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의 난
한자: '''凉州之亂'''
영어: '''Liang Province rebellion'''
1. 개요
후한 말기, 184년 겨울 ~ 189년까지 양주(凉州)에서 일어난 반란. 반란의 주동자들 중 하나인 변장·한수의 난으로 불리기도 한다.
2. 배경
3. 교전 세력
3.1. 후한 정부군
- 거기장군 장온
- 참군 손견
- 좌거기장군 황보숭
- 참군사 도겸
- 중랑장 ⇨ 파로장군 동탁
- 탕구장군 주신(삼국지)
- 양주 자사 경비(삼국지) †
- 한양 태수 부섭 †
- 호강교위 영징(伶徵) †: 후한서에서는 영정(伶征)으로 등장한다.
- 금성 태수 진의(陳懿) †
- 농서 태수 이상여(李相如): 한수의 공격을 받아 항복했다.
- 조려 현장 유준 †: 금성 사람 국승의 공격을 받아 전사했다.
3.2. 양주 반란군
양주 반란군의 수뇌부 대부분은 토벌군의 공격보다는 한수에 의해 살해당했다.
- 변장(삼국지)
- 북궁백옥: 187년 한수에게 살해당한다.
- 이문후: 187년 한수에게 살해당한다.
- 왕국(삼국지): 188년 황보숭에게 패전했다는 이유로 한수에게 살해당한다.
- 한수(삼국지)
- 마등
- 송양(삼국지)
- 송건
- 국승 †: 장수에게 살해당했다.
- 염충(閻忠): 양주 반란군에게 협박당해 맹주로 추대되었으나, 부끄러워 화병으로 사망했다.
3.3. 기타 인물
- 장수(삼국지): 양주의 난 당시 국승이 조여현장 유준를 살해하자, 당시 현리였던 장수는 틈을 노려 국승을 죽이는 활약을 했다.
- 유우(삼국지): 유주 오환족에게 병사들을 징발해서 파견하려 했으나, 군량을 주지 않아서 오환족 병사들이 양주 지역으로 파견되지 못하고 흩어저벼렸다.
- 조기(후한): 돈황 태수로 임명되어 파견되었을 때 양주 반란군에게 붙잡혔으나 탈출해서 조정으로 귀환했다.
4. 평가
양주 지역에 대한 후한 정부의 통제력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관서 군벌들을 완전히 토벌하는 것은 실패하게 된다.
한편으로 황건적의 난에서 진압에 실패해 면직되었던 동탁이 재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 사건이었다. 이 때 동탁에게 원한을 샀던 장온은 동탁이 정권을 잡은 뒤 살해당하게 된다.
5.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삼국지 시리즈의 삼국지 8에서 185년, 186년, 187년, 188년 시나리오로 하진 시점에서 다뤄진다.
185년에 한수가 서평, 서량을 차지하고 성의, 정은, 변장, 북궁백옥, 송양 등을 부하로 두고 있으며, 하진이 양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고 보고받는다. 원술이 북궁백옥, 송양 등이 부추겨 한수가 거병했다는 것을 알리고 하진은 황건적의 난을 진압하느라 여력이 없으므로 국력을 회복한 후에 진압하기로 한다.
186년에는 동탁이 한수가 강족의 힘을 빌어 진압이 어렵다고 하자 하진은 믿을 수 없다면서 장온에게 토벌군을 편성해 평정하도록 하며, 장온은 동탁, 손견을 부장으로 삼아 양주로 향하기로 한다. 187년에는 장온의 공격으로 굴복했던 한수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하진이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동탁, 손견, 공손찬을 각지로 보내면서도 양주 쪽은 동탁을 보내며, 이 때부터 하진과 동탁이 별개의 세력으로 나온다.
188년에는 손견이 한 달도 안되어 진압하는 마당에 동탁, 공손찬이 아직도 진압하지 못하자 질타하며, 동탁이 농서의 반군이 강족까지 가세한 대군이라면서 원군을 요청하며, 황보숭이 자원하자 하진은 황보숭을 원군으로 보내기로 한다. 이 때 한정으로 황보숭이 동탁 휘하의 일반 장수로 나오며, 한수 등은 189년에 동탁에게 굴복했다고 한다.
토탈 워: 삼국 천명 DLC 캠페인에서 황건적의 난과 함께 다루어졌으며, 184년 변방에서 반란이 벌어졌다는 이벤트와 함께 북궁백옥 세력이 안정군 일대에서 출현하며, 북궁백옥은 이문후를 부하로 두고 있다. 다만 북궁백옥 세력은 마등, 한수, 변장 세력과 연대하지도 않는 데다가 강족 병사 3개 추가 + 논플레이어블 세력으로 나와 아쉽게 구현되었다.
천명 캠페인에서 마등이 논플레이어블이기 때문에, 서하와 삭방에서 시작하는 동탁이나 장안의 원유 세력이 북궁백옥 세력과 주로 충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천명 트레일러에서 동탁과 도겸이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지나가는데, 양주의 난 당시 장온 휘하에서 복무했기 때문인듯 하다.[1]
[1] 도겸은 장온의 참군사로, 동탁은 중랑장으로 복무했다.