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성
1. 개요
일부 교과서에는 "신경증적 경향성" 으로 번역되어 있기도 하다.
'''신경성'''(神經性, Neuroticism)은 만성적으로 스트레스와 불안 등 부정적 감정을 쉽게 느끼는 성격적 경향이다. '''쉽게 말해 예민하고 부정적인 성격.'''[1] 혼동하지 말 것이 있는데, '''신경증(neurosis)과는 용어가 비슷할 뿐 서로 다른 개념이다.''' 신경증이 증세에 관련된 것이라면 신경성은 성격에 관련된 것이다. 한편 보다 대중적인 용어인 '''신경과민'''(nervousness)의 경우, 그 중 일부는 실제로 신경성일 수 있다.
2. 상세
외향성과 함께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강력한 요인 중 하나이다.[2] 신경성이 심한 사람과 낮은 사람은 벌써 분위기에서부터 차이가 난다. 이것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크게 느끼고, 불안해하며 초조해하고 쉽게 두려워하며 심리적 탈진을 자주 겪는다. 반대로 긍정적인 요인을 받았을 때는 주체할 수 없이 기쁘고 즐거운 감정을 뿜어내어 어제의 초조해하던 그 사람과 동일인물인가 착각이 들 정도로 감정의 기복이 심한 편이다 .
신경성이 낮은 사람의 경우, 선천적으로 정서가 안정되어 있는 편이다. 신경성자들이 "위기" 라고 느끼는 부분들을 별 탈 없이 지나치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상황에서 신경성자들이 심한 불안을 느껴 허둥대는 것과는 달리[3] 이들은 겉으로든 속으로든 아무런 문제가 없다 .
그러나 오해하면 안 될 것은, 신경성이 높다고 반드시 안 좋은 것은 아니다. Big5의 모든 요인들은 그것이 높거나 낮음에 의한 각각의 trade-off를 갖는다. 신경성이 높은 사람 역시 '''진화적으로 볼 때 적응적 기능을 누릴 수 있다는 말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성격의 탄생》 의 저자 대니얼 네틀(D. Nettle)은 신경성을 "화재경보기"에 비유하였다. 이들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만큼 갑작스러운 위기를 잘 예측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4] 즉 당신이 영화에서 보는 끝까지 살아남는 사람은 신경성이 높을 확률이 크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인간에게는 신경성이라는 경보기가 필요한 셈이다. 그리고 신경성이 높은 사람도 본인의 의지에 따라 행복한 감정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 그 행복이란 기준이 신경성이 낮은 사람들의 기준에 맞춰져서 상대적으로 신경성이 높은 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들이 많은 것뿐이니 크게 생각하지 말라.
예술을 하는 사람들 중에 신경성이 유독 높은 경우가 많다. 음악가, 연기자(배우), 미술가, 행위예술가 등등은 통계적으로 유독 신경성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그들의 예술적 감수성이 상당 부분 신경성과 맞닿아 있음을 암시한다. 대표적으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의 스칼렛 오하라, 《다이 하드》 의 브루스 윌리스 등등이 대중적으로 거론되는데, 그들을 대상으로 직접 NEO-PI-R 검사를 해서 Big5 점수를 내지 않은 이상 확신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적어도 유명한 소설, 영화, 드라마 등의 주요 등장인물들 중 많은 수가 신경성 성격으로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는 점만큼은 분명하다.
고지능자 중에도 신경성이 높은 경우가 많다. 고지능자는 내향적 성향이 강하며 생각이 많아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경우 성격이 부정적으로 변하기 쉽다.
3. 성격심리학에서
인간의 성격을 구성하는 요인을 최대한 간략하게 정리하려다 보니 나온 것이 Big5 성격모형이라면, 신경성은 외향성과 함께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고 확연히 독특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Big5에서는 각 요인마다 하위 측면(facets)들을 여섯 가지씩 뽑아서 정리하는데, 신경성을 구성하는 하위 측면은 다음과 같다.
- 불안
- 적대감
- 우울감
- 자의식
- 충동
- 예술적 감수성
- 경계
한편 아이센크도 자신의 슈퍼요인 이론을 거론하면서 신경성을 인간의 3대 성격요인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5] 아이센크는 평소에 기분이 자주 바뀌고, 합당한 이유 없이 비참한 기분을 느낀 적이 있으며, 당혹스러운 경험 후에 후유증이 오래 지속된다면 신경성이 높다고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4. 남은 이야기
스위스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신경성 집단이 현저하게 심각한 휴대전화 의존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한다.(…) SNS에 탐닉하거나 기타 중독의 노예가 되는 것 역시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학자들에 따르면 이들은 더 작은 신체적인 상처에도 더 호들갑을 떨고(...)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체적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반 정도는 신경성이 매우 높다고 한다. 이것은 성격이라는 심리적인 수준의 특징이 신체적인 수준의 통각에까지 영향을 준다고 하여 학계의 비상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유사품으로 아이센크가 제안했던 "정신증적 경향성"(psychoticism)도 있다. 그런데 현대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건 거의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품행장애에 가깝다고 봐도 괜찮을 정도라서... 일단 아이센크는 정신증적 경향성이 이기적이고 고집스러우며 반사회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도 정신증적 경향성이란 단어는 정신증과는 서로 다른 분야의 용어다.
심리학자들은 젊은 시절에 높은 수준의 신경성으로 고생한다고 하더라도, 나중에 나이가 들면 성숙을 통해서 점차 정서가 안정되고 침착해진다고 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주 뭐 갑자기 신경성이 확 낮아진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적어도 그 정도가 완화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학자들은 신경성이 정치성향과 얼마나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격론을 벌여 왔다. 진보적인 사람들이 더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예민하니까 신경성이 높다는 주장부터 보수적인 사람들이 안전과 위협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니까 신경성이 높다는 주장까지... 메타분석에서는 양자간의 관계가 거의 없다시피할 정도로 약하게 나타났으며,[6]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신경성은 양쪽에게 서로 다른 유형의 스트레스와 위협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즉 신경성 높은 보수주의자들은 건강이나 집단의 안위에 관련된 위협을 더 많이 받고, 신경성 높은 진보주의자들은 불공평한 부당대우와 불이익을 받거나 타인에게 무시당하는 것에 대한 고통을 유독 많이 경험한다는 것이다.[7]
[1] 정서적으로 예민하여 작은 자극에도 불안해지고 힘들어하고 쉽게 고통받는다.[2] Hills & Argyle, 2001.[3] 신경성자들은 소소한 위협에도 눈에 띄게 과민반응한다. 이것은 실제로 뇌 영상을 통해서도 입증되었다.[4] Craske, M. G., Waters, A. M., Nazarian, M., Mineka, S., Zinbarg, R. E., Griffith, J. W., ... & Ornitz, E. M. (2009). Does neuroticism in adolescents moderate contextual and explicit threat cue modulation of the startle reflex?. Biological psychiatry, 65(3), 220-226[5] 다른 두 가지는 외향성과 이하에 다시 서술될 정신증적 경향성.[6] e.g., Sibley, Osborne, & Duckitt, 2012.[7] Laham & Corless, 2014a, 2014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