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아 알렉세예브나
1. 소개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황녀이자 섭정으로 황제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의 셋째 딸이자 표도르 3세, 이반 5세의 동복누나, 표트르 1세의 이복누나.
2. 생애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가 승하하고 장남 표도르 3세가 황제의 자리에 올랐지만 자식을 남기지 못 하고 죽자 미워하던 새엄마의 자식 표트르 1세가 황제에 오르는 것을 반대해 스트렐치들을 동원해 반란을 일으켰다가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공동황제에 오르면서 소피아가 섭정을 맡는 것으로 되었다.
섭정이 되어 국정을 돌보다 나선정벌이 일어나 1687년 봄에 청나라에서 병력 7천을 파견해 알바진을 공격할 때 사신을 베이징에 파견해 협상을 제안했고 강희제가 수락하면서 네르친스크 조약이 맺어져 공격은 9월은 중지되었다. 1689년 오스만 제국 및 청나라에 패한 것을 구실로 봉기한 표트르 1세에 의해 모반죄로 체포되어 노보데비치 수도원에 갇혔다가 1698년에 표트르 1세에게 대항하려고 했지만 사전에 발각되었고 결국 체포되어 강제로 수녀원에 보내져 수녀로 살게되었는데 수녀원에서도 방에서 유폐되었고[1] 유폐된지 6년뒤에 46세로 사망한다.
[image]
러시아의 대 화가 일리야 레핀이 1879년에 그린 '노보데비치 수도원에 유폐된 소피아 공주'. 소피아 공주는 권력을 잃고 몰락한 사람답게 매우 심란한 표정을 하고 있고 창 밖에는 교수형당해 메달린 소피아의 측근들의 시신이 보인다.
3. 녹정기의 소피아
위소보와 잠시 바람을 피운 나찰국( = 러시아 제국)의 황녀로 남자를 좋아하고 좀 머리 빈 공주님으로 등장한다. 첫 등장부터 심심해서 경비병과 간통하고 있다가 위소보와 만나게 되며, 위소보와 함께 지하실에 숨게 되지만 어둠 속에서 위소보와 키스하고 그를 애무하는 등 여러모로 음란한 성품의 소유자. 이후 막사과(모스크바)로 가는 길 내내 위소보와 육체관계를 맺게 되고 그를 남자 황후로 삼아서 곁에 두겠다고 하는 바람에 위소보가 기겁한다. 이래뵈도 작중 위소보가 관계를 맺은 2번째 여자.[2] 정치적으론 머리가 비었지만 언어적으론 나쁘지 않은지 위소보로부터 어느 정도의 중국말을 배우게 된다. 유폐된 후 위소보의 조언을 통해 스트렐치들의 난을 선동하여 정권을 뒤엎고 처음에는 여자 차르가 되려 했지만, 법률상 불가능하다는 말에 위소보가 도르곤의 예시를 들어 섭정의 지위에 오르라고 조언하자 섭정이 된다. 이후 여러 남자 애인들을 거느리게 되며 위소보와 마지막으로 작별의 관계를 맺은 후 청나라로 돌려보낸다. 위소보가 소피아를 꼬신 덕분에 오삼계의 반청 음모에서 러시아 제국이 이탈한다. 나중에 건녕공주가 위소보가 소피아와 간통한 걸 어떻게 알았는지 그걸 추궁하면서 위소보를 구타한다.
나중에 네르친스크 조약 체결 파트에서 다시 등장하는데, 위소보를 잊지 못해서 위소보를 모스크바로 초대하지만, 위소보가 러시아인의 아첨에는 넘어가지 않겠다면서 끝내 안가고 대신에 자신을 조각한 석상을 하나 보내준다. 소피아는 어이없어 하지만, 그런데로 그 석상을 아끼다가 나중에 정변으로 쫓겨나면서 그 석상이 부서지고 모스크바에서 석상의 잔해가 만지면 아들을 낳을 수 있는 영물로 남았다나 뭐라나? 여담으로 위소보가 소피아와 밀당을 하면서 하는 말들이 황당무계한데, 선교사를 시켜서 만약 소피아에게 계속 중국의 북방을 침범하면 러시아로 쳐들어가 러시아 남자들을 모두 죽여 앞으로 침상에 중국 남자만 올릴 수 있게 만들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이걸 들은 선교사가 세상에 중국과 러시아 두 나라만 있는게 아닌데 러시아 남자를 다 죽인들 소피아 공주가 중국 남자하고만 동침할 이유가 어딨겠냐고 묘한 부분에서 현실적으로 어이없어하는 것이 압권.
소비아 공주가 등장하는 파트에서 김용 선생의 중화중심주의를 엿볼 수 있는데, 중국의 교활함과 나찰국의 순진함(?)을 대비시키며 은근한 디스를 한다. 위소보의 농담 같은 정치적 조언 하나로 스트렐치의 난이 일어나게 만드는 묘사는 그 한 예.
참고로 작중에서 한자로 음차된 러시아어 대사가 몇 개 있는데, 얼핏 음차된 한자를 보면 괴이하기 짝이 없지만 중국어 발음으로는 나름 비슷하다.
- 혁랍소(赫拉笑; hèlāxiào)
хорошо(하라쇼). 중국어 발음으로는 '허라샤오' 정도. 위소보가 소피아를 따라 러시아에서 일으킨 혁명이 성공하자 소피아가 연신 "혁랍소! 혁랍소!"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오랍(烏拉; wūlā)
Ура(우라)! 중국어 발음으로는 우 라!.
- 연특(年特; niántè)
нет(니엣). 중국어 발음으로는 니엔터! 정도 되어서 괴리감이 조금 있다. 소피아가 스트렐치들을 선동할 때 스트렐치들이 흥분해서 외친 말인데, 소피아의 연설에 동조하는 내용이었지만 위소보는 이 말 밖에 못 알아들어서 반란이 실패한 줄 알고 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