나름 신경써야 할 질병이기에 해당 지역에서는 공포 마케팅이라기보단 건강을 위한 필수 표시에 가깝다고 보는게 좋다. 반대로 서구권에서는 드물지만 동아시아권에서는 흔한 유당불내증의 사례를 생각하면 될듯하다. 글루텐을 위한 변명.
참고로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증의 경우(Non-celiac gluten sensitivity) 그 유병률은 0.5~13%에 달한다.
참고: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1] 2014년 2월 미국의 과학 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는 셀리악병의 원인을 글루텐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칼럼이 실리기도 하는 등 원인 자체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 있는 상황이다.[2] 사족으로 급성인 경우는 거의 아나필락시 쇼크 수준. 심한 경우는 다른 사람과 키스할 경우 '''그 사람의 타액에 섞여있는 미량의 글루텐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 경우는 이승탈출 넘버원에 가까우니 알레르기가 없다면 굳이 피할 필요는 없다.[3] 사실 밀 뿐만 아니라 보리, 호밀 등에도 글루텐은 함유되어 있는데, 유독 밀가루가 언론에 장식되는 이유는 아무래도 소비량이 거대하기 때문으로 보인다.[4] 기사 및 사례보고에 따르면 37세 여성. 무려 '''15년 전부터''' 복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등으로 고생했으며 진단 5개월 전에는 다발성 골절 치료를 받았다고 진술했다.[5] 물론 앓고 있더라도 증상이 심하지 않아서 그냥 사는 것일수도 있다. 그걸 감안해도 수치가 서구권 대비 확연히 낮은 편이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