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광덕고등학교

 



'''안산광덕고등학교
Ansan Kwangdeok High School
廣德高等學校
'''
[image]

<color=#373a3c> '''개교'''
2010년
<color=#373a3c>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color=#373a3c> '''성별'''
남녀공학
<color=#373a3c> '''운영형태'''
공립
<color=#373a3c> '''관할교육청'''
경기도교육청
<color=#373a3c> '''교장'''
유해란
<color=#373a3c> '''교감'''
오지수
<color=#373a3c> '''학생 수'''
896명 (남 471명 / 여 425명)
(2018년 기준)
<color=#373a3c> '''교직원 수'''
84명
(2018년 기준)
<color=#373a3c> '''소재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순환로 532번길 (월피동)
홈페이지
1. 개요
2. 학교연혁
3. 상징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6. 학교생활
6.1. 주요 행사
7. 교복
8. 체육복
9. 교통
9.1. 버스
10. 출신 인물
11. 기타


1. 개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있는 고등학교. 2010년에 개교한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2. 학교연혁


2010.01.11 | 광덕고등학교 설립 인가(공학으로 학년별 보통과 12학급씩 36학급)
2010.03.01 |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지정
2010.03.01 | 초대 추교영 교장 취임
2010.03.02 | 개교
2010.03.02 | 제1회 입학식(남 8학급, 여 4학급, 476명)
2011.03.01 | 특수학급 인가(1학급, 정원 8명)
2011.03.02 | 제2회 입학식(남 7학급, 여 5학급 428명)
2012.03.02 | 제3회 입학식(남 7학급, 여 5학급 416명)
2013.01.14 | 제1회 졸업식 (396명)
2013.03.04 | 제4회 입학식 (남 6학급, 여 6학급 358명)
2014.01.14 | 제2회 졸업식 (409명)
2014.03.01 | 제2대 추교영 교장 취임
2014.03.03 | 제5회 입학식(남 6학급, 여 6학급 357명)
2014.09.01 | 제3대 박삼석 교장 취임
2015.01.14 | 제3회 졸업식(398명)
2015.03.02 | 제6회 입학식 (남 6학급, 여 6학급, 358명)
2016.01.08 | 제4회 졸업식(남 176명, 여 159명)
2016.03.02 | 제7회 입학식(남 194명, 여 169명)
2017.01.12 | 제5회 졸업식(남 157명, 여 161명)
2017.03.02 | 제8회 입학식(남 172명, 여 157명)
2018.01.09 | 제6회 졸업식(남 177 명, 여:172 명)
2018.03.01 | 제4대 유해란 교장 취임
2018.03.02 | 제9회 입학식(남 142명, 여 124명)

3. 상징



4. 학교 특징


1학년 11학급, 2학년 12학급, 3학년 12학급 총 35학급에 장애인 학생들이 추가적으로 공부하는 두레반 1학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교 이래로 혁신학교로 지정되었으며, 학기 초 교사들이 신입생들에게 크게 강조하기도 한다. 2018년 기준 개교 8년 차라 경향이 줄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학교 선생님들이 젊은 편이다. 당장 2017년 기준으로 3학년 교무실에 40대 이상 선생님이 거의 없었다. 2016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겨울엔 학교 앞에서 패딩 안 교복을 검사하거나, 통화나 문자 등을 보내면서 학교에 들어오면 즉석에서 훈계를 하는 등 빡세게 선도를 하는 듯한 모습이 있기도 했지만 2016년부터 학생부장이 바뀐 이후 전반적으로 퇴색되었고 현재는 등교 시간 슬리퍼 착용이나 가방 미소지 등만 잡는 수준이다. 학기 중 역시 염색한 티가 많이 나는 학생들도 잘 안 잡히는 경우가 있다.
1, 2대 추교영 교장선생님 때는 교장실 문이 없었다고 한다. 지금의 성남시장실처럼 학생들에게 공개해 학생들과 함께 하기도 했고, 권위주의적인 모습을 내려놓으려 노력하셨다고 한다.
또한 수련회, 수학여행 대신 학교에서 지원금을 줘서 학생들끼리 방학 중 자율 여행을 간다. 이를 "따라체험" 이라 칭하고, 최소 3명~ 최대 7명의 학생과 지도 교사 1명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원하는 지역에 2박 3일 동안 여행을 간다. 과정으로는 먼저 마음이 맞는 학생들을 인원수에 맞게 구한 후 직접 지도 교사를 섭외하러 발로 뛰어다닌다. 지도 교사를 섭외 하고 나면 학생들이 따라체험 계획양식서 양식에 맞추어 직접 여행지, 이동 경로, 시간 계획을 일일이 짜서 지도 교사에게 확인을 받은 후 따라체험을 가는 날 팀원 전부 같은 시간에 맞춰 고속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간다. 여행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갈등과 배려 등을 겪으며 자기소개서에 쓸 내용이 풍부해진다.

5. 학교 시설


2018년 기준 여전히 안산 고등학교 중 신축 건물에 들고, 안산의 일반계 고등학교 중에서는 수려한 미관을 자랑하는데, 안산의 신규 고등학교는 이 학교를 기점으로 학교 미관이 비슷해졌다. 수인로 바로 옆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은 부곡고등학교와는 달리 '''교통 오지에 속한다.''' 옆에 있는 도로라곤 와동 가는 길이 전부인데다가 길이 험해 학교 북쪽으로는 걸어 다니기가 힘든 편이며, 수능 고사장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위치가 위치인 만큼 학생 안전성 문제가 공사 당시 제기되기도 했다.
2010년대에 신설된 학교라곤 믿기 힘들 정도로 방송시스템이 낙후됐었다. 방송 화질이나 장비 면에서 모든 게 부족했고, 2017년 디지털화된 시스템으로 장비가 변경되었지만 방송부 학생들이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모습에다가, 타종은 시간이 맞지 않았고에 심지어 모의고사 영어 듣기 시간에 몇 초간 송출이 중단되는 사건이 두세 차례 정도 있었다. 그 밖에는 여름과 겨울에 냉난방이 부족하진 않은 정도로 틀어주고 있다. 그러나 2019년 여름에 1주일동안 2학년 7반~11반까지 에어컨이 고장나 자습실, 도서관, 과학실 등에서 수업을 해야 했다. 운동장 역시 인조 잔디로 구성되어 있다. 체육관에 클라이밍이 있다. 하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되진 않는듯 하다.

6. 학교생활


2017년 들어 30분 이후에 학교에 도착한 학생들에게 깜지를 쓰게 했다. 효과는 꽤 나쁘지 않았고 얼마 안 가겠지라는 예상과는 달리 학기 후반까지는 잘 운영되었다.
2019년인 현재까지 운영이 되는 중이다.

6.1. 주요 행사


  • 5월 : 체육대회
2015년까지는 매년 개최되었던 체육대회가 2016년부터 사라졌었다. 그러나 2019년부터 체육대회가 다시 시작되었다. 5월 후반에 열리며, 이어달리기, OX퀴즈, 다인다각 달리기 등 여러 종목들을 진행한다.
  • 12월 : 광덕 클럽 발표회
2015년까지만 하더라도 여름, 겨울 각각 1회씩 개최되었으나 2016년부터는 12월로 고정된다.
오전 시간에 클럽(동아리) 부스 운영이 있고 오후엔 사실상 평범한 학교 축제이다. 태권도부나 밴드부 등을 제외하면 학생이 자발적으로 신청해 무대를 꾸민다.
  • 비정기 : 뜨라네 공연
학교 시청각실 앞에 뜨라네라는 작은 무대가 있는데 가끔씩 공연을 한다. 주로 밴드부, 댄스 계열 동아리, 치어리딩부 등의 공연만 이루어진다.
  • 광덕 체육 주간
언제 신설됐는지는 정확하진 않지만 2015년만 해도 체육대회와 동시에 개최했지만 2016년부터 학교 체육대회가 사라지며 유일한 체육대회로 남았었다. 그러나 2019년부터 체육대회가 부활하여 유일한 체육대회라는 타이틀을 잃게 되었다. 남자는 축구, 여자는 피구를 진행하며, 주로 점심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크게 부담은 없는 편이다.

7. 교복


전형적인 교복 스타일이 아닌 티셔츠 형 교복이다. 네이비색 계열의 교복이며 동하복의 차이는 팔의 길이와 옷의 두께 정도인지라 여름에도 동복 상의를 입고 등교하는 학생을 많이 찾을 수 있다. 또한 하복 바지는 반바지도 존재하며, 동복 조끼는 가디건이 대체한다. 선택사항이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복 구매할 때 같이 구매하는 편이다. 외투도 있지만 보통 가디건을 입고 다니면 태클을 걸지 않기 때문에 특히 겨울철에 옷 입기가 편하고 여름철 에어컨 밑에서 추위와 싸울 때 함께하는 방패로 쓰이기도 한다.

8. 체육복


원래는 자유복이었으나 규정이 바뀌어 2019년 부터 입게 되었다. 동복 체육복은 노란색과 흰색, 검정색 계열의 체육복이며 전체적으로 황제펭귄이 떠오르게 한다. 하복은 정해진게 없어 자유복으로 입는다.

9. 교통


버스정류장이 고등학교 교문 앞에 있지만 30번 밖엔 선택지가 없다. 정류장엔 명칭이 광덕고등학교라고 쓰여있지만 정식 인가 구간이 아닌지라 GBIS 등에서 찾을 수 없지만 대신 조금 떨어진 곳에 '''광덕고 입구'''라는 정류장이 있다.
배차 역시 등/하굣길에 두 번 정도 왕복하는게 전부이다.
그래서 대부분 좀 더 걸어가 다른 정류장에서 버스를 탄다.

9.1. 버스


학교 앞에서 탑승 가능한 노선
  • 안산 버스 30[1]
광덕고 입구 정류장에서 탑승 가능한 노선.
  • 안산 버스 99-1[2]
광덕시장 정류장에서 탑승 가능한 노선.

10. 출신 인물



11. 기타


학교가 도시에서 먼 곳에 위치해 있는 터라 가끔 학교 위쪽 숲에서 다람쥐청설모, 을 볼 수 있다.
학교안에서 돈벌레가 자주 출몰한다.
새 소리도 자주 들을 수 있다.
학교 건물에서 넓은 경사로를 따라 올라가면 연못이 있는데, 수질이 좋지 않다. (2019년 현재 올챙이를 키우고 있다) 분수가 있지만 작동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가끔 학교에 큰 손님이나 학부모님 분들이 방문하시는 날에는 가끔 작동 시킨다.)
학교 옆에서 고양이를 키우는데 가끔 학교로 넘어올 때가 있다.
학교 무대인 뜨라네 계단 아래에 새끼 고양이 6마리가 거주 중이다. 학생들이 버리는 담요를 깔아 놨고, 사료와 물, 간식을 주는 학생이 있고 학생들로부터 많은 사랑과 이쁨을 받고 있다.
학교 근처에 양봉장이 있어 가을과 겨울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날에 각 학년 교실마다 하루에 한번씩 벌이 창밖을 맴돌다가 들어오곤 한다.
교실을 배회하는 벌은 수업 중인 학생들의 시선과 관심을 받는다. 그리고 벌들이 학교에 주차 되어있는 차에 똥을 싸 놓는 일이 꽤 잦게 발생한다.
학교 5층 두 복도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 쉼터(?)를 기준으로 오른쪽 복도 끝에 밖이 보이는 큰 유리창이 있는데, 봄에 그 창밖으로 커다란 벚나무를 볼 수 있다.
학교 내부에 안산시 공용 자전거가 있어 유용하고 편리하다.
학교 위치가 낙후되있는 편이어서 이곳에 학생들이 배정되기 기피한다. 학생들 대부분이 학교에서 집까지 멀기 때문에 셔틀버스를 타고오거나 자전거를 타고온다.

[1] 이마저도 정식으로 인가받은 구간은 아니어서 학기 중에만 운영한다. 종점에서 회차하는 경우가 있는데, 운이 좋으면 건너뛸 수도 있지만, 운이 나쁘면 서울예술대학교까지 가야 한다.[2] 하교할 때 가는 방향이 본오동과 대우 5 6,7,8차 두 곳으로 나뉘므로 잘 보고 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