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한어

 




시경의「隰有萇楚」를 중고음으로 읽은 영상(48초부터). 조기 중고한어와 만기 중고한어의 차이 역시 확인할 수 있다. 상고한어 문서에도 같은 구절을 상고음으로 읽은 버전이 있으니 비교해 보고, 아래의 한국 한자음과도 비교해 보자.

隰有萇楚(습유장초):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枝(의나기지): 무성한 그 가지

夭之沃沃(요지옥옥):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知(요자지무지): 아무것도 모르는 네가 부러워라

隰有萇楚(습유장초):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華(의나기화): 무성한 그 꽃

夭之沃沃(요지옥옥):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家(요자지무가): 집이 없는 네가 부러워라

隰有萇楚(습유장초): 진펄에 장초나무

猗儺其實(의나기실): 무성한 그 열매

夭之沃沃(요지옥옥): 싱싱하고 부드럽다

樂子之無室(요자지무실): 짝 없는 네가 부러워라

- 출처

1. 개요
2. 상세
3. 상고음과 조기중고음 사이의 변화
4. 성모
4.1. 조기중고음 성모
4.1.1. 순음
4.1.2. 설음
4.1.3. 치음
4.1.4. 아음
4.1.5. 후음
4.1.6. 반설음·반치음
4.2. 만기중고음 성모
5. 운모
6. 성조


1. 개요


중고한어(中古漢語)는 남북조 시대부터 , , 오대십국, 남송의 멸망 때까지 약 천년 간 쓰인 중국어를 말한다.

2. 상세


중고한어의 음운에 우선 사용된 소스는 601년에 발간된 운서(韻書)인 《절운(切韻)》초판 및 그 개정, 확장판이었다. 그러나 《절운》에서 음을 표기하는 데 쓴 반절이라는 방식은 점진적인 개선을 거치긴 했지만 정교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재구과정에서 칠운의 음운체계를 좀더 정교하게 분석한 12세기 중반의 《운경(韻鏡)》등 다른 사료도 이용하였다.《운경》은《절운》이 발간된지 수 세기가 지난 뒤 쓰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음운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몇몇 언어학자들은 《절운(Qieyun)》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조기중고한어(Early Middle Chinese)로, 그리고 《운경(韻鏡)》이 쓰일 당시의 중국어를 만기중고한어(Late Middle Chinese)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 베트남어의 한자 발음이 이 시대의 발음에서 유래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으며 중국 남방 방언에 상대적으로 중고음의 자취가 많이 남아있다. 현대 중국어 방언의 한자음은 대부분 만기중고음에서 갈라져 나왔는데 그래서 한국어일본어, 베트남어의 한자 어휘들이나 중국 민방언이나 오방언, 객가어, 광동어가 비슷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중국의 여러 방언들이나 한국어, 베트남어, 일본어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한자음이 중고한어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비슷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일본어의 경우는 아예 당음이라고 따로 분류할 정도.
중고시대 때부터는 중국에 음운학의 개념이 어느 정도 정립화되어, 음절구조를 성모(聲母), 운모(韻母), 그리고 성조(聲調)로 분류하였다.[1] 더 나아가서 운모는 다시 운두(韻頭), 운복(韻腹), 그리고 운미(韻尾)로 나뉜다. 중고음을 재구한 대부분의 모델에는 보통 활음 /j/와 /w/, 그리고 연속된 /jw/ 모두 다 들어가나, /i/ 혹은 이중모음 /ie/을 활음으로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운미로서 /j/, /w/, /m/, /n/, /ŋ/, /p/, /t/, /k/는 널리 받아들여지는데 때때로 /wk/나 /wŋ/ 같은 추가적인 종성이 포함되기도 한다.[2] 칠운에서 같은 운율로 짝지어진 음절들은 같은 운복과 운미를 갖되 많은 경우 운두는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고음의 재구는 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자음에서는 거의 합의에 도달한 반면 모음에서는 저마다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칼그렌의 것을 수정한 리팡구이의 재구와 윌리엄 백스터의 재구다.

3. 상고음과 조기중고음 사이의 변화


  • 활음 j의 광범위한 생성
중고한어의 대표적인 음운 현상인 중뉴에 대해서 언어학자들은 활음 -j-의 유무를 나눈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중고한어의 모음을 1-2-3-4 등위로 나타내었는데 이 중 중뉴 현상이 일어나는 3등위의 한자가 모음 앞에 -j-음이 있어 4등위 한자와 구별되었다고 보는 것이다.[3] 상고시대에는 3등위의 한자를 구별하지 않았으므로 상고시기에 없던 -j-음이 중고한어 시기에 생겨난 것으로 본다. 정장상팡 등은 상고한어 모음의 길이가 길고 짧은 것이 중고한어에서는 -j- 음이 없거나 있는 것의 대립으로 변한 것으로 생각하였고, 백스터-사가르 체계에서는 인두화음 요소 ˁ의 유무에서 ˁ가 있는 한자는 ˁ가 탈락하고, ˁ가 없는 한자에서 -j-음이 생성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윌리엄 백스터는 중고한어의 몇몇 경구개 초성 단어들은 상고한어에서 연구개 초성이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예를 들어 중고한어 熱(nyet)은 이전에는 ngjet으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경구개 초성으로 시작하는 중고한어 支(tsye)와 연구개 초성으로 시작하는 중고한어 技(gjeX, III) 등의 대조를 통해서도 (경)구개음화의 과정을 추적해 볼 수 있다. 支를 음으로 가지는 한자열 중 대표적인 한자인 伎, 技, 岐, 枝, 肢 등의 음은 크게 '기'와 '지' 둘로 나뉘는데, 支의 민 방언 원 음이 *ki로 재구되는 점, 伎가 한국한자음, 일본한자음, 베트남한자음에서 k-음을 가지고 있는 점, 한국 고대 금석문에서 支의 음이 岐와 동일시 되고 있는 점 등을 보아 支의 상고음 초성은 k- 계열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조어(祖語)인 상고한어로 支를 *ke로 재구하고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技 등은 중고한어 3등위의 접근음 -j-와 베트남어, 몽몐어에 차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어휘로부터 -r-을 이끌어내어 *ɡreʔ로 재구하였다. 그 결과 支는 (경)구개음화를 거쳐 운두가 없어진 반면 技는 중간의 -r- 때문에 (경)구개음화를 거치지 않아 차이가 생긴 것이다.
  • 구개수음의 소멸
상고한어 압운자료나 해성(형성자의 음성부를 공유하거나 서로 가차하는 사례가 드러나는 한자군들) 자료를 살펴볼 때 중고한어에서 서로 구별되는 연구개음과 성문음이 서로 연결되는(계련系聯) 현상이 다수 관찰된다. 이는 상고한어의 구개수음 q, qʰ, ɢ이 소멸하면서 연구개음과 성문음으로 분산되어 합쳐진 것 때문으로 생각된다. 동시에 양순연구개음과 양순구개수음은 후행하는 모음에 반모음 w을 덧붙이면서 연구개음/구개수음과 변별력을 상실하여 마찬가지로 소멸한다.
  • 유음의 자리이동. 무성 비음, 무성 유음의 소멸
중고한어의 유음은 래모來母 l- 한 종류 밖에 없지만 상고한어는 영어처럼 r과 l이 변별되고 있었다. 상고한어 설측접근음 l이 경구개접근음 j로 이동하면서 빈 자리에 치경전동음 r이 설측접근음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일부 유성음은 유성파열음으로 동화된다.(l → d, r → ɖ) 상고한어는 유성 비음과 유성 유음에 대응하는 무성음을 모두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유음만 4종류, 비음만 6종류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같은 한장어족에 속하는 버마어 계통이 비음과 유음에 무성/유성 대립을 가지고 있는 것과 일치하는 체계이다. 상고한어의 무성 비음과 무성 유음이 소멸하면서 성문음 h나, 치경음 tʰ, 권설음 ʈʰ, 경구개음 ɕ 등에 동화된다.

  • 종성의 재배열
    • 종성 -k와 -ŋ이 특정 모음 아래에서 -t/-j와 -n으로 변화하였다.
    • 종성 -t, -n, -j, -r 앞의 모음에서 원순모음화가 유도되었다.
    • 상고한어에서는 종성 -r이 존재하였으나 -n 혹은 -j음으로 통합되었다.
  • 자음군의 소실
여러 자료를 통해 상고한어는 자음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중고한어에서는 자음군이 존재하지 않았다. 자음군이 소멸되면서 초성과 중성에 여러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성조의 발생
postcoda -s와 -ʔ가 소멸하면서 중국어의 대표적인 특징인 성조가 생성되었다. -s는 (아마도 -h를 거쳐) 거성을, -ʔ는 상성을 만들어내었다.
각 글자의 발음을 알고 싶으면 여기로.

4. 성모



4.1. 조기중고음 성모


조기중고한어의 성모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추정음가는 Baxter(1992)를 따른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순음
脣音

/p/

/pʰ/

/b/

/m/
설음
舌音
설두음
舌頭音

/t/

/tʰ/

/d/

/n/
설상음
舌上音

/ʈ/

/ʈʰ/

/ɖ/

/ɳ/
치음
齒音
치두음
齒頭音

/ts/

/tsʰ/

/dz/


/s/


/z/

정치음莊계
正齒音莊系

/tʂ/

/tʂʰ/

/dʐ/


/ʂ/


/ʐ/

정치음章계
正齒音章系

/tɕ/

/tɕʰ/

/dʑ/


/ɕ/


/ʑ/

아음
牙音

/k/

/kʰ/

/g/

/ŋ/
후음
喉音

/ʔ/



/j/

/x/


/ɣ/

/ɣ/
반설음
半舌音




/l/
반치음
半齒音




/ɲ/
이를 현대 음성학의 기준에 맞게 재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양순음
치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幫
pʰ 滂
b 並
t 端
tʰ 透
d 定
ʈ 知
ʈʰ 徹
ɖ 澄

k 見
kʰ 溪
ɡ 群
ʔ 影
파찰음

ts 精
tsʰ 清
dz 從
ʈʂ 莊
ʈʂʰ 初
ɖʐ 崇
tɕ 章
tɕʰ 昌
dʑ 常


마찰음

s 心
z 邪
ʂ 生
ʐ 俟
ɕ 書
ʑ 船

x 曉
ɣ 匣/云
비음
m 明
n 泥
ɳ 孃
ȵ 日
ŋ 疑

유음

l 來

j 以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순음

p
p
p
p
p
p
p
p
p
p
p














b
b
b
b

b
b
b
b
b

m
m
m
m
m
m
m
m
m
m
m
설두음

t
t
t
t
t
t
t
t
t
t
t














d
d
d
d

d
d
d
d
d

n
n
n
n
n
n
n
n
n
n
n
설상음

ȶ
ʈ
ȶ
ʈ
ȶ
ȶ
ȶ
ȶ
ʈ
ʈ
ʈ

ȶʰ
ʈʰ
ȶʰ
ʈʰ
ȶʰ
ȶʰ
ȶʰ
ȶʰ
ʈʰ
ʈʰ
ʈʰ

ȡʱ
ɖ
ȡ
ɖ
ȡ
ȡʱ
ȡ
ȡ
ɖ
ɖ
ɖ

n
ɳ
n
ɳ
n
n
n
n
ɳ
ɳ
ɳ
치두음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dzʱ
dz
dz
dz
dz
dzʱ
dz
dz
dz
dz
dz

s
s
s
s
s
s
s
s
s
s
s

z
z
z
z
z
z
z
z
z
z
z
정치음
莊계













tʂʰ
tʂʰ
tʃʰ
tʂʰ
tʃʰ
tʃʰ
tʃʰ
tʃʰ
tʃʰ
tʂʰ
tʂʰ

dʐʱ




dʒʱ






ʂ
ʂ
ʃ
ʂ
ʃ
ʃ
ʃ
ʃ
ʃ
ʃ
ʂ

dʐʱ

ʒ
ʐ

ʒ
ʒ
ʒ
ʒ
ʐ
ʐ
정치음
章계











c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ʑ
ʑ
ʑ

ʑ
ʑ
ʑ



ɟ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dʑʱ


ʑ

dʑʱ

ʑ
ʑ
ʑ
ʑ
아음

k
k
k
k
k
k
k
k
k
k
k













g

ɡ
g
ɡ

ɡ
ɡ
ɡ
ɡ
g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후음

x
x
x
x
x
x
x
x
h
h
h

ɣ
ɣ
ɣ
ɣ
ɣ
ɣ
ɣ
ɣ
ɦ
ɦ
ɦ

ʔ
ʔ

ʔ

ʔ
ʔ
ʔ
ʔ
ʔ
ʔ



ɣ
j
ɣ
ɣ
ɣ
ɣ
ɦ
ɦ
ɦ


j
j

j



j
j
j
반설음

l
l
l
l
l
l
l
l
l
l
l
반치음

ȵʑ
ȵʑ
ȵʑ
ȵʑ
ȵʑ
ȵ
ȵ
ȵʑ
ȵ
ȵ
ȵ
각각의 성모와 대응되는 현대한자음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음운 변화가 다음 표대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속음 문서 참조.
중고한어 성모
Baxter(1992)
한국어
표준중국어
광동어
일본어
베트남어
오음
한음
순음
幫 /p/
ㅂ/ㅍ
b, f
b, f
は행
b, ph
滂 /pʰ/
p, f
p, f
ph
並 /b/
b/p, f
b/p, f
ば행
は행
b, ph
明 /m/

m, w
m
ま행
ば행
m, v
설두음
端 /t/
ㄷ/ㅌ, ㅈ/ㅊ
d
d
た행
đ
透 /tʰ/
t
t
th
定 /d/
d/t
d/t
だ행
た행
đ
泥 /n/

n
n
な행
だ행
n
설상음
知 /ʈ/
ㅈ/ㅊ
zh
z
た행
tr
徹 /ʈʰ/
ch
c
た행
s
澄 /ɖ/
zh/ch
z/c
だ행
た행
tr
孃 /ɳ/

n
n
な행
だ행
n
치두음
精 /ts/
ㅈ/ㅊ
z, j
z
さ행
t
淸 /tsʰ/
c, q
c
th
從 /dz/
z/c, q
z/c
ざ행
さ행
t
心 /s/

s, x
s
さ행
邪 /z/
s, x, z/c, q
s, z/c
ざ행
さ행
정치음
莊계
莊 /tʂ/
ㅈ/ㅊ
zh
z
さ행
tr
初 /tʂʰ/
ch
c
s
崇 /dʐ/
zh/ch, sh
z/c, s
ざ행
さ행
生 /ʂ/

sh
s
さ행
俟 /ʐ/
거의 쓰이지 않음
정치음
章계
章 /tɕ/
ㅈ/ㅊ
zh
z
さ행
ch
昌 /tɕʰ/
ch
c
x
常 /dʑ/

sh, ch
s
ざ행
さ행
th
書 /ɕ/
sh
s
さ행
船 /ʑ/
sh, ch
ざ행
さ행
아음
見 /k/
ㄱ, ㅎ
g, j
g, gw
か행
c~k~qu, gi
溪 /kʰ/
k, q
h, k, kw
kh
群 /ɡ/
g/k, j/q
g/k, gw/kw
が행
か행
c~k~qu
疑 /ŋ/
Ø
Ø
ng, Ø
が행
ng(h)
후음
影 /ʔ/
Ø
Ø
Ø
Ø
Ø
以 /j/
d
曉 /x/
ㅎ, ㄱ
h, x
h, Ø/f
か행
h
匣 /ɣ/
が행
か행
云 /ɣ/
Ø
Ø
Ø
Ø
h, v
반설음
來 /l/

l
l
ら행
l
반치음
日 /ɲ/
Ø
r
Ø
な행
ざ행
nh
  • 중고한어는 권설음과 경구개음의 추가로 상고한어에 비해 단자음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이렇게 된 까닭은 /r/ 혹은 /j/로 끝나는 어두자음군이 사라지면서 권설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4.1.1. 순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p
p
p
p
p
p
p
p
p
p
p














b
b
b
b

b
b
b
b
b

m
m
m
m
m
m
m
m
m
m
m
  • 보다시피 발음 재구에 있어 학자들 간에 이견이 거의 없다.
  • 다만 일부 학자는 전기중고음 때부터 이미 전탁성모가 유기음으로 발음되었다고 추정했다.
  • 예시:

4.1.2. 설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t
t
t
t
t
t
t
t
t
t
t














d
d
d
d

d
d
d
d
d

n
n
n
n
n
n
n
n
n
n
n

ȶ
ʈ
ȶ
ʈ
ȶ
ȶ
ȶ
ȶ
ʈ
ʈ
ʈ

ȶʰ
ʈʰ
ȶʰ
ʈʰ
ȶʰ
ȶʰ
ȶʰ
ȶʰ
ʈʰ
ʈʰ
ʈʰ

ȡʱ
ɖ
ȡ
ɖ
ȡ
ȡʱ
ȡ
ȡ
ɖ
ɖ
ɖ

n
ɳ
n
ɳ
n
n
n
n
ɳ
ɳ
ɳ
  • 설음은 설두음(舌頭音, 端·透·定·泥모)과 설상음(舌上音, 知·徹·澄·孃모)으로 나뉜다. 설상음은 구개음화한 치경음으로 재구하는 학자와 권설음으로 재구하는 학자로 나뉜다.

  • 예시:

4.1.3. 치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tsʰ

dzʱ
dz
dz
dz
dz
dzʱ
dz
dz
dz
dz
dz

s
s
s
s
s
s
s
s
s
s
s

z
z
z
z
z
z
z
z
z
z
z













tʂʰ
tʂʰ
tʃʰ
tʂʰ
tʃʰ
tʃʰ
tʃʰ
tʃʰ
tʃʰ
tʂʰ
tʂʰ

dʐʱ




dʒʱ






ʂ
ʂ
ʃ
ʂ
ʃ
ʃ
ʃ
ʃ
ʃ
ʃ
ʂ

dʐʰ

ʒ
ʐ

ʒ
ʒ
ʒ
ʒ
ʐ
ʐ











c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tɕʰ


ʑ
ʑ
ʑ

ʑ
ʑ
ʑ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ɕ

dʑʰ


ʑ

dʑʰ

ʑ
ʑ
ʑ
ʑ
  • 俟모는 중고한어에서 딱 2개의 소운(俟, 漦)에서만 나타난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중고음을 연구한 학자들은 이 俟모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첫째는 俟모인 글자가 워낙 적고, 둘째는 이 성모가 일찍이 崇모로 흡수되어서 눈에 띄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전기중고음을 연구할 때는 절운운서를 살피는데, 이 중에 가장 구하기 쉽고 글자도 많아 연구가 많이 된 것이 광운이다. 광운에서는 俟가 牀史切이며, 반절계련법에 의해 牀은 일찌감치 崇모임이 밝혀졌으므로, 광운을 따른다면 俟는 崇모에 속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광운보다 300년 앞선 간류보결절운에서는 俟가 漦史反이고 漦는 俟淄反이며, 俟와 漦를 반절상자로 쓰는 소운은 서로를 제외하고는 없다. 즉 반절계련법에 의하면 俟와 漦는 崇모와는 독립된 성모를 가지기 때문에 그 성모를 俟모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이다.
  • 비교적 이른 시기에 중고음을 연구한 학자들은 常모를 마찰음(ʑ), 船모를 파찰음(dʑ)으로 추정했었다. 후기중고음을 반영하는 운경에서 常모에 해당하는 성모가 禪모인데[4], 禪모는 후기중고음에서 마찰음으로 발음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전기중고음에서 후기중고음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常모와 船모의 구분이 모호해짐으로 인한 것이었다. 후기 학자들은 사료에서 소개된 한자음의 발음, 산스크리트어의 음역, 형성자의 해성 등을 근거로 常모와 船모의 추정음가를 바로잡았다.
  • 예시:

4.1.4. 아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k
k
k
k
k
k
k
k
k
k
k













g

ɡ
g
ɡ

ɡ
ɡ
ɡ
ɡ
g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ŋ
  • 예시:

4.1.5. 후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x
x
x
x
x
x
x
x
h
h
h

ɣ
ɣ
ɣ
ɣ
ɣ
ɣ
ɣ
ɣ
ɦ
ɦ
ɦ

ʔ
ʔ

ʔ

ʔ
ʔ
ʔ
ʔ
ʔ
ʔ



ɣ
j
ɣ
ɣ
ɣ
ɣ
ɦ
ɦ
ɦ


j
j

j



j
j
j
  • 예시:

4.1.6. 반설음·반치음


성모
Karlgren
李方桂
王力
周法高
陸志韋
董同龢
李榮
邵榮芬
鄭張尚芳
潘悟雲
Pulleyblank

l
l
l
l
l
l
l
l
l
l
l

ȵʑ
ȵʑ
ȵʑ
ȵʑ
ȵʑ
ȵ
ȵ
ȵʑ
ȵ
ȵ
ȵ
  • 예시:

4.2. 만기중고음 성모


만기중고한어의 성모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오음
전청
차청
전탁
차탁
순음
脣音
중순음
重脣音

/p/

/pʰ/

/b/

/m/
경순음
輕脣音

/f/

/fʰ/

/v/

/ɱ/
설음
舌音
설두음
舌頭音

/t/

/tʰ/

/d/

/n/
설상음
舌上音

/ʈ/

/ʈʰ/

/ɖ/

/ɳ/
치음
齒音
치두음
齒頭音

/ts/

/tsʰ/

/dz/


/s/


/z/

정치음
正齒音

/tʂ/
穿
/tʂʰ/

/dʐ/


/ʂ/


/ʐ/

아음
牙音

/k/

/kʰ/

/g/

/ŋ/
후음
喉音

/ʔ/



/j/

/x/


/ɣ/

반설음
半舌音




/l/
반치음
半齒音




/ȵ/
이를 현대 음성학의 기준에 맞게 재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양순음
순치음
치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양순연구개음
후두개음
성문음
파열음
p

pɦ~bʰ

t

tɦ~dʰ
ʈ
ʈʰ
ʈɦ~ɖʰ

k

kɦ~gʰ


ʔ
파찰음


ts
tsʰ
(t)sɦ~(d)zʰ
ʈʂ
ʈʂʰ
(ʈ)ʂɦ~(ɖ)ʐʰ





마찰음

f
fɦ~vʰ
s
sɦ~zʰ
ʂ
ʂɦ~ʐʰ

x
xɦ~ɣʰ



비음
m

n


ŋ



전동음



ɽr



ʜ~∅

접근음

ʋ


j

w


설측접근음


l






  • 양순음의 일부가 순경음으로 분화되었다.
  • 치경구개음이 모두 권설음으로 통합되었다.
  • 초성 유성음의 무성음화가 진행되었다.[5]

5. 운모


아래 표를 읽기 위한 몇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등호(等呼)라는 개념은 후기 중고한어 때부터 생긴 것이다. 등호가 정확히 무엇을 나타내는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대체로 등(等)은 개음/-i-/의 유무 및 혀의 위치(상고한어에서의 개음/-r-/의 유무), 호(呼)는 입이 동그랗게 모아지는지의 여부(다른 말로 하면 개음/-u-/의 유무)와 상관이 있다고 여겨진다.
  • 등은 1등, 2등, 3등, 4등으로 나뉘는데, 4등으로 갈 수록 전설(前舌)성 및 구개음성이 강해진다.
    • 아래 표에서 3+은 실제로는 3등운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운도에서는 2등(가2등진3등)이나 4등(가4등진3등)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는 운모를 말한다. 이는 주로 성모의 차이[6] 에서 비롯된 것이다.
    • 아래 표에서 3重은 중뉴(重紐)라고 해서, 앞서 말한 반절계련법으로 따지면 동일한 운모인데도 불구하고 운서에는 별개의 운모로 분류되는 운모들을 말한다. 이들은 운도에서도 각각 3등과 4등으로 나타나는데, 운도에서 4등으로 나타나는 운모를 중뉴A[7], 3등으로 나타나는 운모를 중뉴B[8]라고 한다. 중뉴는 현대 중국어 방언에서는 드러나지 않으나, 한국(아음, 후음[9])·베트남(순음[10])의 한자음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다.
  • 開는 개구호(開口呼, 개음 /-u-/가 관여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운모), 合은 합구호(合口呼, 개음 /-u-/가 관여한다고 여겨지는 운모)를 뜻한다.
중고한어의 운모를 모아둔 사이트[11]
''''''
'''운모'''
''''''
''''''
'''Karlgren'''
'''李榮'''
'''王力'''
'''Pulleyblank'''
'''Baxter'''
'''潘悟雲'''


1
[A]
ung


əwŋ
uwng

3+
iung
iuŋ
ǐuŋ
uwŋ
juwng
iuŋ

1

uong

uoŋ
awŋ
owng
uoŋ

3+

i̯wong
ioŋ
ǐwoŋ
uawŋ
jowng
ioŋ


2

ɔng
ɔŋ
ɔŋ
aɨwŋ
æwng
ɯɔŋ


3重
[12]

ie / je
ǐe
iə̆ / jiə̆
je / jie
ɯiɛ / iɛ

wiě
iue / jue
ǐwe
wiə̆ / jwiə̆
jwe / jwie
ʷɯiɛ / ʷiɛ

3重

i
i / ji
i
i / ji
ij / jij
ɯi / i

wi
ui / jui
wi
wi / jwi
wij / jwij
ʷɯi / ʷi

3+

i

ǐə
ɨ
i
ɨ

3

ěi
iəi
ǐəi
ɨj
jɨj
ɨi

wěi
iuəi
ǐwəi
uj
jwɨj
ʷɨi


3+
[A]
i̯wo

ǐo
ɨə̆
jo


3+
[B]
i̯u
io
ǐu
uə̆
ju
io

1
[B]
uo
o
u
ɔ
u
uo


4

iei
ei
iei
ɛj
ej
ei

iwei
uei
iwei
wɛj
wej
ʷei
[13]
3重

i̯ɛi
iɛi / jɛi
ǐɛi
iaj / jiaj
jej / jiej
ɯiɛi / iɛi

i̯wɛi
iuɛi / juɛi
ǐwɛi
wiaj / jwiaj
jwej / jwiej
ʷɯiei / ʷiɛi
[14]
1

ɑi
ɑi
ɑi
aj
aj
ɑi

wɑi
uɑi
uɑi
waj
waj
ʷɑi

2

ai
ɛ
ai
aɨj
ɛɨ
ɯæ

wai

wai
waɨj
wɛɨ
ʷɯæ

2

ăi
ɛi
ɐi
əɨj
ɛj
ɯæi

wăi
uɛi
wɐi
wəɨj
wɛj
ʷɯæi
[15]
2

ai
ai
æi
aɨj
æj
ɯai

wai
uai
wæi
waɨj
wæj
ʷɯai

1

uɑ̌i
uɒi
uɒi
wəj
woj
uoi

1

ɑ̌i
ɒi
ɒi
əj
oj
əi
[16]
3

i̯æi
iɐi
ǐɐi
ɨaj
joj
iɐi

i̯wæi
iuɐi
ǐwɐi
uaj
jwoj
ʷiɐi


3重

i̯ĕn
iĕn / jĕn
ǐĕn
in / jin
in / jin
ɯin / in
3

i̯wĕn
iuĕn
ǐwĕn
win
win
ʷɯin

3重

i̯uĕn
iuĕn / juĕn
ĭuĕn
win / jwin
win / jwin
ʷin

3

i̯æn
iĕn
ĭen
in
in
ɪn

3

i̯uən
iuən
ǐuən
un
jun
iun

3

i̯ən
iən
ǐən
ɨn
jɨn
ɨn

1

u̯ən
uən
uən
wən
won
uon

1

ən
ən
ən
ən
on
ən

[17]
3

i̯æn
iɐn
ǐɐn
ɨan
jon
iɐn

i̯wæn
iuɐn
ǐwɐn
uan
jwon
ʷiɐn

1

ɑn
ɑn
ɑn
an
an
ɑn

1

uɑn
uɑn
uɑn
wan
wan
ʷɑn

2

an
an
an
aɨn
æn
ɯan

wan
uan
wan
waɨn
wæn
ʷɯan

2

ăn
ɛn
æn
əɨn
ɛn
ɯæn

wăn
uɛn
wæn
wəɨn
wɛn
ʷɯæn

4

ien
en
ien
ɛn
en
en

iwen
uen
iwen
wɛn
wen
ʷen

3重

i̯ɛn
iɛn / jɛn
ǐɛn
ian
jen / jien
ɯiɛn / iɛn

i̯wɛn
iuɛn / juɛn
ǐwɛn
wian
jwen / jwien
ʷɯiɛn / ʷiɛn


4

ieu
eu
ieu
ɛw
ew
eu

3重
[18]
i̯wɛu
iɛu / jɛu
ǐɛu
iaw
jew / jiew
ɯiɛu / iɛu

2

au
au
au
aɨw
æw
ɯau

1

ɑu
ɑu
ɑu
aw
aw
ɑu

[19]
1

ɑ
ɑ
ɑ
a
a
ɑ

1




wa
wa

3+
[20]
i̯ɑ

ǐɑ
ɨa
ja


i̯wɑ
iuɑ
ǐuɑ
ua
jwa
ʷiɑ


2

a
a
a

æ
ɯa

wa
ua
ǐwa
waɨ

ʷɯa
3+

i̯a
ia
ǐa
ia

ia


3+

i̯ang
iaŋ
ǐaŋ
ɨaŋ
jang
iɐŋ

i̯wang
iuaŋ
ǐwaŋ
uaŋ
jwang
ʷiɐŋ

1

ɑng
ɑŋ
ɑŋ

ang
ɑŋ

wɑng
uɑŋ
uɑŋ
waŋ
wang
ʷɑŋ


2

æng
ɐŋ
ɐŋ
aɨjŋ
æng
ɯaŋ

wæng
uɐŋ
wɐŋ
waɨjŋ
wæng
ʷɯaŋ
3

i̯æng
iɐŋ
ǐɐŋ
iajŋ
jæng
ɯiaŋ

i̯wæng
iuɐŋ
ǐwɐŋ
wiajŋ
jwæng
ʷɯiaŋ

2

ɛng
ɛŋ
æŋ
əɨjŋ
ɛng
ɯæŋ

wɛng
uɛŋ
wæŋ
wəɨjŋ
wɛng
ʷɯæŋ

3重

i̯̯ɛng
iɛŋ
ǐɛŋ
iajŋ / jiajŋ
jeng / jieng
- / iɛŋ

i̯wɛng
iuɛŋ
ǐwɛŋ
wiajŋ / jwiajŋ
jweng / jwieng
- / ʷiɛŋ

4

ieng

ieŋ
ɛjŋ
eng


iweng
ueŋ
iweŋ
wɛjŋ
weng
ʷeŋ


3+

i̯əng
iəŋ
ǐəŋ

ing
ɨŋ

i̯wəng
iuəŋ
ǐwəŋ
wiŋ
wing
ʷɨŋ

1

əng
əŋ
əŋ
əŋ
ong
əŋ

wəng
uəŋ
uəŋ
wəŋ
wong
ʷəŋ


3+

iə̆u
iu
ǐəu
uw
juw
iu

1

ə̆u
u
əu
əw
uw
əu

3

i̯ĕu
iĕu
iəu
jiw
jiw
ɨu

[C]
3重

i̯əm
iəm / jəm
ǐĕm
im / jim
im / jim
ɯim / im


1

ɑ̌m
ɒm
ɒm
əm
om
əm

1
[C]
ɑm
ɑm
ɑm
am
am
ɑm

3重
[21]
i̯ɛm
iɛm / jɛm
ǐɛm
iam
jem
ɯiɛm / iɛm

4

iem
em
iem
ɛm
em
em

2

ăm
ɐm
ɐm
əɨm
ɛm
ɯæm

2
[C]
am
am
am
aɨm
æm
ɯam

3
[C]
i̯æm
iɐm
ǐɐm
ɨam
jæm
iɐm

3

i̯wæm
iuɐm
ǐwɐm
uam
jwom
iɐm

6. 성조



[1] 이 분류는 근고한어, 나아가 현대 중국어의 각 방언의 음절 구조를 설명할 때도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2] Norman, Jerry (1988), Chine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3] 중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아래에 나오는 운모 문단 참조.[4] 즉 常과 禪은 반절계련법에 의해 같은 성모를 가진다[5] 다만 오어(吳語)는 이 무성음화를 피해갔다. 때문에 오어는 현재도 중국어의 방언 중 유일하게 중고음에서의 청탁의 대립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6] 설상음, 권설정치음과 결합하면 가2등진3등, 치두음, 구개정치음과 결합하면 가4등진3등으로 분류된다.[7] 여기에 가4등진3등과 3등을 더해 3등乙이라고 한다. 중뉴A는 순아후음에서만, 가4등진3등은 설치음에서만 차이가 나타난다.[8] 여기에 가2등진3등을 더해 3등甲이라고 한다. 중뉴B는 순아후음에서만, 가2등진3등은 설치음에서만 차이가 나타난다.[9] 다른 나라 한자음에서 ~ye~ 형태인 것이 한국어에서도 ~ye~(예: 견, 혈, 영)이면 중뉴4등, ~e~(예: 건, 헐, 앵) 등으로 변하면 중뉴3등이다. 단 과거에는 ~i 형태가 전자는 기, 히, 이였고 후자는 긔, 희, 의로만 쓰여 구분이 가능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의/이를 제외하고는 전부 ㅢ 모음을 붕괴시키는 쪽으로 정서법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로는 둘 간의 구분이 불가능하다.[10] 다른 나라 한자음에서 순음인 것이 베트남어에서도 순음이면 중뉴3등, 치음으로 변하면 중뉴4등이다. 똑같이 3등으로 분류되는 3등운과 3+등운도 일부 한자에서 순치음 형태로의 성모 전환을 보여준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11] 아래표에 없는 입성도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운모를 클릭하면 자세한 정보도 나온다.[A] A B 운경에는 開라고 적혀 있는데 보통 논문에서는 합구호로 취급한다.[12] 운경에는 開合이라고 적혀 있다.[B] A B 운경에는 開合이라고 적혀 있다.[13] 齊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14] 皆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15] 齊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16] 灰운과 咍운의 입성으로 간주된다.[17] 원래 元韻은 광운에서 欣韻과 魂韻 사이에 등재되어 있으나, 山攝에 속하기 때문에 뒤로 뺐다.[18] 운경에서 4等의 경우 合이라고 적혀 있다.[19] 운경에는 合이라고 적혀 있는데 보통 논문에서는 개구호로 취급한다.[20] 운경에는 개구호에 해당하는 운이 없다. 원래 운모가 戈3開인 글자가 매우 적긴 하다.[C] A B C D 운경에는 合이라고 적혀 있는데 보통 논문에서는 개구호로 취급한다.[21] 운경에는 合도 합구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