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

 



'''수서
隋書
History of Sui
'''
'''저자'''
위징
'''시기'''
7세기
'''언어'''
중고한어
'''권 수'''
85권
'''분량'''
581년 ~ 618년 (37년)
수문제 원년 ~ 수공제 2년
1. 개요
2. 구성
3. 의의와 평가

[clearfix]

1. 개요


隋書
중국의 24사 중 하나이며, 정관오사(貞觀五史) 중 하나이기도 하다. 622년, 영호덕분(令狐德?)이 남북조시대의 역사와 수나라의 역사서 편찬을 주청하였다. 이러한 국책사업은 정관 연간에 결실을 맺게되는데 양서(梁書), 진서(陳書), 북제서(北齊書), 주서(周書) 등과 함께 동시에 수서가 편찬되었다. 수서는 636년, 장손무기(長孫無忌)와 위징(魏徵) 등이 완성한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으로 구성된 것과 656년. 우지녕(于志寧) 등이 완성한 다섯 왕조의 지(志) 30권으로 구성된 것을 합간하여 부른다.

2. 구성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으로 총 8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의의와 평가


당나라는 당시 통일제국으로 발돋음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 역사를 정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그 과정 속에서 수서가 편찬된 것이다. 수서는 제기와 열전 그리고 지까지 편입시켜서 오대사지(五代史志)라고도 불린다. 수서는 분명 이념적인 성격이 강한 역사서이며 그래서 수나라의 멸망을 당고조 이연이 수공제 양유에게 선양받은 618년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당나라의 정통임을 어필하기 위한 서술임이 분명하다. 어쨌거나 동일한 시기에 만들어진 북사를 제외한 나머지보다는 그 내용이 풍부하다. 따라서 수서의 사료적 가치는 상당하다.
다만 한국 고대사와 관련해서는 잘 안 알려진 떡밥의 요람. 신라를 고구려 패잔병이 세웠다느니, 신라 왕이 백제 출신이라느니(...), 신라가 백제에 복속되어 있었다느니, 백제와 신라가 왜를 대국으로 섬겼다느니 하는 기록이 있다. 다만 이 부분은 어디까지나 멀리 중국에서 입수한 불분명한 소식들을 쓴 것으로, 특히 괴상한 뜬소문이 많은 신라의 경우 6세기 중반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점령하기 전까지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황해에 항구가 없어, 중국과 교류한 역사가 삼국 중 가장 짧았다.[1] 때문에 수서의 기록은 한국 현지의 사서들이나 금석문과 상충하는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즉, 잘못 알려진 잘못된 사실들과 기록, 오해들도 전부 기록되어 있는 교차검증이 반드시 필요한 사서라고 보는 게 옳다. 이는 반대편 바다 건너편 일본서기와도 마찬가지다.
패잔병에 대한 기록을 자세히 보면, 고구려 동천왕 시절에 위나라 관구검이 고구려를 격파하자, 남쪽으로 도망간 이들이 신라를 건국 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지 동이전에는 마한 출신의 사람이 진한에서 왕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추정컨데 이 기록을 재편집하며 마한=백제 진한=신라로 부풀어진게 아닐까 하는 해석이 있다. 또 이런 관점이서 보면 그렇게 틀린 말도 아니다. 고로 완전히 근거없는 소리는 아니라는 것이다.

[1] 몇 차례 고구려나 백제 사신단에 딸려 간 적은 있는데, 백제 사신은 신라 사신이 중국어를 모르는 점을 이용해 신라를 백제의 속국이라고 중국에 이야기하기도 했다. 양직공도에서 신라(사라)가 백제 속국 중의 하나로 나온 것도 이런 일방적인 언플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