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1. 時刻
2. 視角
3. 視覺
3.1. 동물의 시력
3.2. 시각 및 시력과 관련된 캐릭터


1. 時刻


흐르는 시간의 한 순간. 자세한 내용은 시간 문서 참조.

2. 視角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거나 파악하는 자세. 관점 문서 참조.

3. 視覺



인간의 오감 중 하나로 안구로 들어오는 으로 정보를 얻는 감각이다. 대뇌피질의 절반이 관여하는 감각이다.
사람에 따라 다를순 있지만, 인체의 모든 감각 수용체들 중 70%가량은 눈에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 오감 중 '''가장 중요한 감각'''임에는 이견이 없다. 인간이 하루 평균 보고 기억하는 이미지의 양은 1만개가 넘는다고 하며, 이 중 대부분이 단기 기억으로 소실된다. 워낙 차지하는 자리가 크다 보니 인간의 창조적인 뇌 활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대단하다. 이렇게 방대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가장 인간의 정신 활동에 간섭을 많이 하는 감각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명상, 최면, 그 외 기타 집중이나 상상 등의 상황에서 눈을 감는 것이다. 뇌 활동의 70%를 담당하는 감각을 차단함으로써 좀 더 자신이 몰두하고 있는 작업에 충실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동물들을 제압할 때 흔히 눈부터 가리는 것 또한 이와 관련되어 있다.
보통 인간의 시각은 아래와 같은 순으로 처리된다.[1]
망막에 맺힌 이미지는 곧 시신경에 의해 정보로 바뀌어 후두엽으로 향한다. 그리고 후두엽에서 여러 부분으로 보강되고 아래의 세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1. 후두엽을 거친 정보는 중간 뇌에 도착하고, 시상침을 거쳐 두정엽에 도달하면서 처리된다. 이 경로는 파충류 등 인간보다 뇌 발달이 떨어지는 동물들에게서도 발견되어 오래된 경로라고도 불린다. 이 과정에서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처리된다.
  2. 한편 정보는 동시에 두정엽으로 가서 처리된다. 여기서의 정보처리는 주로 1번 경로의 보강의 성격을 가지는데 공간 개념을 더 정교하게 만들고 우리가 눈으로 본 장면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해 준다.
  3. 그러면서 정보는 한편으로 방추상회를 거쳐 ,편도체,측두엽으로 도달하면서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는 정보처리가 다소 복잡한데, 먼저 방추상회에 도달하면 우리가 본 이미지들이 추상화된다.[2] 이렇게 처리된 정보는 편도체와 측두엽으로 향하는데, 편도체에서는 정보와 관련된 감정(ex> 어머니->그리움)을 불러일으키고, 측두엽에서는 정보가 가지는 의미,관련된 기억(ex> 어머니->어머니에 대한 개념,어머니의 정의와 특성,어렸을 때 기억,최근에 어머니와 있었던 일) 등을 불러일으켜 우리가 정보를 비로소 인식하게 해준다.

3.1. 동물의 시력


동물에게도 있어서 대부분 눈은 중요한 감각 기관으로 시력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 새의 안구는 뇌에 비해 비대하고 그만큼 눈이 예민한 편으로 하늘을 날면서 자연적으로 얻은 진화의 산물이다. 타조나 펭귄 같이 날지 못하는 종류도 각각 평지와 수중에서 물체를 인식해야 할 필요성 덕에 시력이 좋다. 그리고 사람도 시력이 매우 좋은 동물에 속한다.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대의 모든 색상을 인지 할 수 있다고 한다.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포유류는 적록 색맹이다. 다만, 간상세포는 다소 적어서 밤눈은 좋지 않다.
이와 반대로 동굴이나 심해와 같이 어차피 감지해야 할 빛 자체가 없는 곳에서 사는 동물들은 시각이 극도로 퇴화되어 눈은 그냥 장식에 불과하거나, 일부는 아예 눈이라는 기관 자체가 퇴화되어 없는 경우도 있다. 그 대신 시각을 대체하기 위해 청각, 후각, 촉각 등이 극도로 예민하게 발달하거나 박쥐처럼 초음파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와 크기, 거리를 감지하는 등 저마다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다.

3.2. 시각 및 시력과 관련된 캐릭터



[1] 모두 V. Ramachandran,'명령하는 뇌,착각하는 뇌',박방주 역,알키,2012,p94-99에서 가져왔다.[2] 우리가 친구들을 보고 친구로 인식하는 것은, 우리가 본 친구의 얼굴이 방추상회에서 친구로 처리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3] 폭발 사고로 후각 신경을 잃은 대신 오른쪽 눈에 특별한 미생물 킁킁이가 심어져서 냄새(심지어 무취까지)를 코가 아닌 으로 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