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 중앙역
스웨덴어 : T-Centralen [1]
[image]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하는 크고 아름다운 중앙역. 기차와 버스 뿐 아니라 스톡홀름 지하철의 모든 노선이 이 역으로 몰리기 때문에 그야말로 중앙역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모든 교통 기능이 이 역으로 몰리게 된 건, 국가의 기능을 하필이면 제일 섬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곳에 몰아넣은 도시 자체의 특성 때문이다. 독일이나 프랑스와 달리 버스만으로 다른 나라들을 쉽게 방문할 수 없다는 게 아쉬운 점. 그래도 기차를 타면 북으로는 키루나를 거쳐 노르웨이 나르빅까지 갈 수 있고, 밤차를 타면 다음날 아침에 코펜하겐에서 기상도 가능하다. 이 곳에도 나름 빠르다면 빠른 스웨덴의 고속열차가 다니는데 아직 고속선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재래선으로 다니기때문에 그다지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예테보리는 3시간대에, 코펜하겐은 5시간만에 도착한다.[2]
이런 이유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약속 장소도 여기서 많이 잡게 된다. 그러다보니 집회도 자주 열린다. 소매치기는 덤. 웬만한 스톡홀름 번화가가 다 그렇지만 해당 지역을 주변을 방문하면 절대 핸드폰을 식탁 위에 올려두거나 가방을 의자 뒤에 매달아 놓지 말자. 광장 내부에 순찰차를 자주 볼 수 있고 끌려가는 소매치기들도 가끔 볼 수 있다.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블로, 그뢰나선이 모두 만나는 환승역인데, 나중에 개통된 블로선을 제외하고 뢰다선과 그뢰나선을 상당히 효율적으로 환승설계를 한 점이 특징이다. 뢰다선과 그뢰나선이 만나 병주하는 역은 남쪽에서부터 슬루센(Slussen)역, 감라스탄(Gamla Stan)역 그리고 스톡홀름 중앙역(T-centralen)이다. 그중 뢰다선↔그뢰나선을 환승하는 승객중 '''같은 방향'''으로 환승하는 승객은 스톡홀름 중앙역에서 내릴 필요없이 1~2역을 더 가서 감라스탄역과 슬루센역에서 환승하도록 유도를 하는데, 이는 두 역이 모두 금정역과 같은 형식인 방향별 복복선 승강장이기 때문이다. 스톡홀름 중앙역은 복층 섬식 승강장이지만 '''같은 층에서''' 뢰다선↔그뢰나선을 '''역방향'''으로 환승하도록 설계가 되었다.[3] 김포공항역(9호선, 공항철도 승강장)과 구조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같은 층에서 오는 열차가 서로 반대방향이라고 보면 된다. 뢰다선↔그뢰나선을 각각 역방향으로 환승하는 사람과 순방향으로 환승하는 사람들로 인한 역내의 혼잡도를 각자 다른 역으로 유도함으로써 줄이고 동선도 최소화한 좋은 케이스라 볼 수 있다.
본래 스톡홀름 통근열차(Pendeltåg)은 지상의 기차홈에 정차했었으나 선로용량이 턱없이 부족하고 시간당 정차할 수 있는 열차의 수가 한계에 다다랐기에, 스톡홀름 시티라인(Citybanan)을 스톡홀름 시내에 대심도로 터널을 뚫어 2017년 7월 10일에 개통했다. 블로선까지 내려가는 것보다 더 긴 환승거리를 자랑하지만 길이 어려워서 헤맬 정도는 아니다.
위 사진 중앙에 있는 조형물의 이름은 Crystal인데 중앙역 바로 옆의 세르옐스 토리(Sergels torg)에 위치해있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유명 조각가가 제작했지만 현지인들은 꽤 싫어한다. 못생겼다고. 여러모로 청계천의 소라 기둥과 유사한 처지이다. 거기다 2019년말 기준으로 그나마도 사진처럼 뻥뚫린 도로의 모습이 아니고 오른쪽 로터리 부분에 공사판 철골이 펼쳐진 모습이다.
[image]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하는 크고 아름다운 중앙역. 기차와 버스 뿐 아니라 스톡홀름 지하철의 모든 노선이 이 역으로 몰리기 때문에 그야말로 중앙역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모든 교통 기능이 이 역으로 몰리게 된 건, 국가의 기능을 하필이면 제일 섬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곳에 몰아넣은 도시 자체의 특성 때문이다. 독일이나 프랑스와 달리 버스만으로 다른 나라들을 쉽게 방문할 수 없다는 게 아쉬운 점. 그래도 기차를 타면 북으로는 키루나를 거쳐 노르웨이 나르빅까지 갈 수 있고, 밤차를 타면 다음날 아침에 코펜하겐에서 기상도 가능하다. 이 곳에도 나름 빠르다면 빠른 스웨덴의 고속열차가 다니는데 아직 고속선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재래선으로 다니기때문에 그다지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예테보리는 3시간대에, 코펜하겐은 5시간만에 도착한다.[2]
이런 이유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약속 장소도 여기서 많이 잡게 된다. 그러다보니 집회도 자주 열린다. 소매치기는 덤. 웬만한 스톡홀름 번화가가 다 그렇지만 해당 지역을 주변을 방문하면 절대 핸드폰을 식탁 위에 올려두거나 가방을 의자 뒤에 매달아 놓지 말자. 광장 내부에 순찰차를 자주 볼 수 있고 끌려가는 소매치기들도 가끔 볼 수 있다.
스톡홀름 지하철의 뢰다, 블로, 그뢰나선이 모두 만나는 환승역인데, 나중에 개통된 블로선을 제외하고 뢰다선과 그뢰나선을 상당히 효율적으로 환승설계를 한 점이 특징이다. 뢰다선과 그뢰나선이 만나 병주하는 역은 남쪽에서부터 슬루센(Slussen)역, 감라스탄(Gamla Stan)역 그리고 스톡홀름 중앙역(T-centralen)이다. 그중 뢰다선↔그뢰나선을 환승하는 승객중 '''같은 방향'''으로 환승하는 승객은 스톡홀름 중앙역에서 내릴 필요없이 1~2역을 더 가서 감라스탄역과 슬루센역에서 환승하도록 유도를 하는데, 이는 두 역이 모두 금정역과 같은 형식인 방향별 복복선 승강장이기 때문이다. 스톡홀름 중앙역은 복층 섬식 승강장이지만 '''같은 층에서''' 뢰다선↔그뢰나선을 '''역방향'''으로 환승하도록 설계가 되었다.[3] 김포공항역(9호선, 공항철도 승강장)과 구조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같은 층에서 오는 열차가 서로 반대방향이라고 보면 된다. 뢰다선↔그뢰나선을 각각 역방향으로 환승하는 사람과 순방향으로 환승하는 사람들로 인한 역내의 혼잡도를 각자 다른 역으로 유도함으로써 줄이고 동선도 최소화한 좋은 케이스라 볼 수 있다.
본래 스톡홀름 통근열차(Pendeltåg)은 지상의 기차홈에 정차했었으나 선로용량이 턱없이 부족하고 시간당 정차할 수 있는 열차의 수가 한계에 다다랐기에, 스톡홀름 시티라인(Citybanan)을 스톡홀름 시내에 대심도로 터널을 뚫어 2017년 7월 10일에 개통했다. 블로선까지 내려가는 것보다 더 긴 환승거리를 자랑하지만 길이 어려워서 헤맬 정도는 아니다.
위 사진 중앙에 있는 조형물의 이름은 Crystal인데 중앙역 바로 옆의 세르옐스 토리(Sergels torg)에 위치해있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유명 조각가가 제작했지만 현지인들은 꽤 싫어한다. 못생겼다고. 여러모로 청계천의 소라 기둥과 유사한 처지이다. 거기다 2019년말 기준으로 그나마도 사진처럼 뻥뚫린 도로의 모습이 아니고 오른쪽 로터리 부분에 공사판 철골이 펼쳐진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