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설모
청설모(靑鼠毛, 한자로는 청서모) 또는 청서(靑鼠)
학명: ''Sciurus vulgaris''
한국어: 청설모, 청서
일본어: リス(다람쥐과 포함), キタリス
중국어: 松鼠(다람쥐과 포함), 歐亞紅松鼠
영어: Squirrel, Red squirrel, Korean squirrel
프랑스어; écureuil roux
스페인어: ardilla roja
터키어: sincap
러시아어: ве́кша
에스페란토: sciuro
[clearfix]
1. 개요
쥐목 다람쥣과의 한 종(Red Squirrel)이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 등 유라시아 북방 침엽수림에서 폭넓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그러나 영국, 남유럽, 만주, 한국, 홋카이도 등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재한 중위도 지방에서 살기도 한다. 붉은빛, 회색빛, 검정빛 등 사람처럼 털 색깔이 다양하고, 계절에 따라서도 바뀐다. 그래서 같은 종인데도 유럽, 특히 영국에서는 Red squirrel(붉은 다람쥐)이라 불렀고, 한국에서는 푸른 다람쥐(청서)라고 불렀다. 외국에서는 아메리카붉은청서(''Tamiasciurus hudsonicus'')와 구별하기 위해 북방청서 또는 붉은청서(붉은유라시아다람쥐)라고도 부른다.[2]
영어 단어 스쿼럴(squirrel)은 청서(청설모, red squirrel) 계통의 동물들을 가리킨다. 일본의 リス나 터키의 sincap도 모두 청설모(squirrel)다. 우리나라에서는 다람쥣과의 대표를 줄무늬 다람쥐로 보지만 외국에서는 청설모 종류가 다람쥣과의 대표라서 다람쥐라고 부르는 종류 대부분이 청설모다.[3] 번역상에 오해가 있어서 미국의 청서를 다람쥐라 부르기도 하나 미국에서도 토종 줄무늬 다람쥐가 자생하기에 엄격하게 구분된다. 청서는 Squirrel, 줄무늬 다람쥐는 Chipmunk라 부른다. 단어의 혼동 때문에 미국의 청설모를 다람쥐라 오인하여 한국 다람쥐를 소개하며 스쿼럴이라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틀린 경우다. 동아시아와 북미에는 다람쥐가 많이 살지만 유럽에서는 다람쥐가 살지 않아서 그런 듯하다.
2. 한국의 청서(''Sciurus vulgaris coreae'')
2.1. 개요
청서(Red Squirrel)의 아종으로 한국에서는 옛부터 청서(靑鼠)[4] 혹은 날다람쥐라고 부르고,[5] 그 털을 청모(靑毛) 또는 청설모(靑鼠毛)라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 동물을 가리키는 말로 청설모가 더 많이 쓰인다. 그래서 2009년 5월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의 날다람쥐 항목에서 청서란 뜻을 삭제하고 대신 청설모 항목에 청서의 뜻을 추가하였다.[6] 한국에 사는 북방청서는 북만청서[7] 와 같이 분류되며 coreae, coreanus라는 학명으로도 불린다. [8]
영어에서는 청설모(squirrel)라는 말이 속어로 정신과 의사를 의미하기도 한다. 영어에서 견과류를 뜻하는 nut이라는 말이 '미친 사람, 괴짜'라는 속어로도 쓰이기 때문. 이 사건의 외신 보도에서도 이 표현이 등장한다.
2.2. 한국 다람쥐와의 차이
같은 Sciuridae(다람쥐과, 청설모과)에 속하지만 다람쥐는 Tamias(다람쥐속)으로 분류되는 반면, 청설모는 Sciurus(청서속)으로 분류된다. 그래서 다람쥐와 비슷한 생김새, 습성을 보이지만 다른 점도 있다. 다음은 한국에 사는 청설모와 한국에 사는 다람쥐의 차이점이다.
청설모는 다람쥐보다 크고 등에 회갈색 털이 난 반면, 다람쥐는 갈색 얼룩 무늬가 있다. 다람쥐는 땅 위에서 주로 생활하지만 청설모는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한다.[9] 그래서 청설모는 주로 나무로 올라가 직접 열매, 견과류를 따먹지만, 다람쥐는 주로 땅에 떨어진 열매나 견과류, 씨앗을 수집하러 다닌다. 또한 생활터전에 걸맞게 청설모는 나무 위에 나무가지를 모아 집을 짓고 살지만[10] 다람쥐는 나무 밑둥에 굴을 파고 산다. 겨울엔 귀에 난 털이 길어져 확실히 구분할 수 있고 털이 많아서 월동하지 않고 먹이를 찾아다는데 반해, 다람쥐는 자기굴의 식량창고에 먹이를 모아서 월동한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다람쥐와는 달리 덜 익은 견과류도 먹을 수 있다는 듯. 풀도 먹지만 섬유소는 전혀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묻어둔 견과류가 다 발아한 봄철이 청설모에게는 그야말로 보릿고개.
2.3. 토종논란과 육식논란
한국 토종인지 아닌지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 일례로 어떤 작가가 청설모를 외래종이라고 하는 칼럼을 신문에 기고하는 바람에 청설모가 황소개구리나 붉은귀거북 등과 함께 외래종 취급을 받았던 모양. 하지만, 청서는 붓의 재료로 황모(노란 담비의 꼬리) 다음 가는 재료로 쳐줬으며, 조선시대 때 중국으로 보내던 공물 목록 중에 '청서'가 있었으므로 예전부터 한반도에 살아온 동물이 맞다.
청설모가 다람쥐를 다 잡아먹어서 다람쥐가 보이지 않는다는 말[11] 이 있는데 사실무근. 사실 청설모와 다람쥐는 고도에 따라 서식환경이 다른 경우가 많다. 청설모가 저산지에 살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퍼진 듯한데, 오히려 다람쥐의 생존을 방해하는 요소로는 도토리를 마구잡이로 주워가는 일부 몰지각한 등산객들이나 등산객을 가장한 전문 채취꾼들의 몫이 크다.[12] 물론, 청설모는 다람쥐보다 조직력이 강한 편이라 특정한 상황에서 다람쥐를 습격하기도 하지만[13] , 기를 쓰고 씨를 말리다시피 달려들 정도는 아니다. 먹이가 충분할 때는 다람쥐 잡을 힘을 다른 데(새의 알이나 새끼, 나무 속 벌레 등) 쓰는 편이 더 효율적이다. 이런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먹는 시기가 있으니, 바로 다람쥐가 동면에서 막 깨어나는 시기이다. 초봄은 먹잇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청설모나 다람쥐가 육식을 자주 한다. 겨울잠을 자지 않으며 덩치도 다람쥐보다 크고 강한 청설모에게는, 겨울잠에서 막 깨어나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은 다람쥐는 손쉬운 먹잇감이다. 다람쥐와 마찬가지로 동면이 덜 깬 뱀이나 개구리도 곧 잘 잡아먹는다.
3. 여담
유해조수 중 하나. 잣을 까먹는데 귀신이 따로 없다.[14] 이런 탓에 마리당 천 원 정도 상금이 걸린 곳도 있다. 그리고 새총으로 쇠구슬을 쏴서 청설모를 수백 마리 죽이고 수십만 원 상금을 받은 사람이 TV에 나온 적[15] 도 있다. 물론 유해동물이기 때문에 동물보호단체도 뭐라고 하진 못한다. 호두나 잣 등 견과류 및 과일이 주력인 지역에선 공공의 적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사람들이 공기총 등을 들고 열심히 사냥하며, 오히려 멧돼지따위보다 더 나쁜 놈 취급을 받는다.
80년대에는 만성 신경통과 피부병에 효험이 있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 엄청나게 잡아먹혔다. 다람쥐까지 잡아 청설모라고 속여 팔 지경이었다. 병에 효험이 있지는 않지만 물 맑고 공기 좋은 동네에 살면서 좋고 비싼 것(견과류)만 잔뜩 까먹어서 그런지, 청설모를 족족 잡아주는 지역에선 청설모 고기를 별미로 친다.(링크에 청설모가 익사한 사진이 있으므로 열기 전 주의할 것. 댓글만 보면 된다). 다른 기사나 후기 등을 봐도 평이 상당히 괜찮은 고기다. 고기에서 솔향이나 호두향이 난다고 한다. 유해조수판정이 났기 때문에 관련법만 잘 지키면 자신이 직접 구할 수 있기도 해서, 설치류를 먹는다는 거부감만 없다면 한 번쯤 먹어볼 만하다.
미국에서는 다람쥐에 해당하는 칩멍크(chipmunk)보다는 청서(squirrel) 계통이 흔하다.[16] 그리고 사냥해서 먹는다.[17] 워낙 흔한데다, 크기는 작지만 한국 청설모보다 2배는 크고[18] , 의외로 먹을 만하다보니 생존주의자들에겐 최후의 사냥감 취급 받는다. 덩치 큰 사슴 따위는 숫자도 적고, 사냥하려면 제대로 된 장총이 필요하고 사냥 난이도도 높으며, 만약의 사태에서 많은 이들이 사냥에 나선다면 금새 멸종할 테니 꾸준히 사낭감이 되기 어렵지만, 스쿼럴은 저렴한 공기총이나 .22 LR, 심지어 새총으로도 간단히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유지비가 적게 들고, 빈번하게 꾸준히 잡을 수 있으니 좋은 사냥감이다.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정원이나 공원에 자주 출몰한다. 사람들이 딱히 위협을 가하지 않아서인지 너무 가까이 다가가지 않는다면 그다지 경계하지 않으며, 오히려 멀뚱멀뚱 쳐다보거나 다가오기도 한다.
영국같은 유럽국가에 미국산 청설모인 eastern grey squirrel이 진출해서 토종 청설모(북방청서, red squirrel)을 밀어내고 있다고 한다.
EBS에서 수입해서 방영했던 미술 프로그램 '그림을 그립시다'의 밥 로스도 생전에 한 마리 길렀는데, 방송에 직접 데리고 나와서 보여주기도 했다.[19] 국내 방영 당시에는 더빙에서 다람쥐라고 오역하였다.
[image] [image] [image]
사람이 주는 먹이에 적응되면 사람을 먹이 셔틀로 본다
주요 등산로에 겁도 없이 출몰하는 녀석들도 많은데, 이 역시 등산객들이 땅콩이나 사과 따위를 던져주기 때문. 식량이 부족한 겨울에는 아예 대놓고 구걸을 벌이기도 한다.
[image]
미국에서 땅콩을 실은 트럭 한 대가 엎어졌는데 인근에 살던 청설모들이 엎어진 땅콩들을 처묵처묵한 결과 2주 후에 인근 청설모들이 비만이 됐다. 사실 야생에서 먹을 걸 한번에 되도록이면 많이 먹어두고자 하는 본능이 있으므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그밖에 사람에게 애교를 부리는 야생 청설모도 있긴 하다. 일례로 미국 어느 땅콩이나 견과류를 파는 노점에 나타나 사람에게 애교를 부리듯 멀뚱히 주인을 쳐다보면서 얌전히 가만히 있는 청설모가 있는데, 주인이 귀여워하며 땅콩이나 아몬드를 조금씩 주곤 했다. 그러자 그 녀석은 애써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기보다 편하기도 하고 사람이 자기를 해치지 않으며, 더불어 사람이 있으니 뱀이나 다른 천적이 없는 줄 알아서인지 아예 노점에 터를 잡았다. 그래도 주인이 싫어하는 기색도 없이 작은 보금자리도 손수 만들어주어 그 안에서 잠자고 먹이를 먹기까지 했는데, 그러다 보니 이 녀석이 명물로 자리잡아 그 노점상은 아예 '청설모 노점상'이란 이름을 붙이며 유명세를 떨쳤고, 사람들이 구경하러 와서 견과류를 구입해 청설모에게 주기도 한다고 보도된 바 있다. 이는 오랫동안 다람쥐 문서에 있던 일화인데 이는 90년대 초반에 국내 지상파 뉴스로도 방영된 내용으로 뉴스 화면에 찍힌 건 청설모였다.
다음 웹툰 뽀짜툰에 나오는 막내 고양이 봉구는 꼬리털이 풍성하고 움직임이 재빠른데다 겁이 많아서 '청설'''묘''''라는 별명이 붙었다.
슈퍼히어로 랜딩 사진으로도 유명한데 관련하여 한쪽 팔이 부러져서 그런 것이라는 악성 루머가 버젓히 기사글로 올라왔으나, 사실은 그저 뒷다리 들고 배 긁는 사진이다.[20]
Squirrel과 Eichhörnchen은 각각 영어와 독일어로 청설모를 뜻하는 단어인데, 영어 화자와 독일어 화자들은 서로 저 단어들을 매우 발음하기 어려워 한다. Eichhörnchen의 경우 영어 화자...라기보단 모든 비 독일어 화자들에게 매우 생소한 o 움라우트와 ch발음이 잔뜩 끼어있어 어렵다. 독일어 화자들 역시 squirrel을 대체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도저히 감을 못잡는 모습을 보인다.
포켓몬스터의 요씽리스가 청설모를 모티브로 했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다람이도 엄밀히 말하면 청설모 계열인게 이 애니가 미국 애니이고 실사 장면에서 청설모 인형이 나온다.
[1]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청설모 아종으로, 일본에서는 에조리스(エゾリス), 키네즈미(木鼠 ; 나무다람쥐)로 불린다.[2] 2009년, 날다람쥐에서 청서라는 의미가 표준국어사전에서 삭제되었으므로 현재는 아메리카붉은청서, 북방청서(붉은청서)로 구분이 가능하다.[3] 그래서 동물학계에서는 sciuridae를 청설모과로 보기도 한다.[4] 푸른 쥐[5] 그렇지만 날다람쥐는 하늘다람쥐를 뜻하는 용어로 더 많이 쓰였다.[6] http://www.korean.go.kr/nkview/nklife/2009_4/19_11.html[7] 1909년 Thomas가 명명한 Mantchuricus. 중국에서는 东北松鼠(동북송서)라고 한다[8] 여담으로 일본에 서식하는 북방청서의 학명은 1906년 Thomas가 명명한 orientis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蝦夷栗鼠(하이율서)[9] 물론 다람쥐도 나무를 탈 수 있고, 청설모도 땅 위를 돌아다닐 수 있다. 생활터전의 상대적인 비중을 의미하는 것.[10] 그래서 사람들이 가끔 까치집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11] 이는 최소한 90년대 이전부터 있던 속설이다. 심지어 8~90년대에 교직생활을 했던 초, 중, 고에 재직했던 나이든 노선생들조차 이러한 잘못된 속설을 학생들에게 전파해서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먹는다는 인식을 심어준 영향이 크다.[12] 굳이 나무를 흔들어서 떨어진 도토리를 주워가기도 하고 갈퀴까지 동원해서 모조리 다 긁어간다거나, 심지어 나무 구멍 속에 저장된 것까지 털어가는 사례도 있어서 문제가 된다. 이런 사람들 중 일부는 해외에 이민 가서도 이딴 짓을 하다가 큰 벌금을 물기도 한다.[13] 앞의 서식 환경이 다른 것도, 다르게 보면 청설모한테 밀려난 측면이 있다.[14] 1마리가 2~3분만에 1솔씩 까먹는데, 서너 마리 붙어서 1시간만 있으면 나무 하나가 거덜난다. 그것도 깡그리 쓸어먹지도 않고, 잣알 중에서도 상품 가치가 충분한 크고 기름진 잣알만 쏙 골라 빼먹고 조금이라도 말라 비틀어진 놈들은 그대로 내버려두니 농가 입장에서는 더욱 미치고 환장할 노릇. 경기도, 강원도 산지에서 복무한 사람이라면 영내에 있는 잣나무의 잣을 홀라당 까먹은 흔적을 심심찮게 볼 수 있을 것이다.[15] 여기선 잡는 시범을 보여주진 않고 이 사람이 잡아죽인 청설모 시체를 보여줬다.[16] 하지만 대부분의 줄무늬 다람쥐 종은 다름아닌 미국에 산다. 미국 서부의 네오타미아스속의 칩멍크는 하위종이 23종에 다다르고, 타 대륙 그 어떤곳 보다 하위 종이 많다.[17] 국산 청설모도 먹는 데 문제는 없으나 체급 차이로 양이 적어서 흠.[18] 미국이 땅이 커서 동네마다 서식종이 다양하다. 서부에 사는 청설모인 fox squirrel이나 western grey squirrel이 몸집이 큰 편이고, red squirrel이나 eastern grey squirrel은 한국 청설모랑 생김새도 크기도 비슷하다.[19] 까마귀나 주머니쥐도 길렀었다고.[20] 한쪽 팔이 부러진 개체가 저렇게 야생에서 살아남아 사진가들에게 찍힐 확률이 얼마나 될까. 게다가 천적에게 쫓겨서 불가피한 상황이 아닌 이상 상식적으로 공중에서 점프할 이유가 없다. 나무를 타고 내려오면 되기 때문. 아니 애초에 한쪽 팔이 부러진 청설모는 나무를 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